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 대학원생 생존일지

우정민님 외 17명 · 자기계발
288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2.5
평균 별점
(1명)
코멘트
더보기

인고의 시간을 버티고 있는 문과 박사과정생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이들의 이야기는 연구자이자 학자로 살아가는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여러 이야기를 담고 있다. 현실과 이상 사이의 괴리부터, 인간관계, 사랑과 연애까지 다양한 고민들이 솔직하게 전해지며, 이들은 모두 거시적인 앎과 삶을 위해서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자산을 목표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 대학원 진학을 고민하고 있는 학부생에게 미리 대학원생의 삶의 고민, 앎의 즐거움을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서로를 다독이며 연구하고 있는 대학원생에겐 공감할 수 있는 전우들의 이야기가 될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목차

프롤로그: 나의 치열한 하루는 나의 앎과 삶이다 01 예술가로서 ‘무지한 박사’ 되기 - 김재현 02 대학원생의 삶 엿보기 - 김지선 대학원 과정을 시작할 결심 대학원생의 삶 엿보기 대학원 생활 팁 마무리 03 코로나 학번 표류기 - 송초의 슬기로운 온라인 대학원 생활 학업과 삶, 한번에 잡을 수 있었던 기회 04 #교사 #대학원생 #나도_모르겠다 #행복하게_살자 - 안지혜 대학원 진학: 포장도로에서 비포장도로로 알던 것도 모르고, 새로운 건 더 모르고 멘탈 관리: 여가 생활과 비빌 언덕 05 대학원이 궁금한 K에게 - 이규빈 06 연애도 연구가 필요해 - 이다연 대학원생의 연애가 어려운 이유 몇 가지 조언 07 교육상담 박사 대학원생의 생존일지 - 이승호 석사과정에서의 생존일지 낮은 현실감에 높은 이상, 그리고 서울대학교 상담학도로서 내 마음 돌보기 대학원에서의 인간 관계 08 대학원생의 메타 - 이진호 그 너머의 현실, 메타 공부만 열심히 하면 좋은 연구자가 될 수 있을까 낯선 순간을 통해 메타로 들어가기 글을 맺으며 09 대학원 진학이 고민 돼요 - 노지연 왜 대학원 진학을 결정했나요 바랐던 것을 이뤘고, 기대한 것들을 즐길 수 있었나요 대학원 진학에 만족하나요 10 박사 진학을 고민하는 후배에게 하고 싶은 말 - 민예슬 ‘수업’에 진심인 커리큘럼 교육자이자 슈퍼바이저를 양성하는 커리큘럼 상담과 수업과 연구, 아슬아슬한 밸런싱 상담전공생의 멘탈 케어: 전공생들을 꼭 붙잡기 상담전공생의 멘탈 케어: 요령부리기 학비와 생활비에 대하여 연구에 나만의 재미 하나쯤은 마음 맞는 사람과 짝짜꿍 연구 탄생의 비하인드 스토리 교수님과 소통하기 11 서울대학교 문과 대학원생 ~ing -대학원생이 되기 전에 한번쯤 생각해 볼 것 - 손소희 문제 인식: “왜 나는 대학원생이 되고 싶나”의 문제가 아니라 “왜 이 연구가 필요한가”의 문제 목적과 필요성: 평생교육의 시대와 새로운 의의 현실 vs. 사명 12 연구자의 일과 나의 쓸모 - 신중휘 어떤 상상 내가 뭘하고 있는지 모르겠을 때 그래도 나는 논문을 읽고 쓴다 다시, 어떤 상상 13 외국인 학생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존일지 - 안지아 스스로에게 물어봐야 할 중요한 질문들 중요한 준비 사항들 14 함께하는 연구 - 우정민 함께하는 연구의 중요성 함께하는 연구의 어려움 공동 연구 과정에서 갖춰야 할 소양: 집단효능감 대학원생의 효과적인 공동 연구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 선배들의 실제 경험을 들어 보자 15 대학원 진학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면 - 이다경 대학원 진학의 계기는 무엇인가요 대학원생은 (예비)연구자 대학원생은 N-Jober 16 서울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 이병윤 석사 진학 예정인 학생들에게 박사 진학 예정인 학생들에게 17 대학원 진학의 이유와 목적 - 이수지 대학원으로 이끈 나의 동기 연구실 내 인간 관계 그리고 그 안에서 나의 멘탈 관리 18 ‘슬기로운’ 해외 학술지 투고 - 절망과 분투 사이를 오가며 - 이수한 어떤 학술지에 투고할 것인가 매력적인 제목, 설득력 있는 서론 이론적 틀과 방법론의 경계: 내 논문의 렌즈를 구축하기 내 논문의 학술적 가치를 입증하라 요구받는 긴 여정 에필로그: 당신의 삶과 앎을 응원합니다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앎과 삶을 위해 버티며 분투하는 문과 대학원생들의 현재진행형 생존일지 대학생들이 죄를 지었을 때 가는 곳이 대학원이라는 웃을 수 없는 농담이 있다. 대학교 졸업 후 한 번 더 선택한 학문의 길이 녹록지 않다는 그 이면을 느낄 수 있는 자조적인 표현이다. 실제로 대학원 진학 후 연구자가 되는 것은 공연이 시작하기 전 휴대폰을 매너모드로 전환하는 것처럼 일반인에서 연구자 모드(mode)로 전환이 필요한 일이라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연구자 모드는 삶에서의 어떤 것들보다 연구를 가장 우선순위로 두며, 일상에서도 계속 연구 주제를 찾는 모습이다. 운동선수가 이른 새벽에 일어나 온종일 훈련하며 심지어 식단까지도 철저하게 관리하는 모습과 비슷하다. 대화조차 주변의 연구자들과 함께 나누며 연구에 관련해야 하고, 연구 자료를 위해선 홍길동처럼 백방으로 다닐 수 있는 에너지까지 필요하다. 하지만 이 연구의 길을 지나고 있는 대학원생들도 일상과 경제 활동, 사랑과 미래에 대해 고민하는 인간이다.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학생으로서 졸업 후 취업한 친구들과의 괴리로 괴로워할 수 있으며, 한 분야를 파고들어 연구해야 하는 특성상 지루함을 느낄 수도 있다. 게다가 도서관 혹은 연구실이라는 반복적인 삶의 패턴은 외롭게 만들기도 한다.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도 좋은 연구자가 되기 위해서는 호기심, 창의성, 논리성 등의 다양한 자질과 더불어 고행의 길을 버텨낼 수 있는 지구력이 가장 확실하게 필요하다. 매일 주어진 시간과 공간 속에서 분투하며 버텨내는 의지가 중요한 것이다. 인고의 시간을 버티고 있는 문과 박사과정생들이 한자리에 모여 『문과 대학원생 생존일지 : 나의 앎과 삶은 진행형』을 출간했다. 이들의 이야기는 연구자이자 학자로 살아가는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여러 이야기를 담고 있다. 현실과 이상 사이의 괴리부터, 인간관계, 사랑과 연애까지 다양한 고민들이 솔직하게 전해지며, 이들은 모두 거시적인 앎과 삶을 위해서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자산을 목표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 책은 대학원 진학을 고민하고 있는 학부생에게 미리 대학원생의 삶의 고민, 앎의 즐거움을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서로를 다독이며 연구하고 있는 대학원생에겐 공감할 수 있는 전우들의 이야기가 될 것이며, 이미 그 길을 지나온 학자들에게도 치열한 지난날을 추억할 수 있는 소중한 이야기로 전해질 것이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