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계단』, 『제노사이드』의 작가 다카노 가즈아키의 귀환
추리, 공포, SF를 망라한 미발표 작품집 한국에서 최초 공개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1위, 일본 서점 대상 2위, 일본 추리작가협회상과 야마다 후타로상을 석권하고 국내에서도 10만 부 이상의 판매고를 올린 『제노사이드』의 작가 다카노 가즈아키의 최신작 『죽은 자에게 입이 있다』가 일본보다 앞서 한국에서 첫선을 보인다. 20여 년간 7편의 장편소설과 1편의 연작 소설집을 출간해 온 작가에게는 사실상 첫 단편집으로서의 의의를 띤 작품집으로, 미스터리에서 공포와 SF까지 아우르는 여섯 편의 수록작 중 네 편은 여태 일본을 포함해 어느 지면에서도 공개된 적이 없는 미발표작이다. 각 수록작은 그간의 장편소설들에서 사형 제도부터 신인류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상상력을 선보인 저자의 사고실험을 보는 듯한 감각을 선사하는 동시에, 속도감 넘치는 전개에 탁월한 스토리텔러의 솜씨를 여실히 드러낸다. 『제노사이드』 출간 당시 여러 인터뷰를 통해 한국에 깊은 애정을 보인 저자는 독자들에게 보내는 메시지에서 “줄곧 따뜻하게 성원해 주셨던 여러분께 가장 먼저 선보일 수 있어서 무척이나 기쁘고 명예롭게 생각합니다.”라며 출간에 대한 소회를 밝혔다. 『죽은 자에게 입이 있다』 출간을 맞아 저자는 서울국제도서전에서 한국 독자들과 만날 예정이다.
객관적 사실에서 한 발짝 물러날 때,
불가사의한 세상은 그 진상을 비로소 드러낸다
비현실적인 요소를 전제로 한 특수 설정 미스터리가 최근 장르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았지만, 다카노 가즈아키는 이와는 다소 결이 다른 방식으로 초자연적 소재를 이야기의 핵심으로 끌어들인다. 여섯 편의 단편 중 네 편이 유령 혹은 죽은 자의 기억을 소재로 다루는데, 그림자처럼 이야기의 배경에서 부유하던 그들의 존재감은 전개에 따라 점차 선명해지며 현실적인 사건의 난제를 해결하는 실마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논리 전개를 위한 트릭으로서 활용되기보다는 한때는 살아 있던 사람이었을 개개인의 사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수록작 「발소리」는 심야의 귀갓길에 들려오는 환청이 주는 공포가 긴장감 넘치게 그려지며, 표제작 「죽은 자에게 입이 있다」는 살인 사건의 용의자의 자백을 받아 내려는 형사의 계책이 펼쳐지는 가운데, 사건 현장에서 퍼지는 유령 목격담이 중요하게 대두된다. 「세 번째 남자」에서는 꿈속에서 본 교통사고로 죽은 남자의 기억에 사로잡힌 여성이 남자의 마지막 유언을 유족에게 전하려다 그 사고의 진상에 다가가게 된다. 수록작 중 가장 나중에 쓰인 「아마기 산장」은 1958년의 전후(戰後) 일본을 배경으로 소위 ‘유령 저택’이라 불리는 건물과 광기에 찬 과학자의 사연을 파헤치는 기자의 추적을 통해 시대의 광기가 만들어 낸 “사람의 모습을 띤 괴물”의 형태를 그려 낸다.
미스터리와 초자연을 잇는 깊이 있는 시선
사형 제도와 현대 국가의 범죄 관리 시스템에 의문을 던진 데뷔작 『13계단』 이래 다카노 가즈아키에게는 늘 사회파 미스터리 작가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녔으며 SF인 『제노사이드』에서도 디테일하고 현실적인 묘사가 주목을 받았다. 그렇기에 유령이란 존재를 위화감 없이 당연한 존재로서 받아들이는 작품이 다수 수록된 이번 단편집이 의외로 다가올 수도 있으나, 사실 저자의 다른 작품들에서 초능력이나 빙의 같은 요소가 주요하게 등장하였으며 나오키상 후보에 올랐던 전작 『건널목의 유령』도 본격 심령물이었다. 그러나 이처럼 초자연적인 소재를 다루고 있는 작품들도 약자라는 위치에 놓여 시간의 저편으로 사라져 간 이들에 대한 연민과 인간의 악의에 관한 탐구라는 테마를 저자 특유의 흥미진진한 플롯 속에 녹여 내었으며, 이번에 출간되는 『죽은 자에게 입이 있다』 역시 마찬가지이다. 소재나 플롯 면에서 저자의 다른 작품들과의 연결 지점을 찾아보게 되는 묘미도 있다. 다카노 가즈아키를 사랑해 온 한국 독자들에게 『죽은 자에게 입이 있다』는 좀 더 확장된 시선으로 작가의 작품들을 돌아보게 하는 선물 같은 단편집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