서문
제1부 여류, 그 이후
재생산 없는 ‘고향’의 유토피아-이기영의 ??고향??론
‘여류’의 교류
잔해殘骸의 목격-최정희의 ??인간사??론
유년의 기억과 각성의 순간-산업화시대 ‘성장’ ‘서사’의 무의식
사후事後/死後의 리얼리즘 -김향숙 소설의 ‘살아남은 딸’들을 중심으로
일하는 사람의 ‘아플’ 권리 -1980년대 소설에 나타난 노동자의 질병과 섹슈얼리티
젠더화된 세대교체 서사를 패러디하기
제2부 이론의 안테나와 비평의 파토스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을 통해 본 1970년대식 진보의 한 양상
현장과 육체-??창작과비평??의 민중지향성 분석
1980년대 학술운동과 문학운동의 교착交着/膠着 -박현채와 조한혜정을 중심으로
페미니즘의 포스트모던 조건
한국문학사의 새로운 가능성
제3부 코스모폴리탄 글쓰기
이상의 ?12월 12일?에 나타난 ‘연쇄’의 의미망
김우창 초기 비평의 ‘미니마 모랄리아’
혁명과 문장-최인훈의 ??화두??론
‘말나라’의 시민 되기-리영희와 최인훈의 코스모폴리타니즘
초출일람
미주 및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