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일본인, 그들은 왜?”
알 듯 말 듯 궁금한 것투성이인 일본인의 ‘진짜’ 모습,
심리학 전공의 일본 특파원이 24개의 심리 코드로 속 시원하게 풀어내다
“일본에서는 친구도 대여한다는데, 정말일까?”
“일본 사람들은 성에 개방적이겠지?”
“진짜 혈액형에 따라 유치원 반까지 나눌까?”
“겉으로 표현하는 것과 속마음은 얼마나 다른 걸까?”
“사람들이 만화 <원피스>에 그렇게까지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본의 오타쿠 문화는 우리와 어떻게 다른가?”
“일본의 넷우익과 한국의 일베는 과연 비슷한가?”
일본 드라마를 보면서 혹은 일본 사람과 대화를 나누면서 ‘어?’ 하며 고개를 갸웃해 본 적 있다면, 위와 같은 질문을 한 번이라도 해본 적 있다면, 당장 이 책 《일본인 심리 상자》를 펼쳐보자. 어느 누구도 이렇다 할 답을 주지 못해 답답했던 부분들을 시원하게 긁어줄 것이다.
《일본인 심리 상자》는 일본인들의 독특한 행동과 문화에 대해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24개의 주제를 심리학적 관점으로 접근한 교양서이다. 그동안 일본과 일본인을 다룬 책이 많이 나왔지만, 이처럼 흥미롭게 접근하고 재미있게 풀어낸 책은 없었다. 연애관, 보통 지향, 온가에시, 민폐, 젊은 세대의 우경화 등 24개의 심리 코드로 일본인을 바라보는 시각은 해석에 신선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일본 문화를 더 깊이 살펴보도록 도와 유익하기까지 하다. 시사 프로그램 방식을 응용해 사례를 앞에 배치하고 해석과 근거를 뒤이어 제시하며 전개한 덕분에 읽는 재미 또한 쏠쏠하다. 빠져들어 읽다 보면 어느새 ‘아, 그래서 그런 거였구나’라며 고개를 끄덕이게 될 것이다.
한일 갈등의 큰 원인 중 하나는
‘잘 안다고 착각해서 생기는 오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스로 일본을 어느 정도 알고 있다 생각한다. 특히 일본 사람에 대해서는 잘 안다고 착각한다. 하지만 일본의 문화, 일본인의 성향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 사람은 사실 많지 않다. 일본인의 특성상 그들의 진짜 모습은 자세히, 오래 들여다봐야 비로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 역시 일본 특파원으로서 ‘일본인 속’에 들어가 생활해본 후에야 그들을 제대로 볼 수 있게 되었다. 직접 부딪히고 경험하면서 우리와의 차이를 피부로 ‘확’ 느꼈고, 서로 오해하고 오해받는 과정을 거치면서 ‘잘 안다고 착각해서 생기는 오해’가 한일 갈등의 큰 원인 중 하나라 생각하게 되었다. 그래서 각종 의문점과 호기심을 ‘일본인은 원래 그래’에서 멈추지 않고 ‘왜 그럴까? 진짜 그런가?’에 초점을 맞춰 그 답을 얻기 위해 몇 년간 노력했다.
22년차 기자의 눈으로 현상을 예리하게 포착하고 심리학도의 진지함과 경험, 어렵게 모은 풍부한 자료를 근거로 마침내 ‘일본인의 진짜 모습’을 심리학적으로 정리해냈다. 총 24가지의 키워드를 기준으로 그동안 우리가 잘못 알고 있었거나 모르고 있었던 많은 부분들에 대한 답을 흥미진진한 글 속에 위트 있게 담고 있다.
미워하면서도 좋아하고 얕보면서도 동경하게 되는 일본인. 그들과 끝까지 공존해야 한다면, 억지로라도 알고, 이해하면서 오해를 줄여야 한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최소한 쓸데없는 오해는 사라질 것이다.
서울대 심리학과 최인철 교수의 극찬!
“일본을 ‘대충’ 알고 있으면서 ‘많이’ 안다고 착각해 온 우리 사회에
제대로 된 ‘일본 교과서’가 등장했다!”
스테디셀러《프레임》의 저자인 최인철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이 책을 두고 “일본을 ‘대충’ 알고 있으면서 ‘많이’ 안다고 착각해온 우리 사회에 제대로 된 일본 교과서가 등장했다”며 극찬했다. 더불어 재미는 물론이고 지적 유희까지 채워준다고도 평했다. 대중교양서나 학술서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고 잘 풀어냈다는 것이다.
김소원 SBS 아나운서는 수수께끼 같던 일본인이 조금 더 선명하게 보이기 시작했다고 호평했다. ‘열정 가득한 기자와 늙지 않는 심리학도의 자세로 답을 구해 뛰었고 찾아 모았다’라는 평은 그야말로 책 전체의 결을 설명하고 있다. 일본인을 제대로 알고 마음으로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요소가 다 갖춰져 있는 셈이다.
일본에 관심은 있지만 여전히 대충 알고 있는 사람들, 일본인을 상대해야 하는 직장인, 일본 유학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들을 포함해 일본과 조금이라도 연결고리가 있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 읽어봐야 할 책이다. 조금 더 균형 잡힌 시각으로 일본과 일본인을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