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비교정치의 진화와 방법론 제1절 비교정치의 의의 제2절 비교정치의 역사와 연구방법 1. 전기 행태주의적 연구방법 2. 행태주의적 연구방법 3. 탈행태주의적 비교정치 연구방법 제3절 비교정치의 방법론 1. 비교방법론 2. 과학적 접근방법 3. 질적 분석방법과 양적 분석방법 제4절 비교정치의 발전방향 제2장 정치이념 제1절 정치이념의 주요 쟁점 1. 베버의 사상 2. 마르크스의 사상 3. 마르크스와 베버의 주요 개념 비교 제2절 고전적 자유주의(Classical Liberalism) 1. 고전적 자유주의의 발전과정 2. 고전적 자유주의의 주요 특징 제3절 급진주의(Radicalism) 1. 급진주의의 발전과정 2. 급진주의의 주요 특징 제4절 보수주의(Conservatism) 1. 보수주의의 발전과정 2. 보수주의의 주요 특징 제5절 현대적 자유주의(Modern Liberalism) 1. 현대적 자유주의의 발전과정 2. 현대적 자유주의의 주요 특징 제6절 사상적 논의의 의의 제3장 국가론 제1절 국가에 대한 일반적 논의 1. 법률적, 역사사회학적 정의 2. 국가와 민족 제2절 체계론적?구조기능론적 접근 1. 체계론적 접근 2. 구조기능론적 정의 제3절 계급주의 국가론 1. 계급주의의 기본 개념 2. 계급국가론의 원형 3. 계급주의 관점에서의 자본주의(근대화)와 민주주의 제4절 다원주의 국가론 1. 다원주의의 기본 개념 2. 다원주의 국가 이론 3. 다원주의와 이익집단 4. 다원주의의 흐름 5. 다원주의 관점에서의 자본주의(근대화)와 민주주의 제5절 국가론의 의의 제4장 정치문화 제1절 정치문화 연구의 기원과 방법적 특성 1. 정치문화 연구의 기원 2. 국가 간 문화 비교 3. 정치문화 연구의 특징 제2절 시민문화 연구 1. 알몬드와 버바(Almond and Verba)의 정치문화 2. 알몬드와 버바의 시민문화(Civic Culture) 3. 알몬드와 버바의 정치문화 연구에 대한 비판 제3절 정치사회화를 통한 정치과정 연구 1. 정치사회화 연구의 흐름 2. 정치사회화 기구 제4절 정치적 관습과 상징주의 제5절 정치 갈등과 폭력 제6절 정치문화론의 한계와 의의 제5장 합리적 선택 제1절 합리적 선택 이론의 발전 제2절 합리성의 개념 제3절 합리적 선택의 모형과 방법론 1. 합리적 선택 모형의 구성요소 2. 합리적 선택의 방법론 제4절 합리적 선택 이론의 여러 형태 1. 결정 이론(Decision Theory) 2. 게임 이론(Game Theory) 제5절 합리적 선택 이론의 한계와 전망 제6장 제도주의 제1절 제도주의 이론의 발전과정 제2절 구제도주의와 신제도주의 비교 제3절 신제도주의 이론 1. 이론적 발전 2. 제도의 의미 3. 신제도주의의 주요 특징 4. 신제도주의에 대한 비판 5. 비판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의 반론 제4절 신제도주의 이론의 가능성 제7장 정치구조 제1절 민주주의 1. 민주주의의 개념정의: 소다로(Sodaro)의 민주주의의 사원 2. 자유민주주의의 모델들 제2절 정부(행정부) 1. 행정부의 역할 2. 구조적 제도 3. 관료제 4. 행정부의 시대 제3절 입법부 1. 입법부의 역할 2. 구조적 제도 3. 입법부의 쇠퇴 제4절 사법부 1. 사법부의 역할 2. 사법부의 구조 3. 사법부의 약화와 강화 제5절 정치구조와 정치발전 제8장 정당과 선거 제1절 정당 1. 정당의 기원 및 특징 2. 정당의 역할 3. 정당의 분류 4. 정당체계 5. 정당체제의 형성과 변화 제2절 선거 1. 선거제도 2. 선거제도에 대한 평가 제3절 투표행태 1. 사회학적 이론 2. 사회심리학적 이론 3. 경제학적 이론 4. 인지심리학적 이론 제4절 정당과 선거를 마치며 제9장 정치권력 제1절 권력의 정의 1. 권력의 개념 2. 권력의 형태 제2절 엘리트 이론 1. 엘리트 이론의 전개 2. 통합 엘리트 이론 3. 다원주의 엘리트 이론 4. 신통치 엘리트 이론 제3절 정치권력과 엘리트의 위상 제10장 정치경제 제1절 정치와 경제 1. 추구하는 목표 2. 제도적인 영역 3. 정치와 경제의 관계 제2절 정치경제학의 기본분석틀 1. 생산요소, 기업, 가계/소비자 2. 생산과 소비 3. 국가와 세계의 참여 제3절 고전정치경제학의 전개: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1. 근대 자본주의의 발달과 민주정치 2.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 제4절 정치경제학의 주요 쟁점 1. 정치경제학의 발전과 주요 쟁점 2. 자원의 최적 배분 3. 소득과 재산의 재분배 4. 공공경제와 물가의 안정화 제5절 정치경제학의 과제 제11장 발전론 제1절 근대화의 개념과 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