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학파의 인류학

전경수 · 인문학
604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머리말 제1장 서언: 불멸의 식민지 경험 제2장 경성제국대학의 학술 조사와 ‘경성학파’의 탄생 1. 서론: ‘희망’ vs. ‘상황’ 2. MAB 복합과 학술 조사 3. ‘만몽’에서 ‘대륙’까지: 경성제국대학 중심의 ‘문화연구회’ 4. 대학 병영화와 대륙자원과학연구소 5. 패전에서 폐교까지: ‘상황’ 종료와 ‘희망’ 재생 6. 소결: ‘경성학파’의 학통 잇기 제3장 아카마쓰 치조의 원시문화학과 무파론 1. 서론: 오해의 시발 2. 가계와 학통의 약보 3. ‘원시문화학’: 종교학과 민족학의 가교 4. 무파론 5. 조선인 연구자들과의 관계 6. 제대교수-만주국촉탁-의원면본관 7. 소결: 전쟁이라는 ‘블랙홀’ 제4장 아카마쓰 치조의 미출간 원고와 사진 자료 1. 서론 2. 범문에서 종교학으로 3. 제 종교론 4. 소결: 칙임관 사임의 은항책 제5장 아키바 타카시의 조선과 만몽 연구: 식민주의적 혼종성 1. 서론: 관점으로서의 혼종성 2. 지적 배경: 프티 오리엔탈리즘 3. 조선민속학의 토대 구축: 식민지적 학문 양식 4. 학-첩 합작의 만몽민족학: ‘토케부·요시오카’와 함께 5. 박물관 6. 무속: ‘기묘한 학문’의 박사학위 7. 황도주의의 전도사 8. 소결: ‘속학’ 유전 제6장 앨범 속의 아키바 타카시 1. 서론 2. 유학(영국과 프랑스) 3.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4. 아이치대학 사회학과 제7장 인골 연구와 전시인류학: 이마무라 유타카의 남가일몽(?) 1. 서론: 해부학자의 체질인류학 2. 경성제국대학 해부학교실 3. ‘만몽’과 ‘대륙’의 체질인류학자 4. 결전 체제와 자원 조사 5. 폐교와 인양 6. ‘복원’: 팔학련과 경성학파 7. 소결: 고해성사와 유산 제8장 이즈미 세이이치의 뉴기니 조사와 군속인류학: 대동아전쟁과 학문 1. 서론: ‘남선북마’ 2. ‘해군 뉴기니 조사대’ 3. ‘군속’의 학술 조사: 미완과 은폐 4. ‘대동아’의 시뮬라크르: ‘상징물리학’ 5. 소결과 과제 제9장 경성제국대학 제3차 몽강학술조사대보고의 소개 제10장 결론: 제국 일본의 식민지인류학과 전시인류학 참고문헌 찾아보기 발간사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준엄한 패전의 ‘상황’에서도 ‘희망’의 화톳불은 타고 있었다 이 책은 제국 일본의 식민지 정책이 실시되었던 조선에서 문화통치 기구의 하나로 자리매김했던 경성제국대학을 다룬다. 고등교육기관의 교육 제도 차원에서 식민지대학을 연구하려는 것이 아니고, 대학 차원에서 실시되었던 학술 사업과 소속원들에 의해서 실천되었던 학술 업적 중 특히 인류학 분야에 한정해 논의하는 것이 이 책의 일반 목적이다. 그리고 경성제국대학이 존치했던 1926년부터 1945년 사이에 대학 차원에서 또는 소속원들에 의해서 이루어졌던 인류학적 작업들을 망라해 정리하고 분석하는 것이 이 책의 구체적 목적이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