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과거를 직시하는 웃음기 없는 얼굴
정확한 울음을 통과한 끝에 건네는
충분한 안녕
제39회 김수영 문학상 수상작
제39회 〈김수영 문학상〉 수상 시집 『그 웃음을 나도 좋아해』가 민음의 시 279번으로 출간되었다. 수상과 함께 독자들에게 처음으로 그 이름을 알린 시인 이기리는 첫 시집에서 담담하되 물러서지 않는 시선으로 과거의 상처를 돌아보고, 당시 어렴풋하게 떠올랐던 감정들에 형체를 부여한다. 그리고 마침내 사라진 것들과 다가올 것들에 향해 아프지 않은 안부 인사를 건넨다. ‘그 웃음을 나도 좋아’한다는 제목과 달리, 시집 초반부의 시들에서 도드라지는 것은 차마 웃을 수 없는 어린 화자의 상황이다. 시인은 자신을 향한 교실 안의 폭력과 차가운 현실을 더 없이 구체적인 묘사로 그려 낸다. 지워 버릴 수도 있는 장면을 끝까지 눈을 뜨고 지켜보고, 소중한 것들이 사라진 자리에 남아 빈 자리의 구겨진 자국을 오래 응시한다. 4부의 시 제목이기도 한 ‘괜찮습니다’, ‘더 좋은 모습으로 만나겠습니다’라는 인사말들은 이 물러섬 없는 돌아봄의 결과물이다. “마주볼 용기가 가장 어렵고 필요한”(유계영) 지금, 이기리가 그리는 풍경은 가장 어려운 것을 해낸 바로 그 지점에 독자들을 데려다 놓는다.
■ 그 웃음을 나도 좋아해
반 아이들의 시선이 허공에 뜬 내 몸을 향해 쏠렸다
어느새 교실 문 너머 몰린 무리들이 입을 가리고 키득거리고 있었다
보이지 않는 입꼬리들이 나를 천장까지 잡아당기는 기분
어때? 재밌지? 재밌지?
―「구겨진 교실」에서
‘그 웃음을 나도 좋아해’라는 말은 ‘너의 웃음을 나도 좋아한다’라는 동조일 수 있지만, 갖지 못한 ‘그 웃음’에 대한 선망일 수도 있다. 이기리의 시에서 ‘그 웃음’은 마치 ‘당신들의 천국’처럼 내가 가질 수 없는 무엇이다. 시 속 어린 화자는 학교 폭력의 피해자다. 교실부터 복도, 화장실까지 괴롭힘이 들러붙는 와중에, 잔인하게 치켜 올라간 아이들의 입꼬리는 나를 천장까지 잡아당기는 것만 같다.
그런 화자에게도 ‘너’라고 부를 수 있는 누군가가 있다. 빈 교실에 함께 남아 있는 너, 나에게 무슨 말인가를 적어 전하는 너, 함께 있는 시간을 계속하고 싶은 너. 그러나 ‘너’의 웃음은 알 수 없는 채로 남고 나는 아직 네가 듣고 싶은 말을 할 수가 없다. 차마 웃을 수 없는 자신의 낯선 표정을 숨기기 위해 서랍을 열면, 그 속엔 “이미 숨겨 두었던 정체들”(「싱크로율」)이 가득하다. 이기리의 화자는 웃음을 짓는 대신 구름을 보며 “비를 맞는 표정”을 짓는다. 붉어진 저녁 하늘을 보며 “이제 다른 행성의 노래를 들어도 될까”(「그 웃음을 나도 좋아해」) 하고 생각한다.
■ 충분한 안녕
손목을 심장 가까이 구부렸다가
아이들을 향해 원반을 던진다
긴 곡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원반은 빛의 모서리들을 껴안고
아프지 않은 모양이 된다
―「충분한 안녕」에서
같은 웃음을 지을 수 없어서일까, 이기리의 시 속에서 화자는 자주 혼자 남아 있다. 빈방에 문을 닫은 채 홀로 누워 있고, “수많은 등장인물을 없애고”(「유리온실」) 숲에 혼자 남기도 한다. 그 공간은 마치 유리온실처럼 현실과는 동떨어져 있다. 현실에서도 화자가 보는 것은 누군가가 떠난 “구겨진 자리”(「오로라」), 함께 있지만 입속에서는 “차갑고 딱딱한 것이 깨”(「재회」)져 버리는 한순간, “당신과 멀어질수록 환해지는”(「빛」) 자기 자신이다.
그러나 혼자 남아 “더 정확한 울음”(「번안곡」)을 듣고, 어쩔 수 없이 사라지는 것들이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인 이후, 비로소 시인은 “아프지 않은 모양”(「충분한 안녕」)으로 인사를 할 수 있을 것 같다. 구겨진 얼룩 위에 조금 다른 무늬를 만들 수도 있을 것 같다. 이미 진 주름을 펼 수는 없으니 그것은 새롭게 구겨지는 일에 다름 아닐 것이고, 언제나와 마찬가지로 나의 말은 당신에게 온전히 가닿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 사실을 물러섬 없이 마주한 끝에 시인이 건네는 안부 인사는 그만큼 더 단단하고 따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