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도시일체개발 TOD 46의 매력 Recipe

208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6
평균 별점
(4명)
코멘트
더보기

100년이 넘는 역사 동안 철도 건설을 기축으로 국토와 도시개발을 전개하고 있는 일본에서는,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라는 자동차 교통에 의존하지 않고 공공 교통 기관 이용을 전제로 한 개발이 도시만들기의 주류가 되고 있다. 역을 중심으로 한 고효율의 토지이용, 편리한 공공 교통 환승, 쾌적한 보행자 공간, 활력 넘치는 대중 광장 등 TOD 도시개발의 매력을 알기 쉽게 46가지 레시피로 정리했다. 또한 건축, 도시 관련 자료 집성이나 계획론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TOD 도시개발 기법과 그를 뒷받침하는 정책·법규, 기술들을 칼럼 형식으로 쉽게 해설하고 있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코멘트

1

목차

도시의 미래, 역의 미래 What’s TOD? TOD로서의 도시개발 About TOD RECIPE46 이 책에 대해서 Station Map TOD 개발의 기점의 되는 역 1_Urban (도시) 1. 도시는 역과 함께 성장을 지속한다(시부야역) 2. 역과 도시의 일체 개발이 곧 지역 공헌(시부야역) 3. 벽에서 게이트로(도쿄역) 4. 철도와 함께 도시를 구축한다(한큐우메다역) 5. 역은 하룻밤 사이에 변모한다(한큐우메다역) 6. 고립된 역을 도시로 연결한다(한큐우메다역) 7. 역은 도시의 배꼽(미나토미라이역 퀀즈스퀘어 요코하마) 8. 역에서 출발하는 도시 만들기(후타고타마가와역 후타고타마가와 라이즈) 9. 도시를 연결하는 인공지반(타마플라자역 타마플라자 테라스) 10. 역을 땅속에 묻어서 도시를 연결한다(초후역 토리에 케이오 초후) 11. 도시의 매듭(충칭 샤핑바역 Paradise Walk) 2_Public Space (공공 공간) 12. 역사가 배경이 된 ‘도쿄의 광장’(도쿄역 마루노우치역 광장) 13. 도시를 담은 ‘도쿄의 텐트’(도쿄역 야에스구치역 광장) 14. 역 광장이 지역 재생의 최전방(오사카역 그랑프론트 오사카) 15. 교통과 활력을 연결하는 플라자(타마플라자역 타마플라자 테라스) 16. Re-born Street(후타고타마가와역 후타고타마가와 라이즈) 17. 사람들이 모여드는 Green Roof(상하이 롱화중로역 녹지 중심) 18. 역과 도시를 연결하는 Green Hill(부산역 광장) 19. 도시에 열린 Rooftop(시부야역 시부야 스크램블 스퀘어) 20. 교통광장의 적층 1(신요코하마역 큐비클 플라자) 21. 교통광장의 적층 2(신주쿠역 바스타신주쿠 / JR신주쿠 미라이나 타워) 3_Circulation (동선) 22. 플 랫폼까지 관통하는 Station Core(미나토미라이역 퀀즈스퀘어 요코하마) 23. 역과 도시를 연결하는 Spectacle Space(시부야역 시부야 히카리에) 24. 선로를 넘어, 분단된 지형을 연결한다(시부야역 시부야 스크램블 스퀘어) 25. 흐름을 디자인한다(광저우 신탕역 ITC) 26. Twin Core로 도시를 연결한다(충칭 샤핑바역 Paradise Walk) 27. 공중 콘코스는 새로운 대지를 개척한다(오사카역 그랑프론트) 28. 빌딩을 들어 올려서 길을 만든다(교바시역 에도그랑) 29. 지하 역과 맞닿은 언덕길(롯본기 1초메역 이즈미가든 / 롯본기 그랜드타워) 30. 땅속 깊이 뻗은 도시의 뿌리(도쿄역 주변 지하가) 31.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변함없는 지하도 지름길(오사카역 주변 지하가) 4_Symbol (심볼) 32. 역사와 혁신의 게이트(도쿄역 마루노우치 역사 / 야에스 그랑루프) 33. 도시를 감싸안은 큰 지붕(다카나와 게이트웨이역(시나가와 신역)) 34. 기능을 집적시킨 수직도시(시부야역 시부야 히카리에) 35. 하늘에서 내려온 우주선(충칭 샤핑바역 Paradise Walk) 36. 플랫폼은 녹음 어우러진 산등성이에(광저우 신탕역 ITC) 37. 도시의 Showcase(오사카역 그랑프론트 오사카) 38. 역 in Mall(타마플라자역 타마플라자 테라스) 39. ‘엘레강스’가 사람들을 불러 모은다(한큐우메다역 우메다 한큐 빌딩) 5_Character (개성, 표시) 40. 도시를 내려다보는 ‘내일의 신화’(시부야역 시부야 마크시티) 41. Information Ring(시부야역 시부야 히카리에) 42. 긴자의 ○△□(긴자역) 43. 시간의 흐름과 함께 변화하는 빛의 입면(키치조지역 키라리나 케이오 키치조지) 44. 역과 역의 아이컨택(키치조지역 키라리나 케이오 키치조지) 45. 전철이 주인공(신주쿠역 바스타신주쿠 / JR신주쿠 미라이나 타워) 46. 철도의 기억을 디자인으로(초후역 토리에 케이오 초후) INDEX (색인) 참고문헌 / 도판·사진 출전 / 집필자 목록

출판사 제공 책 소개

“TOD의 매력과 지속가능한 도시만들기” 100년이 넘는 역사 동안 철도 건설을 기축으로 국토와 도시개발을 전개하고 있는 일본에서는,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라는 자동차 교통에 의존하지 않고 공공 교통 기관 이용을 전제로 한 개발이 도시만들기의 주류가 되고 있다. 특히 일본을 비롯한 중국, 인도, 러시아 등지의 TOD 프로젝트 톱플레이어로서, 수많은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도시의 건전한 미래 만들기에 공헌하고자 2010년부터 역·도시일체개발 연구회를 발족해 활동해오고 있다. 시부야역, 도쿄역, 신주쿠역 등의 사례에서는 도시부터 거리의 가구 레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케일을 주제로 한 장소 만들기의 실천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역을 중심으로 한 고효율의 토지이용, 편리한 공공 교통 환승, 쾌적한 보행자 공간, 활력 넘치는 대중 광장 등 TOD 도시개발의 매력을 알기 쉽게 46가지 레시피로 정리했다. 또한 건축, 도시 관련 자료 집성이나 계획론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TOD 도시개발 기법과 그를 뒷받침하는 정책·법규, 기술들을 칼럼 형식으로 쉽게 해설하고 있다. 역·도시 일체개발은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의 핵심 수단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전문가부터 건축을 공부하는 학생, 그리고 역을 이용하는 일반인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접하고 이해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