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장. 세계화 시대에서의 동서 융화철학?―?서구에서의 노자 … 15 1. 하이데거와 도가(道家)의 동서 융화철학 … 15 2. 동서 문화 교류를 위한 후설 현상학의 기여 … 31 제2장. 하이데거와 도가(道家) 철학의 근친성 … 43 1. 하이데거와 노자의 사유 세계 … 43 2. “신비에 가득 찬 상응” … 46 3. 하이데거와 도가(道家) 사이의 상이성(相異性) … 52 1) 불안과 죽음의 실존적 문제 … 52 2) 우주 생성론의 문제 … 55 3) 정치와 사회 및 윤리적인 문제 … 56 제3장. 도(道)와 존재의 존재 방식 … 63 1. 도(道)의 존재 방식 … 63 2. 척도로서의 도(道) … 77 3. ‘존재’의 존재 방식 … 86 제4장. 무(無)와 빔의 존재론 … 99 1. 하이데거와 도가(道家)에서의 무(無) … 99 2. 무(無)의 존재 위상 … 116 제5장. 무위자연(無爲自然)과 초연한 내맡김(Gelassenheit) … 119 1. 도가의 “무위자연” … 119 2. 하이데거의 ‘초연한 내맡김’ … 128 제6장. 도(道)와 존재와 인간 … 147 1. 도(道)와 존재와 인간의 위상 … 147 2. 하이데거에게서의 “퇴락-존재(Verfallen-sein)” … 159 3. 장자에게서의 “물(物)에 얽매인 존재로서의 인간” … 167 제7장. 도·존재·피시스(Physis) … 175 1. 피시스(physis)의 세계 … 175 2. 피시스와 자연(自然)에 내재된 법칙 … 186 3. 피시스와 도(道)의 운동과 항존성 … 196 제8장. 하이데거와 도가에서의 부정 존재론 … 205 1. 부정 존재론의 역사 … 205 2. “현상학적 해체”로서의 부정 존재론 … 216 3. 하이데거의 부정 존재론적 사유 … 223 4.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긍정 형식의 존재론 … 230 5. 노자의 부정 존재론적 사유 … 232 6. 노자에게서 긍정 형식의 존재론 … 236 7. 부정 존재론에서 긍정 존재론으로 … 239 제9장. 시원적 사유(das anfangliches Denken)와 형이상학 … 247 1. 형이상학의 역사와 하이데거의 탈형이상학 … 247 2. 전통 형이상학과 니힐리즘 … 254 3. 하이데거와 도가(道家)의 시원적 사유 … 261 제10장. 도와 존재의 언어철학 … 277 1. 현대의 언어철학과 하이데거의 언어 사유 … 277 1) 언어철학 서론 … 277 2) 언어분석철학과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 … 280 3) 비트겐슈타인과 하이데거 및 노자에게서 “말할 수 없는 것” … 286 4) 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언어철학 … 289 5) 영·미와 프랑스의 현대 언어철학에 잔존하는 근대성 … 292 6) 하이데거의 시원적 언어 사유 … 296 2. 하이데거의 전기 언어 사유 … 299 3. 하이데거의 후기 사유와 존재 언어 … 304 4. 노자와 하이데거의 언어 사유 … 315 5. 시적인 언어와 존재의 경험 … 330 6. 시인은 신의 성스러운 사제인가?? ―?고대 그리스적 기원에서 사제로서의 시인 … 335 1) “사유하는 시인”과 “시작(詩作)하는 철인” … 335 2) 존재개현(Seinseroffnung)으로서의 시작(詩作) … 340 3) “궁핍한 시대”에 신의 사제로서의 시인 … 345 4) “신의 성스러운 사제”로서의 시인의 사명과 소명 … 350 5) 고대 그리스적 기원에서 헤르메스적 사자(使者)로서의 시인 … 359 7. 노자의 “시작(詩作)하는 사유” … 366 제11장. 도와 존재의 길(Weg)을 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