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이 병이 되는 시대

로버트 휘태커
51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4.5
평균 별점
(1명)
코멘트
더보기

바야흐로 정신질환 유행의 시대다. TV와 유튜브에는 정신과 의사들이 등장하고, 정신질환은 뇌의 병이니 치료해야 하고 치료할 수 있다고 말한다. 과연 항생제가 원인이 되는 세균을 죽여 전염병을 치료하듯이(이것이 ‘마법 탄환 모델’이다) 정신과 약물은 발병과 관련된 뇌의 부위를 타게팅하여 정신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까? 정신질환의 진단은 DSM이라는 진단기준을 토대로 하여 의사의 판단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DSM에서 제시하는 각 정신질환의 단일 생물학적, 유전학적 원인은 거의 밝혀진 바가 없다. 저널리스트 로버트 휘태커는 정신과 약물치료에 대한 근본적인 의혹을 제기한다. 이 책의 원제는 ‘Anatomy of an Epidemic(어떤 유행병의 해부)’이다. 여기서 말하는 유행병은 정신질환을 말한다. 새롭게 개발된 정신과 약을 통해 정신질환자들을 병원에서 지역사회로 돌려보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20세기 중반부터 현재로 올수록 정신질환으로 인한 장애 발생률은 늘어만 가고 있다. 항우울제, 항불안제는 현대인의 우울과 불안을 박멸할 수 있는가? 항정신병약물은 조현병을 없앨 수 있는가? 과연 정신과 약으로 뇌의 화학 불균형은 바로 잡을 수 있는 것인가?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목차

추천사 마법 탄환의 물신 숭배 속 쌓여가는 처방전들 _정희원 이 이야기는 널리 퍼져야 한다, 고장난 뇌일까? 고장난 믿음일까? _이하늬 한 장의 처방전 속에 숨겨진 여러 가정들 _조철래 《약이 병이 되는 시대》 한국어판에 부쳐 _스티븐 C. 헤이즈 중증 정신건강 위기에 대한 인간적인 치료 문화 만들기 _야코 세이쿨라 서문 옮긴이의 글 나의 정신과 약물 연대기 _장창현 1부 유행병 1 현대판 역병 2 일화에서 비롯된 생각들 2부 정신과 약의 과학성 3 유행병의 뿌리 4 정신의학의 마법 탄환 5 화학 불균형 추적 3부 결과 6 밝혀지는 역설 7 벤조디아제핀이라는 함정 8 일시적 질병의 만성화 9 양극성 급증 10 설명되는 유행병 11 어린이에게 퍼지는 유행병 12 아파지는 어린이들 4부 망상에 대한 설명 13 이데올로기의 부상 14 들은 이야기… 듣지 못한 이야기 15 수익 집계 5부 해결책 16 개혁을 위한 청사진 에필로그 후기 연구 업데이트 감사의 말 인용 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정희원 노년내과 교수(서울아산병원), 이하늬 작가, 수용전념치료 창시자 스티븐 헤이즈 추천* “정신질환 유행의 시대에 정신과 약물이 과연 답이 될 수 있는가? 이 책은 약이 오히려 병이 될 수도 있음을 방대한 연구자료와 전문가 인터뷰, 정신질환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살핀다.” 바야흐로 정신질환 유행의 시대다. TV와 유튜브에는 정신과 의사들이 등장하고, 정신질환은 뇌의 병이니 치료해야 하고 치료할 수 있다고 말한다. 과연 항생제가 원인이 되는 세균을 죽여 전염병을 치료하듯이(이것이 ‘마법 탄환 모델’이다) 정신과 약물은 발병과 관련된 뇌의 부위를 타게팅하여 정신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까? 정신질환의 진단은 DSM이라는 진단기준을 토대로 하여 의사의 판단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DSM에서 제시하는 각 정신질환의 단일 생물학적, 유전학적 원인은 거의 밝혀진 바가 없다. 저널리스트 로버트 휘태커는 정신과 약물치료에 대한 근본적인 의혹을 제기한다. 이 책의 원제는 ‘Anatomy of an Epidemic(어떤 유행병의 해부)’이다. 여기서 말하는 유행병은 정신질환을 말한다. 새롭게 개발된 정신과 약을 통해 정신질환자들을 병원에서 지역사회로 돌려보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20세기 중반부터 현재로 올수록 정신질환으로 인한 장애 발생률은 늘어만 가고 있다. 항우울제, 항불안제는 현대인의 우울과 불안을 박멸할 수 있는가? 항정신병약물은 조현병을 없앨 수 있는가? 과연 정신과 약으로 뇌의 화학 불균형은 바로 잡을 수 있는 것인가? 이 책은 ‘화학 불균형 이론’이 신화라고 말한다. 약물이 효과를 발휘하는 기전을 정신질환의 병인론으로 환원시키는 오류를 지적한다. 낮은 세로토닌과 높은 도파민 만으로 정신질환을 설명할 수는 없다. 또한 약물을 장기간 사용했을 때 오히려 환자의 기능이 떨어질 수 있음을 학술적 근거를 갖고 제시한다. 소아 청소년에 사용되는 항우울제와 ADHD약은 어떠한 경우 양극성장애의 조증이라는 의인성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다. 약으로 도움을 받기도 하지만 오히려 몸과 마음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방대한 연구 자료와 전문가 인터뷰도 담겨있지만 무엇보다 이 책의 미덕은 정신과 약물을 경험한 정신질환 당사자들의 삶의 이야기가 생생하게 실려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정신질환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 정신과 약의 양면성을 깊이 있게 살필 수 있다. 제약회사와 정신의학계의 사회경제적 속성이 정신과 약물 사용의 방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탐색 또한 여느 책에서 보기 힘든 내용이다. 비판이 있으면 대안이 있다. 이 책 말미에도 대안이 담겨있지만 문제 제기에 대한 구체적인 응답이 2020년 번역된 《비판정신의학》에 잘 제시되어있다. ‘수용전념치료’의 창시자인 스티븐 헤이즈의 한국어판 추천사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이 책은 정신의학에 대한 고발이 아니다. 우리 사회가 정신건강에 대한 도전을 어떻게 감당할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달라는 탄원서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