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대 한국 시의 가장 첨예한 현재!”
2023 문지문학상 후보작 및 시작 노트 수록
한국 현대 시의 흐름을 전하는 특별 기획, 『시 보다 2023』이 출간되었다. 문학과지성사는 새로운 감각으로 시적 언어의 현재성을 가늠하고 젊은 시인들의 창작 활동을 적극적으로 응원하기 위해, 2021년 문지문학상 시 부문을 신설했다. <시 보다>는 문지문학상[시] 후보작을 묶어 해마다 한 권씩 출간하는 시리즈로, 올해 세번째를 맞이했다.
시인(김언, 김행숙, 이원)과 문학평론가(강동호, 이광호, 홍성희)로 이루어진 심사위원은 2022년 5월부터 2023년 4월까지 발표된 시들을 면밀히 검토해 데뷔 10년 이하 여덟 시인의 작품을 가려 뽑았다. 올해 후보작은 강보원, 김리윤, 김보나, 문보영, 백가경, 안태운, 오은경, 이린아(가나다순)의 작품들이다. 『시 보다 2023』에는 기발표작 5편과 시 세계 바깥의 이야기를 진솔한 언어로 풀어낸다. 또한 선정위원의 ‘추천의 말’을 각 시인들의 작품과 ‘시작 노트’ 뒤에 배치해 시가 낯선 독자들도 접근하기 쉽도록 구성했다. 독자와 시인 사이를 잇기 위한 여러 노력을 모은 이 책은 “한낮의 언어와 한밤의 언어가 충돌하는 격전장”(김언)인 동시에 한국 시를 둘러싼 환대와 우정의 자리이기도 하다. “그들의 시가 더 자세히, 더 세심하게, 더 깊게 읽히기를. 그래서 이 세계가 더 가깝게, 더 멀리, 더 깊게, 더 새롭게 읽히기를”(김행숙) 바라는 마음으로, 시인마다 다르게 빛나는 시적 에너지를 기쁘게 만나보길 바란다.
* 문지문학상의 상세한 심사 경위와 심사평은 『문학과사회』 겨울호와 문학과지성사 웹사이트에 게재될 예정이다.
*검토 지면: 2022년 5월~2023년 4월 내 간행된 종합문예지, 시 전문지, 웹진
<시 보다> 기획의 말
시의 시대가 사라져버린 것 같던 시간 속에서 젊은 시인들과 그들의 낯선 감각을 다시 읽어준 독자들이 출현했다는 것은 기적이 아니다. 모든 헛된 풍문을 뚫고 한국 문학의 심층에서는 본 적 없는 시 쓰기와 시 읽기가 끊임없이 시도되고 있었다. <시 보다>는 시 쓰기의 극점에 있는 젊은 시 언어의 운동에너지만을 주목하고자 한다. 1년에 한 번 이루어지는 이 작은 축제는 선별의 작업이 아니라, 한국 시를 둘러싼 예감을 함께 나누는 문학적 우정의 자리이다. 우리가 체험하는 것은 젊은 시인들의 이름 너머에서 꿈틀거리는 ‘시’라는 사건 자체이다. 시인은 동시대가 소유한 이름이 아니라, 동시대의 감각을 발명하는 존재이다. 시는 도래할 언어의 순간에 먼저 도착해 무심한 표정으로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지금 ‘시 보다’라는 행위는 시‘보다’ 더 고요하고 격렬한 세계를 열어준다.
선정위원 강동호 김언 김행숙 이광호 이원 홍성희
* 강보원, 「일어나는 일들과 일어나선 안 되지만 일어나는 일들」 외
그렇군. 모르겠다…… 내가 뭔가를 잘못했는지도.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는 농부가 아니었던 것 같기도 하다. 그를 만난 것도 플로리다가 아니라 경기도 김포 어디쯤이었던 것 같다. 사실 왜 내가 그를 농부라고 생각했었는지조차 잘 모르겠다. 거기엔 정말이지 아무런 이유가 없었다.
―「파인애플 자르는 법」
2021년 『완벽한 개업 축하 시』를 펴내며 시인으로서 작품 활동을 시작한 강보원은 시대와 지금 현재의 문제점을 농담 같은 언어로 “시적 콩트를 연출”(김행숙)하듯 펼쳐 보인다. “일어난 일들이 그냥 시로 쓰일 수 있는 방법들을 찾으려고 노력”(시작 노트)하는 그의 언어는 사실 “정확한 지적 통찰의 결과”(강동호)로서 읽다 보면 자꾸만 화자와 닮은 ‘나’를 만나게 된다.
* 김리윤, 「전망들」 외
깨끗한 이불 아래서만 우리의 몸을 실감한다. 미약하게 미약하게 움직이며. 손톱 밑으로 파고드는 도시의 구조물들을 느끼며. 일주일에 두 번, 손톱 밑에 낀 세계를 깨끗하게 깎아내며. 조금씩 깊어지는 굴을 만지며. 우리는 먼지투성이 머리통으로 서로를 사랑한다.
―「전망들」
“김리윤의 언어는 나란한 활자들을 만드는 손끝의 움직임”(홍성희)이다. 익숙했던 공간은 그의 정교한 손끝에서 새로운 형태로 재탄생한다. 우리는 한 발 물러나 꿈꾸던 모든 열망이 그 낯선 공간 속에 쏟아지는 것을 바라볼 수 있다. 그의 시 ‘전망’은 말하자면 “동시대의 가장 정밀한 시적 구축물 중의 하나이다”(이광호).
* 김보나, 「세 명의 신을 위한 세 개의 방」 외
델타
내 것이 아닌 별의 이름을 부르며
나는 궁금해했다
아름다운 것을 빌지 않고도
그런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유리 우주」
김보나의 시는 쉽게 읽히는 듯하지만 그 속에 품은 통찰력과 깊이를 가늠하기 어렵다. 그의 시 세계는 “성녀도 아니고 천사도 아니면서 가끔 신을 생각”(시작 노트)하게 하고, 다정하고 정직한 언어로 스쳐 지나갈지도 모르는 이에게 “사랑의 고백을 예약”(김행숙)한다. 시가 끝나도 그다음을 궁금하게 한다.
* 문보영, 「방한 나무」 외
내가 있는 곳은 서늘하다
그 서늘함으로 나는 살아갈 수 있다
살아간다는 말은 민망하다
살아 있다는 말은 과장이다
―「정글과 함정」
“자유롭고도 능숙한 언어”를 구사한다는 평을 들으며 2016년 중앙신인문학상을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한 문보영. 그의 시들은 마치 언어로 만든 전시 작품장으로 우리를 인도하는 듯하다. “딴생각에 딴생각을 이어가는 와중에 발생하는 딴생각의 세상”(김언)에서 탄생한 아이디어가 다채롭게 펼쳐지는 장면을 관람하길 권한다.
* 백가경, 「사이파이 비문을 위한 간단한 메모」 외
어머니가 있었죠 어머니는 제 앞에서 길을 안내하셨습니다 대로를 건너서 작은 오솔길로 저를 이끌었어요 조금 걷다 보니 길이 끊겼고 어머니는 밤의 바다로 황금 로봇이 되어 날아가셨죠 바다와 하늘의 경계에서 저만 남았어요
―「Cul-De-Sac―늘 그렇듯 당신이 할 수 있는 가능한 한 최고의 속도로 읽을 것」
백가경의 “세심하게 고안된 체계”(홍성희)에서 들리는 목소리는 우리를 자신 바깥에서 지켜보는 목격자로 만든다. 나와 나의 관조라는 틈에서 상상력이 자라나고 “익숙한 풍경을 지적인 사유와 미래적 방향성으로 상징·조작”(이원)한다. 이 모든 것이 그에게는 ‘간단한 메모’이자 ‘놀이’이다.
* 안태운, 「기억 몸짓」 외
다 까고 나니 장면은 거기서 전환되었고, 대야의 물속에는 이제 물뱀과 개구리와 소금쟁이가 드나들었고, 구름의 혈연처럼 보이는 아이가 손가락을 담가 흐느적흐느적 움직였다. 이상한 꿈이다. 이상한 꿈이야. 구름은 눈물을 흘리며 어디로든 가보게 되었다.
―「돌과 구름」
스스로를 “연습하는 사람”(시작 노트)이라 말하는 안태운은 부단히 걷고 또 연마한 결과로 “상상력을 빌리는 것이 아니라 ‘되기’를 실행하”(김행숙)는 세계를 구축한다. “더 자유롭고 유연한 시의 상상적 모험”(이광호)이 탄생한다. 이를 바탕으로 내내 따뜻하고 애정어린 시선을 유지하는 그의 시 세계는 무한성을 가늠케 한다.
* 오은경, 「새장」 외
거리에는 기대어 쉴 나무 하나 없다 벚꽃 잎도 전부 사라졌다
[……]
네가 말했다 돌아가고 싶었지만 이미 늦었다 뒤를 돌아보니 새 떼가 날아오고 있었다 너를 관통했다
―「내가 먼저 피하려고 했어」
시집 『한 사람의 불확실』과 『산책 소설』에서부터 정적이고 담담하지만 집요한 시선으로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