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는 자신의 꿈을 향해 첫발을 떼기도 하고, 다른 누군가는 각박한 현실에 치여 꿈을 포기하기도 하는 나이. 이제 마냥 어리다는 핑계를 댈 수 없는, 그래서 어느 방향이든 한곳을 향해 달리고 싶지만 금세 또 ‘될 대로 되라’ 덜 자란 척 때려 치고 싶어지기도 하는, 변덕스럽고 혼란스러운 시기. 바로 스물셋이다. 김청귤의 「마법소녀, 투쟁」은 은퇴를 앞둔 스물두 살 마법소녀의 투쟁기를 그리고 있다. 서이제의 「창문을 통과하는 빛과 같이」는 스물세 살에 다시 교복을 입어 보게 된 고등학교 친구, 세연과 수민의 이야기를 그린다. 이서수의 「청춘 미수」의 주인공 ‘미수’는 “하나도 힘들지 않은 일을 하면서, 나답게 살 수 있는 일을 하면서 한 달에 300만 원만 벌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정말 많이 했”다고 말한다. 황모과의 「망한 연애담: 세상을 망하게 한 사랑」은 “누군가의 절규에 선택적으로 미지근했”던 그때를 반성하며, 이번에야말로 숨이 막혀 죽을 때까지 사랑하자고 외치고 있다. 신종원은 「인어의 독백」을 통해 ‘젊음’이 “공동체가 기대하는 역할과 화면에서 벗어나 미궁 같은 안개 속으로 사라져 버린” 세상 모든 젊은이를 포용할 수 없다면 우리는 기꺼이 젊음을 폐기해야 한다고 말한다. 윤치규의 「스토커」는 태어나 처음 사귄 친구로 시작한 최민혁과 염민지의 이야기가 그려진다. 이상욱은 「아직은 무제(無題)」에서 “힘들고 외로운, 그래서 어제의 선택이 후회스러운 날들이 계속 이어”지겠지만, “하나 확실한 건, 이 모든 순간이 지나가면, 너는 아무에게도 의지하지 않고 혼자 힘으로 걷게 될 거”라고 뜨거운 응원을 보낸다. 임국영의 「여명의 코믹스」는 만화학과 졸업생의의 이야기를 통해 타인과의 소통 과정에서 주고받는 상처에 대한 위축과 미완성의 불안에 대해 진지하게 짚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