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여행 #문학 #외국어 말들을 여행하는 소설가 다와다 요코의 언어세포 자극 에세이 국경 너머로, 모어 바깥으로 언어와 언어 사이를 가로지르는 모험 베를린에 살면서 독일어와 일본어, 두 가지 언어로 소설을 쓰는 작가 다와다 요코가 언어의 세계로 떠나는 특별한 여행에 독자들을 초대한다. 1부는 저자가 서울, 케이프타운, 베이징, 마르세유, 로스앤젤레스 등 세계 각지의 도시를 돌아다니며 경험한 일들을, 2부는 독일어를 중심으로 생활 속 언어가 낯설고 신비로워지는 순간들을 담았다. 여러 작가와 문학 이야기뿐만 아니라 언어민족주의, 다언어 사회, 외국어, 번역 등 사회언어학적 문제에 관한 통찰이 두드러지는 에세이로, 모어 바깥에서 언어와 언어 사이를 가로지르는 이 책의 모험을 따라가다 보면 더 민감해진 언어 감각과 더 풍부해진 세계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말들의 여행, 말들의 생활 소설가 다와다 요코가 들려주는 특별한 ‘언어’ 여행기 베를린에 살면서 독일어와 일본어, 두 가지 언어로 소설을 쓰는 작가 다와다 요코가 언어의 세계로 떠나는 특별한 여행에 독자들을 초대한다. 『여행하는 말들―엑소포니, 모어 바깥으로 떠나는 여행』은 레싱 문학상, 샤미소 상, 아쿠타가와상, 이즈미 교카상 등 독일과 일본 양국에서 유수의 상을 수상한 저자가 언어에 관해 쓴 에세이들을 묶은 책이다. 이 책은 말을 중심으로 세계가 움직인다고 생각하는 저자가 국경을 넘고 모어(母語) 안팎을 가로지르는 언어의 여행을 따라가는 동시에, 그 언어의 세계를 직접 탐험한 여정을 기록한다. 언어와 언어 사이에서 출현하는 낯선 사유와 자유로운 상상력을 만날 수 있다. 1부는 저자가 서울, 케이프타운, 베이징, 마르세유, 로스앤젤레스 등 세계 각지의 도시를 돌아다니며 경험한 일들을 담았다. 낭독회, 강연회, 시상식, 학술 행사, 작품 취재 등으로 방문한 도시에서 각국의 문학과 언어와 역사와 문화에 관해 날카로우면서도 재기 넘치는 생각들을 펼쳐놓는데, 다와다 요코가 가이드가 되어서 들려주는 독특한 여행기처럼 읽힌다. 다언어 사회의 문제점과 가능성, 언어를 빌미로 이루어지는 이주자 차별 정책, 미지의 언어가 전달하는 상상력, 음악과 언어의 관계, 중국과 일본의 한자 비교 등의 이야기를 일상의 감각으로 전해주며, W. G. 제발트, 파울 첼란, 헤르타 뮐러, 토마스 만, 박완서를 비롯해 여러 작가들의 이야기도 소개한다. 2부는 독일어를 중심으로, 우리의 언어생활, 생활 속 언어를 더 깊숙이 들여다본다. 평소에 대수롭지 않게 쓰는 말들을 낯설게 함으로써 어떻게 우리가 “말의 모습 그대로를 만질 수 있”(195쪽)는지, 또는 언어가 어떻게 우리 삶에 파고들어 사고와 무의식에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놀이하는 감각으로 이야기한다. 언어의 세계, 그리고 언어가 만들어내는 세계를 섬세하고 풍부하게 기록하는 언어 여행기『여행하는 말들』은 재일조선인 서경식 교수와 주고받은 편지를 엮은 『경계에서 춤추다』(2010)에 이어, 저자의 에세이 중 한국에 두 번째로 소개되는 책이다. 엑소포니, EXOPHONY, エクソフォニー 모어 바깥으로 떠나는 언어의 모험 『여행하는 말들』의 원제 ‘엑소포니’(エクソフォニー, exophony)는 모어(모국어가 국민으로 태어난 나라의 국어라면 모어는 태어나서 처음 익힌 말이다)가 아닌 언어로 쓴 문학, 또는 모어 바깥으로 나간 상태 일반을 뜻한다. 엑소포니는 이 책을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어이기도 하다. “엑소포니 현상은 모어 바깥으로 나가지 않은 ‘보통’ 문학에도 왜 그 언어를 골라잡았느냐는, 이제껏 묻지 않았던 물음을 던진다.”(24쪽) 동시에 이러한 모어 바깥으로 떠나는 언어의 모험이자 ‘아주 큰 정신적 모험’을 제안한다. 그것은 “나를 속박한 모어 바깥으로 어떻게 나가지? 또 나가면 어떻게 되지?”라는 물음이며 “창작욕과 호기심으로 가득한 모험적 발상”(23쪽)이다. 엑소포니는 국경을 넘어 나라 바깥으로 나가는 여행이나 이주의 경험을 수반할 가능성이 높지만, “모어 바깥으로 나가지 않아도 모어 안에서 복수의 언어를 창조하면 ‘밖’이나 ‘안’이 나뉘지 않을 수도 있”(59쪽)다. 그래서 저자는 “모어에서 한 발짝 떨어져 외국어를 통해 자기를 다시 발견하고 인간관계를 다시 생각하고 세계사를 다시 이해했으면 하는 바람에서 이 책을 썼다”(6쪽)라고 적었다. 저자에 따르면, 우리는 모어를 통해, 모어의 틀로 세상을 이해하고 사람을 대하는 법을 배운다. 하지만 다른 언어로, 세계 각지 각 계층의 사람들과 대화를 하며 상대방과 나의 입장을 몇 번이고 오가다 보면, 모어 안에서 미처 보이지 않던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생겨날 것이다. “엑소포니는 어떤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한번 이동하고 끝나는 운동이 아니라 끊임없이 이동할 수 있는 날개를 가진 정신”(11쪽)이며, 이때 “외국어 공부는 새로운 자기를 만드는 일, 미지의 자기를 발견하는 일”(208쪽)이 될 수 있다. 해외여행과 이주, 외국어 학습이 일상이 된 시대에 저자는 ‘엑소포니’라는 말을 통해, 그리고 문학과 생활 속 언어를 들여다보며 우리가 여행을 하고 외국어를 공부하는 이유에 대해 근본적인 지점에서 질문한다. 『여행하는 말들』을 읽으며 독자들은 모어와 한국사회를 낯설게 볼 수 있는 눈, 민감하고 풍부한 언어 감각, 더 잘 소통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될 것이다. 언어민족주의, 번역, 세계문학… ‘언알못’도 재미있게 읽는 사회언어학 이야기 『여행하는 말들』은 잘 쓰인 에세이이자 훌륭한 사회언어학 이야기이기도 하다. 옮긴이에 따르면, 이 책에는 “모어와 외국어, 피진, 크레올, 다언어 사회, 소수 언어 보호 정책, 공용어, 번역 등 사회언어학 교과서에 나올 만한 핵심 개념이 모두 나와 있다. 각국의 역사, 언어와 문학, 자연 경관을 작가의 개인적 일화와 섞어서 사회언어학 개념으로 실타래 풀듯이 이야기하는 이 책은 사회언어학이란 학문을 다채롭고 입체적으로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226~227쪽) 물론 이 책은 사회언어학 교과서처럼 딱딱하지는 않다. 저자는 「들어가며」에 이렇게 적었다. “말을 중심으로 세계는 언제나 움직인다. 태평양을 떠도는 물고기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없듯 세계가 도는 전체 움직임을 파악하기란 불가능하다. 처음엔 ‘이주자 문학’, ‘초월’, ‘크레올’, ‘마이너리티’, ‘번역’ 같은 핵심어로 그물을 쳐 물고기 떼를 잡으려고 해봤다. 어쩐지 잘되지 않았다. 그래서 이번엔 내가 물고기가 되어 여러 바다를 헤엄치며 돌아보았다. 그랬더니 쓰고 싶은 것을 잡아낼 수 있었다. 언제나 여행을 하는 내 생활과 어울리는 글쓰기다. 직접 헤엄치는 글쓰기로, 원래는 추상명사가 자리했던 곳을 도시 이름이 채우게 됐다.”(5쪽) 저자는 어려운 개념어를 사용하는 대신, 친숙한 에세이 형식을 통해 자신이 직접 체험한 이야기와 문학 경험을 섞어 언어가 움직이는 사회와 “세계가 도는 전체 움직임”을 보여준다. ‘언알못’(언어학에 관해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하지만 저자가 이 책에서 들려주는 통찰은 결코 만만치 않다. 외국어 학습과 교육에 관한 이야기는 물론 언어민족주의, 공용어, 소수언어, 번역, 한국문학/세계문학 문제까지, 한국사회에서 섬세한 논쟁 없이 지나쳐버린 문제들에 대해 관점과 발상의 전환을 가능케 한다. “언어의 순수함, 문화의 순수함 같은 건 없다고, 그것은 자기가 자기를 속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87쪽), “현대의 인간은 복수 언어가 서로 변형을 가하면서 공존하는 장소이며 그 공존과 일그러진 언어를 없애는 것은 무의미하다”(106쪽), “모어가 자연스럽다고 믿으면 언어와 진지하게 관계 맺을 수 없고 현대문학 역시 성립하지 않는다”(147쪽), “오역이란 짐을 지지 않고는 여행을 할 수 없다”(163쪽) 등의 문장은 힘이 있으며, 저자의 단단하고 깊은 사유를 짐작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