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지친 하루 끝, 가장 따뜻한 이야기가 밥상 위에서 시작된다”
직업인의 하루를 따라가며 위로와 공감을 건네는 옴니버스 픽션 『퇴근의 맛』
퇴근 후 마주한 식탁에는 단순한 음식만 있는 것이 아니다. 그날의 감정, 풍경, 피로, 기쁨, 실망, 그리고 아주 짧은 위로가 함께 놓여 있다. 『퇴근의 맛』은 20개의 직업을 가진 인물들이 퇴근 후 먹는 한 끼 식사와 그에 얽힌 감정을 따라가는 옴니버스 픽션이다. 하루를 마무리하는 저녁 한 끼를 중심으로 구성된 이 이야기들은 브런치스토리 연재 당시부터 “현실적이다”, “내 얘기 같다”, “밥 한 숟갈 먹으며 읽다가 울컥했다”는 독자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변호사, 교사, 수의사, 군인, 간호사, 엄마, 학생 등 누구나 알지만 자세히 들여다본 적 없는 직업인들의 하루와 내면을 조용히 응시하며, 그 끝자락에서 건네는 따뜻한 말 없는 위로가 큰 감정의 여운을 남긴다.
“저녁 식사는 하루를 정리하는 가장 사적인 의식”
다양한 직업의 고단한 하루와 그 마지막 장면에 대한 기록
『퇴근의 맛』은 직업인의 하루를 따라간다. 하지만 그 끝은 언제나 식탁이다. 이야기는 누군가의 ‘일’로 시작되지만, 결국 ‘삶’으로 귀결된다. 각 인물들은 직업인으로서 겪는 현실적인 장벽을 넘고, 감정적인 소모를 겪고, 크고 작은 실패를 감당해낸 뒤 식사를 마주한다. 때로는 아무 생각 없이 먹는 라면 한 그릇이고, 때로는 오랜만에 만난 친구와의 삼겹살이다. 식사는 때로 외롭고, 때로 소중하며, 때로는 구원에 가깝다. 책은 이러한 식사의 풍경을 따라가며, 일과 감정, 인간관계와 정체성, 삶과 소진 사이의 미묘한 균열을 조용히 포착해낸다. 그리고 그것을 ‘한 끼 식사’라는 상징적 장치로 풀어낸다.
퇴근 후 한 끼, 그리고 진짜 나로 돌아오는 시간
사람과 사람 사이, 마음이 스며든 식탁 이야기
『퇴근의 맛』은 하루하루 다른 온도의 삶을 살아가는 스무 명의 인물이 퇴근 후 마주하는 식탁을 따라간다. 그 식탁에는 그날의 고단함이, 작고 단단한 사명감이, 때로는 눈물과 웃음이 함께 놓인다. 이야기의 중심은 음식이지만, 그보다 더 깊이 자리 잡고 있는 건 사람의 마음이다. 누구는 식은 샌드위치에 묵묵한 위로를 담고, 누구는 우동 한 그릇에 망가진 하루를 꿰매며 다시 내일을 준비한다. 퇴근 후 한 끼라는 소박한 풍경이, 이 책에선 그 사람의 삶 전체를 비추는 창이 된다.
이 책의 진짜 매력은, 각기 다른 인물들의 이야기가 보이지 않는 실처럼 은근히 서로를 잇고 있다는 점에 있다. 전혀 무관해 보이던 사람이 알고 보니 누구의 손님이었고, 스쳐 지나간 인물이 어느 꼭지에서는 주인공으로 다시 등장하기도 한다. 그렇게 얽히고설킨 관계들이 하나둘 드러날수록, 독자는 삶이란 결국 조용히 이어져 있는 이야기들의 연속이라는 사실을 자연스레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 흐름을 따라 읽다 보면, 어느새 이야기 속 누군가의 퇴근 자리에 나도 살며시 앉아 있고 싶어지는 기분이 든다.
이 책에는 하루를 마무리하는 따뜻한 디테일이 하나 더 숨겨져 있다. 각 이야기의 끝에는, 해당 인물이 먹었던 음식과 같은 메뉴를 실제로 맛볼 수 있는 작가 픽 맛집이 부록 형식으로 소개된다. 단순한 식당 소개를 넘어, 그 가게에 얽힌 작가의 개인적인 에피소드나 해당 꼭지를 쓰며 떠올렸던 마음속 단상이 짧게 곁들여진다. 그렇게 20개의 꼭지마다 등장하는 20개의 식당은, 마치 이야기 속 등장인물이 현실로 걸어나와 앉아 있을 법한 공간처럼 생생하고 정겹다. 우리 주변의 누군가는 고소한 버터 냄새 나는 빵집에서, 누군가는 얼큰한 국물 맛 나는 포장마차에서 위로를 받는다. 짧은 이야기, 짧은 저녁이지만, 그 안에 담긴 온기와 여운, 그리고 삶의 조각 같은 맛의 기억은 오래도록 마음에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