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 이야기 하나. 정체성 : 다움과 스러움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되는 것과 되지 않는 것의 기준:가치 - 조직 안에서의 진정한 자유와 성숙 - 인식의 성숙 단계 - 효율성과 영향력 - 정체성 : 다움과 스러움 - 핵심가치에서의 다움과 스러움 - 인터널브랜딩 활동의 Key : 일관성 - 인터널브랜딩 프로세스 : 결과보다는 믿음 - 인터널브랜딩의 목표 : 동기와 가치, 그리고 믿음 - 가치는 프로세스다 [Internal Branding Therapy : 인터널브랜딩의 성공 요인] ? 이야기 둘. 진정성 : 조직 안에서 가치가 진정성 있게 작동하는 것은 어떤 모습인가 - 명시적 가치와 암묵적 가치 - 실천 대상으로서의 핵심가치 - 순종과 헌신의 차이 - HOW의 질문을 바꿔라 - 가치지향적인 조직의 모습 - 헌신의 태도와 전문성 [Internal Branding Therapy : 브랜드 헌신과 조직 몰입] ? 이야기 셋. 전문성 : 인터널브랜딩 활동 과정에서 필요한 전문성은 무엇인가 - 인터널브랜딩 담당자에게 필요한 전문성 - 인터널브랜딩 담당자에게 필요한 능력 - 문제해결의 자유, 전문성 - 전문성 있는 커뮤니케이터의 특성 - 전문가가 된다는 것 - 전문성은 어떻게 발현되는가 - 전문성의 여정에서 꼭 필요한 경험 - 전문성을 키우기 위한 조건 [Internal Branding Therapy : 자기 경영으로 움직이는 가치지향적인 조직] ? 이야기 넷. 지속성 : 지속적인 변화를 위해 필요한 조건은 무엇인가 - 조직문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것 - 평가와 관찰의 분리 - 반전매력과 불편함의 경계 - 피드백이 정상적으로 운영된다는 것 - 성공적인 팀을 위한 피드백 방법 - 피드백을 위한 피드백 - 낯섦과 불편함을 넘어 익숙함으로 [Internal Branding Therapy : 임파워먼트를 실현하기 위해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