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생각의 도구를 찾아서 제1부 지식의 기원 지식의 발생은 프로메테우스 신화처럼 낭만적이지 않았다. 추운 지방에 사는 들소들이 추위를 견디기 위해 털을 기르는 방향으로 진화했듯이, 인간은 오직 살아남기 위해 불의 사용법을 알아냈다. 생존의 방법으로 들소는 생물학적 방법인 진화를, 인간은 문화적 방법인 지식을 선택한 것이다. 그리고 이 선택이 그들을 서로 다른 역사의 길로 안내했다. 제1장 지식의 탄생 아리스토텔레스의 말과는 달리, 지식의 탐구는 경이심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보편성을 획득하려는 욕망에서 시작됐다. 보편성이란 ‘모든 것에 두루 통하거나 미치는 성질’을 뜻한다. 많게는 2,800년, 적어도 2,300년 전에 살았던 고대인들은 도대체 무엇 때문에 보편성을 그리도 열렬히 추구했을까? 여기에 문명의 비밀이 숨어 있다. 진화하거나, 학습하거나 | 이건 말도 안 돼! | 수메르의 줄리엣 | 폭발-융합-폭발 | 불타는 얼음들의 시대 | 자연을 조종하고 인간을 움직이는 힘 제2장 생각의 도구의 탄생 보편성의 추구가 중국, 인도, 메소포타미아, 팔레스타인과 같은 동양에서는 종교와 도덕의 발달을 촉진했다. 이에 반해 서양에서는 학문과 예술의 발달을 이루었다. 왜 그랬을까? 또 왜 하필 그리스에서 서양 문명을 일군 생각의 도구들이 탄생했을까? 어둠이 잉태한 황금기 | 그리스 기적의 비밀 | 거대한 산 정상, 별들의 이웃 | 폴리스의 빛, 그리고 그림자 | 자유가 맺은 열매 | 소-닭-풀 관계 실험 | 밤을 피하는 여행자들 제2부 생각의 기원 지식에 있어서 개체발생이 계통발생을 반복한다. 왜 그런지 알아보기 위해 생각이 개인의 정신뿐 아니라 역사 안에서 어떻게 생겨나, 어떻게 발달했는가를 살펴본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범주화와 개념적 혼성이 생각의 시원이라는 것을 인지과학, 심리학을 통해 밝힌다. 그리고 역사적 차원에서는 보편화와 범주화가 이성의 기원이라는 것을 호메로스의 작품을 통해 확인한다. 또한 범주화, 개념적 혼성, 보편화가 각각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밝힌다. 제1장 생각 이전의 생각 범주화에 의해 우리에게 세계와 정신이 동시에 태어나 함께 진화한다. 그리고 개념적 혼성에 의해 생각이 탄생한다. 이 두 정신적 기능이 가장 원초적이고 거의 무의식적으로 작동한다는 뜻에서 ‘생각 이전의 생각의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범주화와 개념적 혼성은 우리의 뇌에서 어떻게 일어날까? 그리고 무슨 일을 할까? 뇌신경과학, 인지과학과 심리학을 통해 이 질문들에 답한다. 세계는 이렇게 탄생한다 | 정신은 이렇게 만들어진다 | 범주화 학습의 중요성 | 생각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제2장 생각의 은밀한 욕망 역사적으로는 호메로스의 작품들이 보편적 사고의 기원이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를 통해 역사 안에서 생각의 보편화와 범주화가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으며, 어떻게 그리스인들의 정신에 보편적 사고를 탄생시켰는지를 밝힌다. 또한 그것들이 그리스인뿐 아니라 인류에게 무슨 일을 했는지도 살핀다. 여기서 생각의 은밀한 욕망이 무엇인지 드러난다. 호메로스 스타일 | 아킬레우스에서 헥토르로 | 호메로스의 범주화 제3부 생각을 만든 생각들 생각의 도구들은 호메로스가 씨앗을 뿌리고,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이 키워 얻은 열매다. 메타포라(은유), 아르케(원리), 로고스(문장), 아리스모스(수), 레토리케(수사) 등이 그것이다. 이것들은 그 자신이 생각인 동시에 다른 생각들을 만드는 도구다. 이 도구들이 우리의 사고와 언어를 어떻게 만들어가며, 학문과 예술에서 어떤 역할들을 하는지를 밝힌다. 동시에 우리가 이 도구들을 어떻게 익혀 사용할 수 있는지를 살핀다. v제1장 메타포라metaphora, 은유 은유는 우리의 사고와 언어를 구성하는 가장 근본적인 도구다. 그것이 역사적으로는 호메로스 이전부터 등장했고, 인간 개인으로는 학령기 이전부터 나타나는 것이 그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천재의 표상’이라고 평가한 은유의 본질이 무엇인지, 왜 은유 없이는 우리의 사고와 언어가 불가능한지, 학문과 예술의 근간으로 은유를 꼽는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본다. 나아가 우리가 어떻게 은유를 익히고 훈련할 수 있는지를 밝힌다. 셰익스피어 은유와 프랭클린 은유 | 은유를 떠받치는 2개의 기둥 | 호메로스의 은유 | 진리와 은유의 은밀한 관계 | 천재가 되는 법, 천재를 기르는 길 | 은유와 이미지 | 글자는 느리고 이미지는 빠르다 | 유치원이 대학원보다 중요한 이유 | 산과 포플러는 어떤 공통점이 있나요 | 차라의 부대주머니 훈련법 제2장 아르케arch?, 원리 원리는 그것을 통해 세계를 이해하고 구성하고 조종하거나 지배할 수 있게 하는 생각의 도구다. 또한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도구이기도 하다. 탈레스가 처음 개발한 이래, 학자들의 탐구와 일반인들의 문제 해결에 유용하게 쓰여온 이 도구는 관찰, 사고, 검증을 통해 만들어진다. 이 장에서는 원리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우리가 어떻게 이 도구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지를 살핀다. 탈레스 스타일 | 원시적인가, 시원적인가 | 억센 털 암퇘지로 만든 여인 | 탈레스, 셜록 홈즈, 제갈공명의 비밀 | 필드 노트와 자연 관찰 일기의 위력 | 사고 없는 관찰, 관찰 없는 사고 | 새로운 생각을 만들어내는 유일한 방식 | 자네는 내 방법을 알고 있네 | 이제 보니 아무것도 아니군요 | 크고도 단 참외가 어디 있으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