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의 반격

제라르 뒤메닐님 외 1명
34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0
평균 별점
(2명)
코멘트
더보기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

1970년대 시작되어 지금까지 이르고 있는 세계적 규모의 경제위기를 분석했다. 19세기 말부터의 장기적인 경제 데이터와 현재의 정치경제적 상황을 분석하여,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이 전 세계에 미친 악영향을 비판했다. 지은이들은 현재의 경제상황이 1930년대 전세계 경제에 커다란 타격을 입힌 대공황 당시와 비슷하다는 데에서 우려를 표한다. 구조적 위기가 끝나 심각한 변화를 겪은 후 기술진보를 향해 나아간다는 점에서도 유사점이 있지만, 무엇보다도 대공황의 원인이 된 독점자본주의와 금융/자본의 이익을 우선으로 하는 정책이 현재는 신자유주의의 이름으로 다시 재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금융이 대공황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케인스주의적인 타협정책에 대항하고 국가 복지정책 축소 등으로 세계경제에 자신의 권력을 확립시켜나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아시아와 라틴아메리카의 경제위기를 사례로 제시하여 자본이동의 자유화와 세계화로 인한 전세계적 영향을 증명했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저자/역자

목차

한국어판 머리말 들어가는 글 1부 위기와 신자유주의 1장 이상한 변화의 동학 2장 경제위기와 사회질서 2부 위기와 실업 3장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구조적 위기 4장 기술진보는 가속화되고 있는가, 정체되고 있는가? 5장 일자리를 창출하는 미국, 실업을 창출하는 유럽 6장 노동비용의 억제와 복지국가에 대한 고삐 죄기 7장 실업은 피할 수 없는 일이었나? 8장 위기는 끝났는가? 3부 금융의 지배 9장 금리충격과 배당의 부담 10장 케인스주의 국가의 부채와 가계부채 11장 세계 각국으로 번진 금융위기 12장 헤게모니 하의 세계화 13장 금융화, 신화인가 현실인가? 14장 금융이 경제에 자금을 조달하는가? 15장 범죄로부터 이득을 얻는 사람들 4부 역사의 교훈 16장 역사적 선례, 19세기 말의 위기 17장 구조적 위기의 종언, 20세기는 19세기와 유사한가? 18장 금융 헤게모니의 두 시기, 20세기 초와 20세기 말 19장 내재적인 위험들, 1929년의 선례 20장 자본이동과 주식시장 열풍 21장 금융 헤게모니의 두 시기 사이의 간기, 번영의 30년 5부 전진하는 역사 22장 케인스주의 해석 23장 자본의 동학을 넘어서 보론 A. 저자들의 다른 연구 보론 B. 출처와 계산 역자 후기 주석 찾아보기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