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 5 일러두기 = 10 글을 시작하며-(타자)란 무엇인가 = 11 제1장 규율과 지배하는 지식 베버·푸코·사이드 = 19 1. 푸코, 베버 그리고 사이드 = 20 2. 규율의 역사사회학-베버 = 24 3. 권력의 미시적 물리학-푸코 = 37 4. 지적 규율=훈련의 문화 비판-사이드 = 46 제2장 제도로서의 지식과 권력으로서의 지식 = 53 1. 지적 확신과 불확실성의 심연 = 54 2. 근대의 에피스테메와 과학적 지식 = 56 3. 지배하는 지식과 제도화의 변증법 = 70 제3장 일본의 식민정책학과 오리엔탈리즘 = 77 1. 문제의 적용범위 = 78 2. 제국의 '심상지리' = 86 3. 식민정책학의 심상지리와 그 이론 = 92 제4장 '동양'의 발견과 오리엔탈리즘 = 111 1. 전후(戰後)와 역사의 반복 = 112 2. 식민지의 동양학 = 115 3. '동양'의 발견과 역사의 창조 = 121 4. 동일성과 차이 속의 일본 = 125 제5장 세계체제 속의 민족과 에스니시티 = 135 1. 세계체제의 확대와 반체제운동 = 136 2. 세계체제의 정치경제학 = 149 3. 국민국가와 인종주의·민족주의 = 162 4. 결론을 대신해서 = 169 제6장 탈오리엔탈리즘의 사고 = 173 1. '보편주의' 와 탈근대의 사상 = 174 2. 일원적 체제와 문화 지배 = 179 3. 오리엔탈리즘과 '지배적인 지식'의 해체 = 186 4. '헤테로토피아'의 정체성 = 194 보론 : 내적 국경과 래디컬 데모크라시 '재일' (在日)의 시점에서 = 205 1. 글을 시작하며 = 206 2. '내적 국경' 과 전후 민주주의 = 208 3. 임피리얼 데모크라시와 그 그림자 = 213 4. 대항적 시민권과 래디컬 데모크라시 = 219 지은이 주 = 223 옮긴이 주 = 237 옮긴이의 말 = 255 지은이 논저 목록 = 262 인명 찾아보기 = 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