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품질

이재경님 외 4명 · 사회과학
200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책을 펴내며 1장. 퀄리티 저널리즘과 기사 품질 평가의 기준: 한국 언론 선진화를 위한 보도지표 탐구 1. 연구의 배경 2. 한국 저널리즘 후진성의 3원인 3. 해외 퀄리티 저널리즘의 기준 연구 추세: 좋은 저널리즘을 판단하는 기준 4. 한국에서의 기사 품질 연구 흐름 5. 『기사의 품질』이 선택한 평가 기준 2장. 기사 품질 평가의 대상과 방법: 한국 10대 일간지와 해외 3대 유력지의 1면 기사 비교 1. 분석 대상 2. 분석 기간과 표집 방법 3. 내용 분석 4. PEJ 지수와 한국 현실에 적합한 지수 3장. 한국과 해외 신문의 공통점과 차이점: 기사 양식과 유형의 특징 1. 기사 유형: 스트레이트 중심 vs 분석 중심 2. 점프 기사 여부 3. 기사의 주제별 분포 4. 갈등성 기사의 비중 5. 기사 길이: 짧은 기사 vs. 롱 저널리즘 6. 시각적 요소의 활용 방식 4장. 한국의 기사 품질 평가의 내용: 취재원과 정보의 질을 중심으로 1. 취재원의 질과 취재원 활용의 투명성 2. 취재원의 독립성 3. 기사가 전하는 정보의 가치 4. 주관의 배제 5. 정보의 독창성 6. PEJ 지수를 통해 평가한 한국 신문 기사의 품질 5장. 한국 신문 기사의 현실과 미래: 기사 품질 성찰의 교훈과 과제 1. 한국 신문의 품질 수준 2. 무엇이 문제인가 3. 한국 신문 왜 퇴보하나 4. 한국 신문 어디로 가야 하나 에필로그: 언론의 수준이 민주주의 수준을 결정한다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좋은 저널리즘이란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 지난 2016년 가을은 한국의 저널리즘이 가장 빛난 순간이었다. 각종 매체의 집요한 국정농단 보도는 1970년대 초 미국의 워터게이트 보도에 비견될 만한 강력한 권력 감시 기능을 수행했고, 한국의 민주주의는 한 단계 진전되는 듯 보였다. 하지만 이처럼 빛나는 저널리즘의 역할은 그에 상응하는 저널리즘 수준의 향상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저널리즘이 이룩한 역사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한국 언론에 구조적으로 뿌리내린 고질적인 정파주의와 선정적 보도 관행, 심지어 근거를 추정할 수 없는 가짜뉴스들이 수용자들의 판단력을 흐리게 만들었다. 왜 한국 저널리즘은 세계 언론사에 남을 만한 엄청난 성취를 이룩하고도 좋은 저널리즘이라는 평가를 받지 못하는가? 이 책은 그 원인을 진단하고 한국의 언론 현실을 타개할 돌파구를 마련해 한국 저널리즘 생태계에 건강한 자극을 제공하고자 기획된 연구 보고서다. 저자들은 비교언론학적 접근법을 통해 주요 선진국의 대표 신문들과 한국의 10대 종합 일간지를 평가했다. 평가는 미국 ‘우수 저널리즘을 위한 프로젝트’가 개발한 보도 지수인 PEJ 지수와 이를 국내외 상황에 맞게 항목을 조정ㆍ보완한 수정 지수를 이용해 계량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책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한국의 뉴스 수용자, 지식인, 일반 시민들이 어떠한 기사가 좋은 기사인지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취재 보도 현장의 기자들이 구체적인 기사 품질 향상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그 바탕이 되는 현실 진단 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앞으로도 ‘한국의 저널리즘’ 총서는 좋은 기사에 대한 명료하고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한 이번 작업을 비롯해, 방송과 인터넷 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에서 나타나는 저널리즘 현상을 분석하고 그 방향을 제시해나갈 것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3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