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들어가며
역사적 진실이 전승이자 불가타일 때
진실한 세계들의 복수성과 유사성
지식의 사회적 분배와 믿음의 존재양식
믿음의 사회적 다양성과 두뇌의 발칸화
이 사회학의 뒤에는 암묵적인 진실 프로그램이 있다
어떻게 신화에 그 근원적 진실을 되찾아줄 것인가
판에 박힌 말처럼 사용되는 신화
자신의 프로그램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파우사니아스
위조자의 진실과 문헌학자의 진실
문화와 진실에 대한 믿음 중 하나를 선택할 필요성
고대 그리스, 로마사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폴 벤느의 《그리스인은 신화를 믿었는가?》가 17년 만에 새 번역으로 복간되었다. 국내 독자에게는 미셸 푸코의 30년 지기이자 《푸코, 사유와 인간》의 저자로 유명한 폴 벤느는 그리스 신화에 대한 고대 그리스인들의 믿음을 사례로 삼아, ‘역사적 진실이 어떻게 우리의 구성적 상상력의 산물인지를 탐구한다. 후기구조주의 담론과 역사학을 횡단하는 흥미진진한 이 책은 진실과 믿음 사이의 포스트 트루스 사회를 살아가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커다란 문제의식을 던진다. 《사람, 장소, 환대》의 작가이자 폴 벤느의 《역사를 어떻게 쓰는가》를 옮긴 바 있는 인류학자 김현경의 번역과 꼼꼼한 주석은 작가의 개성 있는 문체를 살리면서 독자가 더 풍성하게 폴 벤느의 사유를 독해할 수 있게끔 안내한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