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7 제1장 조선 후기와 일제 점령기 역사적 상황 1. 망국 군주 고종의 부족한 리더십 2. 일제의 무단 통치 *재등실 총독 취임사 *재등실의 ‘조선 민족운동에 대한 대책’(1920) 3. 일제의 문화 통치 *조선 민족운동에 대한 대책 *조선교육조서 4. 역대 조선 총독과 그들의 만행 제2장 우리 민족의 항일독립투쟁 1. 3*1운동 2. 독립운동의 주인공이 된 모든 민중들 3. 3*1운동 이후 개인이 일으킨 최초의 항일의거 제3장 강우규의 생애와 독립사상 형성 1. 강우규의 젊은 시절 2. 우리 의학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쇠퇴 *조선시대 의학의 발전 *조선 후기 한의학 - 개항과 서양의학의 쇄도 *조선 후기 의사규칙과 개혁 시도 *국운쇠퇴와 한의학의 수난 *일제 강점기 한의학 - 일제의 식민지 의료정책 *의생규칙과 신분 격하 *학술지 발간과 의학강습 *한의학에 일기 시작한 새 기운 3. 민족운동가로의 변화*교육 및 선교 사업 시작 *이동휘와의 만남 *교육 및 선교 사업 시작 4. 강우규, 민족운동에 뛰어들다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강우규, 노인동맹단에 참여 *노인동맹단의 대표적인 활동 제4장 백발노인의 독립운동 1. 강우규 의거의 서막 *신임 총독을 맞이하는 불행했던 경성의 풍경 *강우규 의거와 사상자 명단 *어수선했던 1919년의 조선 *남대문 역에 퍼진 폭탄의 울림: 노인이 조선 총독에게 폭탄을 던지다 . 2. 거사 준비 과정과 탄생 3. 의거 후 재판 과정 *악덕 친일 경찰 김태석 *프랑스의 나치 협력자 숙청 (임기상 《숨어 있는 한국 현대사》 중에서, 2014 ) *제1회 공판 *제2회 공판 4. 애국정신이 담긴 상고취지서 요약 *의열투쟁의 배경: 재등실 총독 폭탄 투척 이유 *최자남에 대한 변론 *상고이유와 1심과 2심 판결에 대한 비판 *동양 삼국의 ‘동양평화론’을 거듭 강조하다 5. 사형 선고 후 강우규의 태도와 순국 제5장 강우규 의거가 남긴 의의 참고문헌 중요자료 1〈매일신보〉에 실린 강우규 의사 관련기사 중요자료 2 상고 취지서 연보 - 강우규가 걸어온 인생 저자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