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_ 14세기 페스트 팬데믹이 없었다면 구텐베르크 금속활자 발명으로 인한 지식혁명도, 종교개혁도, 르네상스도, 산업혁명도 없었다?! 01 유럽 근대화의 인큐베이터 페스트 ? 14세기 페스트의 최대 수혜자가 구텐베르크라고? ? 인류가 농경을 시작하지 않았다면 페스트도 없었다? ? 『구약성경』 「사무엘상」의 그 ‘독종’은 과연 페스트였을까 ? 전 세계 인구 2억 명 중 33~40퍼센트의 목숨을 앗아가고 이후 200년간 인구 증가를 막은 6세기 페스트 팬데믹 ? 십자군 원정에서 돌아온 병사들의 짐에 섞여 유럽에 들어온 곰쥐, 페스트 창궐의 도화선이 되다 ? 몽골제국이 촉발한 ‘세계화’, 14세기 페스트 팬데믹의 결정적 트리거가 되다 ? 중세 유럽 도시가 페스트 발생과 확산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지닌 이유 ? 페스트가 창궐하던 시대에 유럽 각지에서 ‘유대인 박해’가 극심해진 까닭은? ? 유럽에서 페스트 팬데믹이 중세에서 근대로 도약하는 중요한 디딤돌이 된 이유 ? 노예에 가까운 농민을 자유로운 신분의 농업 노동자로 변신시키고 농지를 소유한 독립 자영농이라는 신흥 계급을 탄생시킨 페스트 팬데믹 ? 자본주의 발달의 밑거름이 된 18세기 유럽의 농업 혁명 ? 페스트 팬데믹 이후 공중위생을 담당하는 관료가 교회보다 더 큰 권력을 행사하게 되었다고? ? 페스트가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 천재 예술가의 등장을 촉발하고 르네상스를 앞당겼다고? ? 중세 마녀재판이 고양이 수를 급감시키고 쥐가 들끓게 만들어 페스트 팬데믹을 초래한 중요한 원인이었다는데? ? 18세기 중반 이후 유럽에서 페스트 팬데믹이 거의 발생하지 않은 까닭은? ? 사람들은 왜 페스트를 ‘감염병의 대명사’로 인식할까? 02 제1차 세계대전 장기화를 막아 평화를 가져온 인플루엔자 ? 히포크라테스가 남긴 기록의 그 ‘미증유의 돌림병’이 인플루엔자라고? ? 인플루엔자의 원인이 ‘바이러스’라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낸 사람은? ? 전 세계 18억 명 인구 중 6~9억 명을 감염시키고 그중 4,000만~5,0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무시무시한 질병, 스페인 독감 ? 최초 인플루엔자 발생국으로 의심받는 ‘미국’, ‘프랑스’, ‘중국’ 대신 엉뚱한 ‘스페인’이 병명에 붙은 이유가 유일하게 언론 통제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데? ? 인플루엔자의 인큐베이터이자 베이스캠프가 된 프랑스 내 연합국 막사 ? 스페인 독감이 오히려 전쟁을 중단시키고 평화를 가져왔다고? ? 담배와 잎담배 매출을 순식간에 절반으로 떨어뜨린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례’ ? 일부 의사와 광신적 마스크 반대주의자들이 ‘마스크 반대 동맹’을 결성하다 ? 유럽이나 미국보다 아시아나 아프리카에서, 그중에서도 특히 인도에서 유난히 스페인 독감 감염자가 많이 발생한 까닭은? ? 미국의 윌슨 대통령이 스페인 독감에 걸리지 않았다면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 5,00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스페인 독감이 뜻밖에도 세계 경제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진짜 이유? | 눈도장 찍어두어야 할 감염병 1 | 1980년대에 들어서 유행한 면역 기구를 파괴하는 ‘에이즈’의 위협 03 19세기 유럽 도시 환경과 위생 상태를 개혁하게 한 콜레라 ? 인도인 삶의 원천이자 신성한 강으로 여겨지는 갠지스강이 알고 보면 온갖 병원균이 득실거리는 세균 집합소라는데? ? ‘콜레라’라는 병명을 만든 이가 고대 그리스 의사 히포크라테스라고? ? 인간을 무던히도 괴롭힌 콜레라균이 놀라운 속도로 세계 정복에 성공한 비결은 아이러니하게도 인간의 적극적인 도움 덕분이었다는데? ? 독일 철학자 헤겔도, ‘로제타스톤’을 해독한 샹폴리옹도, 불멸의 저작 『전쟁론』의 저자 클라우제비츠도 피해가지 못한 콜레라균 ? 오쇼너시의 ‘염류 정맥 주입법’이 확실히 효과가 있었음에도 당대 주류 의학계에 받아들여지지 않은 이유 ? 브로드 스트리트의 콜레라 원인을 밝혀내어 ‘역학의 아버지’로 불린 존 스노 ? 인도 전역을 돌며 철저한 조사와 실험을 통해 콜레라균의 정체를 밝혀낸 독일 학자 로베르트 코흐 ? 국제 위생회의에서 오로지 영국만 ‘해상 검역 강화 조치’를 강하게 반대하고 나선 이유는? ? 제2차 콜레라 팬데믹 당시 일본의 경우 유독 수도 에도에서 많은 감염자와 사망자가 나온 기막힌 이유 ? 메이지 정부는 왜 콜레라 대책에 사활을 걸었을까 ? 각 지방의 경계선도 바꿔놓은 콜레라의 대단한 위력 ? 21세기에도 전 세계가 콜레라를 향한 긴장의 끈을 늦출 수 없는 이유 04 세계대전의 향방을 두 번이나 바꾼 말라리아 ? 제국주의의 확장 역사는 말라리아 등 감염병과의 투쟁 역사다? ? 사람의 적혈구를 파괴해 적혈구의 산소 운반을 방해하는 말라리아원충 ?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 투탕카멘과 마케도니아의 위대한 군주 알렉산드로스 대왕도 말라리아로 죽었다는데? ? 로마와 나폴리 등 이탈리아 대표 도시들이 언덕 위에 세워진 이유가 말라리아를 피하기 위해서였다고? ? 잉글랜드 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