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의 말
들어가는 글 / 디지털 시대의 매체 미학
매체 미학의 필요성
매체 미학에 대한 일반적 정의
문자 문화에서 이미지 문화로의 전환
매체 미학의 분석 대상들
이미지 중심의 사유 방식
매체 미학이 다루어야 할 문제들
1장 - 영화 이미지와 디지털 이미지의 수용
새로움은 낡음이 된다
동영상(moving image)의 재등장
영화 이미지의 수용 방식
재매개화 또는 매체의 변증법
2장 - 디지털 이미지와 이미지 공간
매체는 이미지를 바꾼다
기술적 이미지
디지털 매체 등장 이전의 기술적 이미지
원본 없는 이미지와 이미지의 변형
이미지 공간으로서의 사이버스페이스
디지털 이미지는 최종 단계 이미지는 아니다
3장 - 디지털 매체 예술의 새로운 패러다임
새로운 예술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한다
디지털 매체 예술론으로서의 매체 미학
상호 작용성
공간의 문제
사이버스페이스를 산보하다
4장 - '올드 보이'를 보다
보이는 자와 보는 자
억압적 매체의 해방적 매체
사설 감옥에 갇힌 오대수
TV를 통해 외부 세계와 소통하는 오대수
말과 오대수
감시와 봄
보이는 자 오대수와 보는 자 이우진
감옥 밖의 감옥
스스로를 드러낸 이우진과 그를 쫓는 오대수
해방적 매체로의 전환?
나가는 글 / 사이버 스페이스 시대의 미학...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