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시작하며 프롤로그: 왜 바울인가 1장 현대철학의 바울적 계기와 그 의미: 현대철학에서 바울을 다루는 주제들 1. 급진적 바울과 ‘정치적인 것’ 2. 바울과 현대철학의 주제 2장 종교 비판과 종교 현상 사이: 니체와 하이데거의 바울 텍스트 이해 1. 니체의 기독교 비판과 메시아주의 패러디 2. 하이데거의 바울 ‘사용’과 그리스도인의 현사실성 3. 바울의 메시아주의의 양가성 3장 중단으로서의 메시아주의: 발터 벤야민의 역사 이해와 메시아주의 1. 19세기 독일의 신학과 역사 이해 2. 발터 벤야민의 정치적 니힐리즘과 메시아적인 것 4장 정치적인 것과 메시아적인 것: 칼 슈미트와 야콥 타우베스의 정치신학 1. 칼 슈미트의 정치신학 2. 야콥 타우베스의 부정 정치신학 5장 부활의 사건과 새로운 주체: 알랭 바디우의 사도 바울 해석 1. 바디우의 철학과 정치적 행위 2. 사건과 진리, 그리고 주체 3. 진리와 주체의 분열 4. 코뮌적 주체 6장 메시아적 시간과 남은 자: 조르조 아감벤의 시간 이해와 분할적 주체 1. 역사와 시간 개념 2. 바울의 시간 이해와 분할적인 주체 3. 아감벤의 메시아적 시간 7장 유물론적 신학과 전투적 사랑: 슬라보예 지젝의 역사적 유물론과 기독교 1. 변증적 유물론과 사도 바울 2. 케노시스(자기 포기)적 주체 3. 잔여와 보편의 문제: 주체의 정치적 행위 4. 헤겔의 변증법과 기독교적 유물론 8장 법 너머의 정의: 자크 데리다의 ‘메시아적인 것’과 정의 1. 데리다의 탈구축과 정의 2. 법에 대한 시간성(서사화)의 우선성 3. 정의와 법의 (불)가능성 4. 법 너머의 정의와 환대 에필로그: 바울과 ‘경계 위’의 사유 미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