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의 독자들께 One: 세계 유일의 초저공비행 국가 태평양과 대서양, 서로 닮은 두 섬나라의 기묘한 운명 ‘언덕 위의 구름’에서 ‘벼랑 위의 포뇨’로 / 초저공비행 국가―몰락선진국 쿠바에게 배운다 / 워킹푸어 사회에 등장한 게릴라 전투 / 동서냉전 종언 후의 지정학 지구환경의 제약 안에서 생활하다 세계 유일의 지속가능한 국가 / 경제위기를 계기로 에너지 절약 운동을 전개하다 / 교육을 통한 전 국민의 에너지 절약 실현 / 세계로 퍼져가는 환경 혁명 쿠바는 지상 낙원인가? 아바나의 휴일 / 매스컴도 주목하기 시작한 쿠바의 의료와 교육 / 낙원 주민들의 불만 네 가지 *[칼럼1] 쿠바는 소득격차 200배의 초격차사회? Two: 비바람을 견뎌내는 집을 만들다 낡은 주택의 옥상 활용법 옥상에서 채소를 재배하고 토끼를 사육한다 / 여러 세대가 같이 사는 토끼장 생활 / 집의 물물교환에 몰려드는 사람들 / 위장결혼부터 야바위 사기까지 공동체의 건축가 자원봉사로 주택을 건설하다 / 경제위기로 무너진 조립식 주택 건설 모델 / 건축가와의 대화를 통해서 집을 개축하다 / 집주인에게 자긍심을 주는 집 만들기 / 공동체에 의해 주택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 친환경 자재로 집을 짓는다 낡은 주택을 덮친 허리케인 / 인공위성에서 고대 로마의 기술로 거꾸로 되돌아가기? / 건축자재로 대나무를 활용하다 / 현지 생산, 현지 소비로 고용 창출 / 마이크로 크레디트로 자원을 움직이다 / 남남협력으로 다른 나라에도 퍼져가는 에코 자재 *[칼럼2] ‘고대의 건축자재’ 재발견의 이유 마을만들기 운동으로 살아난 빈민가 하드에서 소프트로―주민참여형의 워크숍 / 주민참여로 쓰레기장을 숲으로 바꾸다 / 경제위기로 도로 아미타불 *[칼럼3] 시민들의 목소리는 진실일까? Three: 굶어죽지 않기 위해 식량을 확보하다 비싼 식비와 흔들리는 식생활 에코 레스토랑의 캔들 나이트 / 가계지출의 3분의 2는 식비 거친 농지와 국가관리 농정 농지의 절반만 경작하고 사탕수수 개혁도 실패 / 제 기능을 못하는 공무원 천국 / 라울의 농업개혁 / 유휴지를 임대하여 의욕적인 농가를 늘려간다 지방농업개혁 프로그램으로 변화하는 농촌 허리케인 피해 후에도 꺾이지 않는 농촌 현장 / 생태농업으로 자급을 목표로 하는 산촌 / 생태농법과 지방분권화를 진척시키는 지방농업개혁 프로그램 /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변화하는 여성들 *[칼럼4] 도시농업과 유기농업 농민참여형 품종개량 농민들이 스스로 하는 품종개량 / 경제위기로 종자 생산력 반감 / 고육책으로 시작한 농민참여형 종자개량 / 종자전시회에서 품종이 20배로 증가 / 각자의 기호에 따른 다양한 육종 / 고수량 품종보다도 뛰어난 것 / 농민을 신뢰하는 것만으로도 경비와 에너지 절감 Four: 국민의 참여로 안전사회를 실현하다 허리케인으로 인한 사상자가 나오지 않는 나라 재해의 방정식―쿠바는 유엔이 선정한 방재의 모델 국가 / 애완동물도 함께 대피소로 피난 / 피해는 어디까지나 자기 책임 모두가 쌓아올린 안전 문화 얼굴이 보이는 해저드맵 만들기 / 위생관리와 예방으로 피해자의 건강을 보장 /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방재의료센터의 방재 교육 / 자원봉사를 통한 재해 복구 / 교육을 통해서 안전 문화를 키운다 / 격차를 줄이는 것이 피해도 줄인다 지역학을 활용하는 안심 사회 두 번의 허리케인에도 굴하지 않고 학교를 복구 지역학으로 지역의 과제를 해결하는 어린이들 빈곤에 반대하는 ‘정의’란, ‘희소자원의 배분 문제’ *[칼럼5] 만만치 않은 작은 나라가 살아남는 전술 게바라는 왜 사람을 위해 목숨을 버리는가/ 게임이론이 도출하는 최강의 프로그램/ 쿠바의 의료원조는 이타주의인가 Five: 돈과 물질보다 문화를 소중히 하는 나라 아이들은 행복해지기 위해 태어난다 아기와 엄마의 건강을 지킨다 / 모유 육아를 위해 1년간 출산휴가 / 아빠에게도 가사와 육아를 위한 출산휴가를! 민중교육과 참여형 정치개혁 수직적 행정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 시·정·촌을 ‘역병합’ / 확대되는 민중교육으로 변화하는 사람들 / 소련 붕괴를 계기로 시작된 민중 참여 / 수입된 사회주의를 다시 보다 / 주민참여로 쌓아올린 젊은이들의 내일 예술문화를 소중히 하는 나라 만들기 소련 붕괴로 변화한 자유의 문 / '문화의 집'을 통해 국민의 예술력을 기른다 / 문화를 중심으로 격차에 대항―치유와 자유를 위한 프로젝트 / ‘소유’에서 만족하는 문화로 사라져가는 도쿠가와의 평화 무역적자로 자원이 고갈된 일본 / 외국인을 놀라게 한 교양 높은 프리타 국가 / 자기 책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