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건축과 미술이 만나다 1890~1940 ] 지은이의 말 1장 과거에서 미래로 01 아르누보, 보수와 진보의 가치를 연결하다 새로운 예술|기마르의 '파리의 지하철'|툴루즈 로트레크의 '물랭루즈로 들어서는 잔 브릴' |꿈틀거리는 선과 주관적 심리세계 02 미래주의, 역동적 상상력으로 전통을 뛰어넘다 정치의 색깔|산텔리아의 '신도시'|보초니의 '상상력의 공존'|기계문명의 확신, 그리고 실천 03. 표현주의 1, 독일다움과 산업화의 공존 독일의 트라우마|회거의 칠레 하우스|마르크의 '새'|동물, 색, 기하학 04. 표현주의 2, 새로운 세계를 꿈꾼 창조적인 유토피아 현실과 이상|타우트의 '알프스 건축'|페히슈타인의 '숲 속 연못에서 춤추고 목욕하는 사람들'| 땅, 원시성 그리고 새로운 세계 2장 아방가르드 운동 05. 입체파, 시간과 공간 사이의 동시성과 다면성을 표현하다 우주, 인간, 사물의 존재상태|피카소의 '보트를 든 마야'|로스의 뮐러 주택| 복층 공간 06. 순수주의, 철근콘크리트와 입체주의 세계관을 융합하다 건축과 미술, 그리고 기계문명|잔레의 '파란 바닥 위의 하얀 항아리 정물'|르 코르뷔지에의 빌라 사보아|20세기 건축 모델 07. 데 스테일, 현대 추상예술의 첫 완성을 이루다 추상은 근원을 찾는다|몬드리안의 '빨강, 노랑, 파랑에 의한 구성'|두스뷔르흐의 암스테르담 대학교 홀의 천장, 벽, 바닥 색체 연구|사선 논쟁 3장 예술성과 생산성 08. 공예논쟁, 기계의 존재를 예술에 도입할 것인가? 모더니즘에서 공예의 위치|무테지우스와 벨데의 공예논쟁|표준화 VS 개별성 09. 바우하우스, 기술과 예술의 통합 그로피우스의 데사우 바우하우스|기능주의|칸딘스키, 클레|알베르스의 '무제' 10. 기능주의, 예술의 사회적 책임을 사유하다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바이센호프 주거단지|1920년대 독일 사회와 신객관성 그룹 |후부히의 '쾰른 여자 수영 선수' 4장 자본주의 VS 사회주의 11. 아르데코, 자본주의 소비를 향한 프랑스 공예 순수예술과 상업성의 만남|르파프의 「보그」 표지디자인|스테뱅스의 노아유 빌라 12. 러시아 구축주의 1, 모더니즘과 사회주의 예술의 합체 사회주의 양식|멜니코프의 마호르카 파빌리언| 리치츠키의 '레닌 연설대' |선전미술 13. 러시아 구축주의 2, 근대의 역동성과 혁명정신 '구성'이냐 '구축'이냐|타틀린의 제3 인터내셔널 기념비| 라도프스키의 '두 지점에서 지지되는 교차보' 5장 반(反)기계문명, 반미학운동 14. 다다, 상식과 관습을 정복하는 반문명의 사유 아프리카의 재발견|에른스트의'죄 없는 자의 대량학살'|슈비터스의 '메르츠바우'|'되어가는 중’ 15. 초현실주의, 무의식의 세계를 몽환적으로 표현하다 초현실주의와 다다의 차이|달리의 '삶은 콩으로 세운 부드러운 구조물, 내전에 대한 사전 경고'|키슬러의 끝없는 집|자궁 6장 메트로폴리스 대 교외이상 16. 마천루와 대중주의, 메트로폴리스와 도시의 미래 수직선 VS 수평선|후드의 록펠러 센터와 오키프의 '라디에이터 빌딩, 야경, 뉴욕'|페리스의 '미래의 대도시'와 시트로엥의 '메트로폴리스' 17. 공장미학, 자본주의 미국 문명을 표상하다 브링크만의 반 넬레 공장|실러의 '열십자로 교차하는 컨베이어-포드 공장'|아르데코에 기반한 정밀주의 18. 미국 모더니즘, 대도시 밖의 교외를 이상화하다 라이트의 '낙수장'|아메리칸 리얼리즘|우드의 '스톤 시티' 7장 전체주의 시대 19. 나치, 사회주의 리얼리즘, '선전.예술.현실.민중'이라는 새로운 양식 슈페어의 1937년 파리 만국박람회 독일 전시관|란세야의 콤소몰스카야 지하철역 입구 홀 마졸리카 벽화|이오판의 소비에트 궁전 계획안 20. 파시즘 예술, 고전주의의 전통을 끌어오다 고전주의의 영향|프람폴리니의 '전진!의 점화'|테라니의 코모 카사 델 파사오 [ 건축과 미술이 만나다 1945~2000 ] 지은이의 말 1장 탈 모더니즘과 모더니즘 재해석 01. 아르브뤼.뉴 브루털리즘, 비합리적이고 추한 것도 인간 본성이다 뒤뷔페의 '작은 숲'| 스미드슨 부부의 도구 주택| 사르트르의 생각 02. 추상표현주의, 미국다운 예술 양식의 창조 미국적 상황|고키의 '쟁기와 노래'|폴록의 드리핑 기법|니마이어의 상파울루 400주년 기념박람회 전시관 03. 레이트 모더니즘, 광택 추상과 색채 추상 페이의 차이나 뱅크|후기 회화적 추상|놀런드의 '땅거미' 04 네오 모더니즘, 대중과 소비미학의 시대 그레이브스의 '스나이더만 하우스'|건축과 미술의 장르적 속성 |멘디니의 '시간 속에 살기' 2장 소비사회와 대중주의 05. 팝아트, 현실 그 자체가 예술적 생성력 소비산업사회|웨셀만의 '정물 #25'|홀라인의 오스트리아 여행사 본사|대중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