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우리나라 과학사를 연구한 1세대 학자, 전상운 선생님이 ‘어린이를 위해 쓴 우리나라 과학사’, 《돌도끼에서 우리별 3호까지》 개정판이 출간되었습니다! 전상운 선생님은 일찍이 우리 과학의 우수성을 알아차리고, 우리 땅 곳곳에 방치된 과학 문화재를 몸소 발굴하고 그 가치와 의의를 연구하고 국내외에 알리는 데 한길을 걸어온 분입니다. 1982년에 그 공로를 인정받아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습니다. 어린이 인문교양서의 가능성을 보여준 모범작 《돌도끼에서 우리별 3호까지》는 2001년 8월 10일 초판이 출간되어 만 7년 동안 수십 쇄를 거듭하며 어린이 독자의 사랑을 받아온 책입니다. 또한 아이세움의 태동과 더불어 기획된 첫 책으로, 아이세움이 좋은 어린이 교양서 출판사로 자리매김하는 데 크게 기여한 책이기도 합니다. 당시에만 해도 전문 학자가 어린이책을 쓰는 일이 드문 터였기에, 《돌도끼》 출간은 제대로 만든 어린이용 지식교양서의 시작을 알렸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옛 이야기처럼 편안히 듣는 우리 과학 이야기 ‘차례’만 보아도 이 책이 얼마나 다정하게 독자에게 말을 걸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 책의 소재는 만만치 않습니다. 과학과 역사의 만남! 일종의 테마사라고도 할 수 있겠지요. 대개 미시사나 테마사는 통사 이후의 독서 단계로 치지요. 그래서 평소 아주 구수하게 말씀을 잘 하시는 전상운 선생님은 옛 이야기 전략을 썼습니다. ‘옛날옛날 과학은 그렇게 시작되었단다’ 하고 시작된 선생님의 옛 이야기는 인류의 조상이 도구와 불을 사용했을 때로 거슬러 올라가, 청동기와 철기 시대, 공예 기술이 더 한층 발달한 삼국 시대,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를 발명한 고려 시대, 천문관측이 발달한 조선 시대 전기, 청나라와 서양의 근대과학 문명을 받아들인 조선 후기 그리고 근현대까지 술술 넘어옵니다. 이번 개정 작업은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첨단 과학 분야 내용을 보강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줄기세포 복제와 관련된 황우석 박사 이야기는 논란이 계속되고 있으므로 단순 언급 차원으로 제한하여 수정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과학의 최고 전문가 집단으로 불리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선정한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을 부록으로 실었습니다.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은 한림원에서 2003년부터 운영해온 사업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과 국가 발전에 헌신한 과학기술인을 선발해 국립과천과학관 내의 헌정 공간에 모십니다. 2007년까지 헌정된 24인의 명단 속에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사가 담겨 있는 것입니다. 《돌도끼에서 우리별 3호까지》의 선정 사항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우수과학도서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선정 청소년권장도서 어린이도서연구회 선정도서 한우리가 뽑은 좋은 어린이책 어린이문화진흥회 선정 좋은 어린이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