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의 말 들어가며 1부 뉴스의 창(窓)으로 본 한국 언론 1장 뉴스란 무엇인가 10 뉴스는 ? ? ? 다 12 왜 뉴스가 되나…뉴스 가치 18 규범적 뉴스 가치 21 | 실용적 뉴스 가치 24 뉴스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뉴스의 사회학 30 조직론적 접근 32 | 문화적 배경 40 | 언론모델 44 한국에서의 뉴스 가치 연구 49 뉴스의 개념 49 | 실증 분석 53 | 문화 비교 59 | 기존 연구의 한계 62 2장 한국 언론인의 뉴스관 64 어떻게 볼 것인가 67 책 속에 담긴 생각 69 현대적 뉴스관의 태동 74 규범적 뉴스 가치에 대한 입장 81 진실성 81| 진실성을 확보하는 3가지 방법 92 | 정확성 110 | 균형감각 115 | 도구적 언론관 122 실용적 뉴스 가치에 대한 입장 136 사회적 중요 137 | 새로움 139 | 수용자 관련 140 | 흥미 145 뉴스 사회학적 쟁점에 대한 입장 161 편집권 161 | 사회적 책임 168 뉴스를 둘러싼 또 다른 쟁점들 173 뉴스 제작자: ‘기자론’에 대한 입장 173 | 뉴스 콘텐트: ‘문장론’에 대한 입장 176 한국 언론의 두 가지 전통 186 3장 한국의 뉴스, 미국의 뉴스 190 어떻게 비교할 것인가 192 뉴스 룸 들여다보기 197 뉴스 제작 현장의 선택 200 한?미 간 뉴스 가치의 8가지 차이 207 뉴스의 정의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 208 | 한국과 미국은 다르다…뉴스 가치의 충돌 212 한국 뉴스의 여섯 가지 문제점 231 이것이 문제다 231 서로 다른 생각들 243 무엇을 할 것인가…한국 저널리즘의 지평 확산을 위한 제언 247 2부 한국 언론을 빛낸 사람들 4장 한국 언론 명문 열전 뉴스의 온도 254 김동성 한국 최초의 현대적 현장 탐사 기사 257 조덕송 일세를 풍미한 ‘조대감’의 체험 기록 265 최병우 상징의 미학, 불후의 명 르포르타주 272 천관우 정론직필의 기개 넘친 꼿꼿한 문장 279 오소백 영원한 사회부장의 세상 이야기 287 최석채 반골 논객의 거침없는 권력 비판 사설 297 홍승면 말의 글로 쓴 ‘화이부동’의 명 칼럼 305 안병찬 “취재 현장에 산다”, 최후의 목격자 312 선우휘 휴머니즘 담긴 훈훈한 인생의 대화록 318 박권상 ‘자유언론’의 원칙주의 저널리스트 325 김중배 독재에 맞선 절필의 고독한 함성 332 유경환 서정적 묘사와 따뜻한 이야기의 시인 340 김성우 낭만적 칼럼니스트, 인생에의 깊은 관조 345 김영희 공부하는 대기자 60년의 현장기 354 장명수 상식의 언어로 써내려간 ‘장칼’의 전설 365 김훈 거리의 현장에서 부르는 펜의 노래 374 3부 디지털시대의 언론 5장 디지털 시대의 소통 384 인간, 그 미약한 존재의 한계 386 인간, 그 미약한 존재의 한계 2 390 도망가든지, 싸우든지 391 | 던바의 법칙 394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법 396 바야흐로 플랫폼 시대 400 디지털 디바이드 2.0 시대 403 빅데이터 시대 유감 406 슬로 라이프를 위하여 409 6장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412 인간, 그 미약한 존재의 한계를 넘어서 414 희미해지는 육필의 기억 415 아날로그 시대의 반격 418 가장 멍청한 세대 420 Mr. Robot, 아 유 레디? 423 로봇이 과연 인간을 대체할 수 있을까 424 | 표현력과 수사학을 잃어가는 시대 426 디지털 글쓰기의 미래…지좋앞몰 428 6단어로 쓰는 소설 429 | 한 줄짜리 뉴스 429 뉴스의 미래…당신은 이글을 어디까지 읽을 수 있을까 432 뉴스를 모르면 불안한 사람들 432 | 얄팍한 지식만 판치는 디지털 세상 433 | 의미와 해석을 제공하는 뉴스를 찾아서 434 미주 436 별첨 뉴스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는 전·현직 국내 언론인의 주요 저술서 456 찾아보기 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