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역사

허만원님 외 5명
722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2.2
평균 별점
(5명)
코멘트
더보기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서양 철학사의 흐름을 명저 100권을 통해 살펴본다. 너무 깊고 넓어서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철학 명저들을 각각 적당한 자리에 배치하고 간략하게 설명했다. 각 책들의 본문을 충실히 소개하고 그 사상의 핵심을 간추려 보여주었다. 고전 사상 명저 100권을 한 권으로 소개함과 동시에 이들 명저들을 실제로 찾아 읽을 수 있도록 유혹한다. 기독교의 성경에서부터, 현대의 각종 학문들(수학, 자연과학, 문학, 예술, 정신분석, 현상학 등)을 싹틔운 고전들을 거쳐, 정치 체제와 경제 체제는 물론 법률 체제 등의 기초를 놓은 현실적 이론서들까지 총망라했다.

저자/역자

코멘트

1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Ⅰ. 고대의 철학과 사상 ㅣ앎을 사랑한 사람들 지(知)를 사랑한 형이상학의 창시자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변명』 『크리톤』 『향연』 『국가』 현실의 문제로 눈을 돌린 만학의 아버지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시학』 진정한 쾌락이란 무엇인가 에피쿠로스 『설교와 편지』 황제가 된 철인(哲人)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 고대에서 중세로 가는 징검다리 플로티노스 『엔네아데스』 Ⅱ. 중세의 철학과 사상 ㅣ인간의 한계와 신의 섭리 『구약성서』 『신약성서』 초대 기독교교회가 낳은 성인(聖人) 철학자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스콜라철학의 왕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 성서 다음으로 많이 읽힌 책 토마스 아 켐피스 『그리스도를 본받아』 Ⅲ. 근세의 철학과 사상 ㅣ신도 죽고 인간도 죽고 중세적 세계관을 넘어선 천재 반항아 에라스무스 『우신 예찬』 정치의 과학화, 정치의 철학화 마키아벨리 『군주론』 현실에 대한 비판과 미래를 위한 상상 토마스 모어 『유토피아』 중세를 끝장낸 종교개혁가 루터 「기독교인의 자유에 대하여」 종교의 굴레를 벗긴 신학자 칼뱅 『기독교 강요』 프랑스 모럴리스트의 한 전형 몽테뉴 『수상록』 고전 경험론의 창시자 베이컨 『노붐 오르가눔』 공포를 극복하기 위해 괴물이 필요하다 홉스 『리바이어선』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데카르트 『방법서설』 『성찰』 종교에 귀의한 요절 천재 파스칼 『팡세』 신에 취한 범신론자 스피노자 『지성개선론』 『에티카』 경험론의 창시자 로크 『인간오성론』 근대 이론 과학의 선구자 뉴턴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세상을 이루는 가장 원초적인 것 라이프니츠 『단자론』 삼권분립을 창안한 법학자 몽테스키외 『법의 정신』 의학적으로 정신을 규명한 의사 라 메트리 『인간기계론』 영국 경험론의 한 극한 흄 『인성론』 자연으로 돌아가라 루소 『사회계약론』 독일 관념론의 창시자 칸트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판단력비판』 자아 속에는 비아(非我)도 있다 피히테 『전지식학의 기초』 근대 신학의 아버지 슐라이어마허 『종교론』 근대 철학의 완성자 헤겔 『정신현상학』 『법철학강요』 조숙한 천재에서 신비주의자로 셸링 『인간 자유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탐구』 Ⅳ.현대의 철학과 사상 ㅣ이성에 대한 회의와 새로운 사상의 모험 <마르크스주의 철학> 인간은 왜 신을 만들었나 포이어바흐 『기독교의 본질』 공산주의·사회주의의 창시자 마르크스 『경제학·철학 초고』 『독일 이데올로기』 마르크스의 진정한 동지 엥겔스 『반뒤링론』 『포이어바흐론』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를 세운 인물 레닌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철학 노트』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수정과 변질 스탈린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에 관해서』 위대한 영웅의 두 얼굴 마오쩌둥 『실천론』 『모순론』 마르크스주의 문학론의 대부 루카치 『역사와 계급의식』 이탈리아 공산당의 창설자 그람시 『베네데토 크로체의 철학과 사적 유물론』 신좌익운동의 정신적 지주 마르쿠제 『이성과 혁명』 휴머니즘과 만난 마르크스주의 르페브르 『마르크스주의의 현실적인 여러 문제들』 마르크스를 읽는 색다른 한 방법 알튀세 『되살아나는 마르크스』 <정신분석> 정신분석학의 창시자 프로이트 『정신분석입문』 물신 시대와 마음의 병 에리히 프롬 『희망의 혁명』 약속의 땅, 희망 가득한 토양 프랭클 『죽음과 사랑』 <실존철학> 실존철학의 선구자 키르케고르 『현대의 비판』 『죽음에 이르는 병』 20세기 실존철학의 대가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실존철학이 비이성적이라고? 야스퍼스 『이성과 실존』 프랑스 실존철학의 한 풍경 마르셀 『존재와 소유』 실존철학을 유행시킨 최후의 지식인 사르트르 『존재와 무』 여성은 만들어진다 보부아르 『제2의 성』 네가 없으면 나도 없다 부버 『나와 너』 기독교 실존주의의 대표자 베르댜예프 『현대 인간의 운명』 <현대의 신학사상> 예수라는 신화와 실존 불트만 『신약성서와 신화』 변증법 신학의 탄생 칼 바르트 『로마서 강해』 낙관론과 마르크스주의를 넘어 니부어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억압당한 사람들을 위한 신학 시몬 베유 『억압과 자유』 진화론과 신학의 만남 샤르댕 『인간 현상』 <생의 철학> 염세사상의 대표자 쇼펜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