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우리에겐 새로운 관점으로 읽어내는 여성서사가 절실하다” 페미니즘 관점으로 영화를 보는 것은, 또 하나의 새로운 서사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오랫동안 많은 영화에서 여성 캐릭터는 남자 주인공의 조력자로, 남성에게 영감을 주는 뮤즈나 남성의 각성을 위해 희생하는 등의 주변부 캐릭터로 그려졌다. 여성은 남성의 시선 아래서 성적 대상화된 채 영화에 등장했다. 근래 들어 여성이 주체가 되는 영화들이 과거에 비해 적극적으로 만들어지고 있지만, 이는 다만 시작일 뿐이다. 이 책은 여성이 중심이 되는 영화들을 재해석하여 일상에 공기처럼 스며 있는 성차별적인 시선을 포착하고, 새로운 여성 캐릭터가 보이는 다중의 의미를 깊이 들여다보고자 한다. 얼핏 히스테릭 한 중년 여성의 이야기로만 보이는 <블루 재스민>에서는 가부장제 사회에서 정체성을 잃어버린 여성을, 미국 소시민 사회의 권력과 구원의 문제를 그린 <도그빌>에선 여성 혐오를 바탕에 깔고 일어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실존했던 화가 모드 루이스의 삶을 담아낸 <내 사랑>에서는 남성연대의 모순성을 만나고 발견하는 등, 여러 영화의 주인공을 통해 젠더 문제의 현실을 풀어 헤쳐 본다. 디즈니 애니메이션부터 SF, 액션, 스릴러, 판타지까지 …다양한 영화 장르를 페미니즘 시선으로 들여다본다. 영화 속 여성캐릭터를 촘촘히 들여다보면서 우리는, 여성이 사회 일반에서 어떻게 다뤄져왔는지를 살피게 된다. 남성 중심의 서사에서 여성은 어떻게 위치되고 있는가? 문화 속에서 여성을 규정하는 무의식적 구조를 파악하고 나야만, 우리는 그 구조를 탈피할 수 있다. 이제 우리는 여성의 서사를 되살리는 동시에 가부장적 시선에서 탈피하려는 시점에 와 있다. 이 책은 디즈니 애니메이션 등 각종 블록버스터 영화에서 여성이 다루어진 방식을 분석하면서도, <에일리언> <설국열차> <마녀> <겟 아웃> <모아나> 등의 흥행영화에서 찾아볼 수 있는 여성 서사의 가능성을 살핀다. 오랫동안 상처 받은 채 분열되었던 여성의 서사를 새롭게 복원하다 인류의 심리적 본능 가운데 하나는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다. 특히 상처 입은 삶이 회복되는 이야기는 아주 오래전부터 사람들의 시선을 붙들었다. 이는 상처가 치유되어 삶의 균열이 메워지는 과정이 사람들에게 감동적으로 다가갔던 덕분이다. 이 책의 저자는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바라본 영화 서사와 여성 캐릭터가 세상이 변화하는데 일조할 것이라 본다. 기존에 불렸던 이름과는 다르게 재구성되어 펼쳐지길 스스로 기대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이야기’라서 그렇다는 것이다. 그동안 멸시받고 차별받았던 타자의 삶을 재구성한 영화 서사를 통해, 우리는 이 세계 속에서 살아가는 여성을 재발견할 수 있다. ‘탈코르셋’ ‘맘충’ ‘백래시’… 우리시대 문제를 영화와 함께 살펴보다 페미니즘이 중요한 것은 그동안 세상에서 배제되어왔던 약자에 관한 문제를 첨예하게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페미니즘은 단지 학문적 문제뿐만 아니라, 실제로 우리사회에서 벌어지는 성범죄와 성차별문제 등과 맞닿아 있다. 마찬가지로 영화란 매체도 이제 더 이상 단순한 오락거리가 아니다. 영화는 인간의 삶이 담긴 서사이기 때문이다. 특히 여성을 주인공으로 다루는 영화일수록, 우리가 여태껏 보아오지 못했던 성차별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 아니, 오히려 영화이기 때문에 우리가 평소에 보지 못했던 문제들을 점증해서 살필 수 있는 것이다. 가부장적 시선에서 벗어나고자하는 탈코르셋 운동, ‘맘충’이라는 단어 담겨져 있는 여성혐오와 모성신화 등의 사회적 고민을 페미니즘이라는 문제의식 속에서 영화라는 매체를 투과해 설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