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희랍 철학의 시작: 세계에 전체에 대한 통찰 희랍 우주론의 원형| 헤시오도스, <<신들의 계보> 제1강_우주론, 철학적 사유의 시작 제2강_희랍 사유에서 우주의 구조와 생성 과정 세계의 원리에 관한 자연학적 파악|<<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제3강_존재의 근본 개념(파르메니데스) 제4강_일자와 두 세계 이론(파르메니데스에 관한 ‘전통적’ 해석) 제5강_대상 세계에 관한 탐구(파르메니데스에 관한 ‘현상-법칙’ 해석) 제6강_학문 탐구의 방법(파르메니데스에 관한 ‘학의 시원’ 해석) 제7강_세계를 지배하는 원리, 로고스(헤라클레이토스) 제8강_변화하는 여러 현상들과 궁극적인 ‘하나’(헤라클레이토스) II 플라톤: ‘좋음’ 위에 인간과 공동체를 세우려는 노고 인간의 영혼과 형상이라는 목적|<<파이돈>> 제9강_잘 산다는 것 제10강_형상실재론과 형상시원론 제11강_합의된 규약에 의지하는 ‘차선의 방법’ 제12강_같음과 같음 자체에 관한 논변 공동체, 넓은 의미의 인간학|<<국가>> 제13강_참으로 좋은 것에 관한 앎(태양의 비유) 제14강_참으로 좋은 것에 관한 앎과 그것의 실천(동굴의 비유) 제15강_아는 것과 하는 것, 이론과 실천의 통일 III 아리스토텔레스: 희랍 형이상학의 체계적 완결 앎의 체계와 궁극적 실재|<<형이상학>> 제16강_<<형이상학>>의 구성 제17강_앎의 종류와 단계들 제18강_형상의 분리와 내재 제19강_학의 성립에 관한 물음, 보편적 존재론과 신학의 관계 제20강_실체론, ‘이것’(tode ti)과 ‘무엇’(ti esti) 제21강_운동론, 가능태와 현실태 IV 데카르트: 주체인 인간의 세계 구축 데카르트 형이상학의 근본 구도|<<철학의 원리>> 제22강_자기의식, 데카르트 철학의 근대성 제23강_진리의 원천과 진리 인식의 원천 자기의식의 형이상학|<<성찰>> 제24강_<<성찰>>의 구성과 목적 제25강_감각적 앎의 부정, 철저한 의심(제1성찰) 제26강_자립적 자기의식의 현존, 정신의 우선성(제2성찰) 제27강_인간의 유한성에 의거하는 신의 무한성 증명(제3성찰) 제28강_참과 거짓을 식별하는 정신, 정신과 신체의 합성체로서의 인간(제4성찰, 제6성찰) V 칸트: 인간의 한계 자각과 ‘장래의 형이상학’ 초월론적 이념들에 대한 일반적 주해|<<형이상학 서설>> 제29강_‘장래의 형이상학’의 성립 가능성 제30강_이성의 사변적 사용 제31강_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데카르트·칸트·헤겔 형이상학의 핵심 문제 자연과 자유의 통일적 체계|<<판단력비판>> 제32강_판단력의 연원 제33강_미감적 판단력, 목적론적 판단력 제34강_판단력을 통한 오성과 이성의 결합 VI 헤겔: 신적 입장으로 올라선 인간 절대적인 것의 자기전개|<<철학백과>> 제35강_헤겔 철학 체계의 구성 제36강_헤겔 형이상학의 기본 개념들 제37강_사변적 사유와 정신철학에 대한 일반적 논의 학적 인식으로 올라서는 사다리|<<정신현상학>> 제38강_<<정신현상학>>의 구성, 의식-자기의식-이성 제39강_진리의 역사성, 진리주체론 제40강_헤겔 철학의 목적, 역사와 이념의 통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