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은 행복한 놀이다

김무영 · 인문학
276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5
평균 별점
(4명)
코멘트
더보기
[왓챠웹툰] 여름맞이 릴레이 이벤트 🏃‍♂️‍➡️[왓챠웹툰] 여름맞이 릴레이 이벤트 🏃‍♂️‍➡️

<인문학은 행복한 놀이다>의 주제들은 하나같이 평범하다. 저자는 가족, 학업, 일(직업), 연애, 결혼, 육아의 영역을 인문학으로 풀어낸다. 내용은 어렵지 않다. 저자는 인문학을 전공한 학자가 아닌, 책을 좋아하고 글쓰기를 좋아하는 사람 중 하나다. 그는 그저 자신이 읽은 책들을 통해 자기 자신이 고단했던 삶을 어떻게 보듬어 왔는지를 들려준다. 가령, 만화 <미스터 초밥왕>을 보며 인간의 열정과 애정이 탄생시킨 특별한 매개체인 ‘쇼타의 초밥’을 통해 ‘너에게 그 대상은 뭐니?’하고 질문하는 식이다. 또 <인형의 집> 속에서 자신이 언제든 대체될 수 있는 하나의 소유하는 대상이었을 뿐임을 깨닫는 노라와 오늘날 대한민국 여성들을 이어주기도 한다. 심지어 ‘레비나스’를 읽고 ‘논어’의 행간을 읽으면서 궁극적인 자신을 발견해가는 과정이 왜 우리의 절박한 과제인지 깨닫게 해준다.

지구 최후의 미션, 지금 시작된다!

오픈 기념 30% 할인! 공룡보다 빠르게 GET

왓챠 개별 구매 · AD

지구 최후의 미션, 지금 시작된다!

오픈 기념 30% 할인! 공룡보다 빠르게 GET

왓챠 개별 구매 · AD

저자/역자

코멘트

1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추천사 인문학의 바다로 나아가는 친절한 항구 04 추천의 말 “이 놀이를 누가 마다하랴!” 06 프롤로그 인문학은 놀이다 11 제 1 장 인문학 사용설명서 인문학이란 무엇일까? 19 인문학 놀이를 소개합니다 26 제 2 장 가족 부모도 태어난다? 39 문학 《빨강머리 앤》 루시 모드 몽고메리 영화 <7번방의 선물>, <아이 엠 샘> 이환경, 제시 넬슨 더 깊이 읽기 56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육아 57 철학 《서양철학사》 버트런드 러셀 철학 《논어》 공자 더 깊이 읽기 76 위대한 가족 77 문학 《백년 동안의 고독》 가브리엘 마르케스 문학 《위대한 유산》 찰스 디킨스 더 깊이 읽기 92 제 3 장 연애와 결혼 솔로부대와 커플지옥 97 문학 《소유》 안토니아 수잔 바이어트 철학 《소유냐 존재냐》 에리히 프롬 더 깊이 읽기 111 결혼, 할 수도 없고, 안 할 수도 없고 114 문학 《인형의 집》 헨리크 입센 문학 《오만과 편견》 제인 오스틴 더 깊이 읽기 129 사랑은 어째서 늘, 이별한 뒤에야 찾아오는가 131 문학 《농담》 밀란 쿤데라 철학 《시간과 타자》 엠마누엘 레비나스 더 깊이 읽기 147 제 4장 학교와 공부 학교 가기 싫어요 151 문학 《꼬마 니콜라》 르네 고시니 문학 《안네의 일기》 안네 프랑크 더 깊이 읽기 165 공부에 대한 오만과 편견 166 문학 《어린 왕자》 생 텍쥐베리 문학 《데미안》 헤르만 헤세 더 깊이 읽기 180 놀면서 공부하는 사람이 최고인 까닭 182 에세이 《학문의 즐거움》 히로나카 헤이스케 만화 《미스터 초밥왕》 테라사와 다이스케 더 깊이 읽기 194 제 5장 일과 직업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 199 문학 《그리스인 조르바》 니코스 카잔차키스 르포르타주 《위건 부두로 가는 길》 조지 오웰 더 깊이 읽기 210 일, 굴레일까, 축복일까? 220 철학 《게으를 권리》 폴 라파르그 영화 <워낭소리> 이충렬 더 깊이 읽기 237 열심히 일한 만큼 놀기 238 문학 《돈키호테》 미겔 데 세르반테스 철학 《도덕경》 노자 더 깊이 읽기 250 제 6 장 인터넷 스마트한 세상, 정보의 바다에서 살아남기 253 문학 《걸리버 여행기》 조나단 스위프트 에필로그 그래도 사람입니다 주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색다른 인문학! 인문학 책, 읽다가 포기한 적 있다면? 인문학책은 왜 두껍고 어렵냐고 불평한 적 있다면? 이제 공부가 아니라 놀이입니다. 인문학놀이로 즐기는 생생한 인문학!! <인문학은 행복한 놀이다>의 주제들은 하나같이 평범하고 일상에 가깝다. 저자는 마치 옆에서 편안하게 이야기하듯 가족, 학업, 일(직업), 연애, 결혼, 육아의 영역을 인문학으로 풀어낸다. 일상을 살지 않는 사람이 어디 있을까? 책을 읽는 동안 인문학이 이토록 가까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한번 놀란다. 그리고 또 놀란다. <인문학은 행복한 놀이다>가 너무도 쉽게 술술 읽히기 때문이다. 저자 역시 인문학자가 아닌, 책을 좋아하고 글쓰기를 좋아하는 한 사람이기에, 그는 그저 자신이 만끽했던 책들을 통해서 자신의 고단했던 삶을 어떻게 누리고 보듬어 왔는지 들려준다. 그래서 <인문학은 행복한 놀이다>는 생생하다. 저자는 서평 따위를 늘어놓는 게 아니라, 여러 인문학 고전들과 텍스트들을 일상에서 몸소 체험한 생생한 이야기로 승화시켰다. 가령, 만화 <미스터 초밥왕>을 보며 인간의 열정과 애정이 탄생시킨 특별한 매개체인 ‘쇼타의 초밥’을 통해 ‘너에게 그 대상은 뭐니?’하고 질문하고, 또 <인형의 집>에서는, 자신이 언제든 대체될 수 있는 하나의 소유물이었음을 깨닫는 노라와 오늘날의 대한민국 여성들을 이어주기도 한다. 심지어 ‘레비나스’를 읽고 ‘논어’의 행간을 읽어가며, 궁극적인 자기다움을 발견해가는 과정이 왜 우리에게 중요한 과제인지를 깨닫게 해준다. 저자는, 이 책도, 자신의 삶도 거창하지 않지만, 각자의 존재가 우주만큼 소중하다는 것을 때로는 즐겁게, 때로는 진지하게 처음부터 끝까지 조근조근 이야기해간다. 마치 따뜻하게 쓰다듬는 손길처럼, 인문학이라는 희망의 도구를 통해서. 그에게 인문학은, 정말로 행복한 놀이임에 분명하다는 사실을, 그리고 우리는 누구나 나만의 인문학을 품고 살아간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