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스페이스 시대의 미학

심혜련
22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0
평균 별점
(3명)
코멘트
더보기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

디지털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예술 접근 가능성의 민주화가 더욱 진척된 현 상황에서 새로운 미의식이 무엇인지를 탐사하는 책이다. 예술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을 대체해가고 있는 사이버스페이스 시대의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우리 시대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 해독과 해석보다는 감각적이고 놀이적인 체험이 중시되는 사이버스페이스의 특성상, 예술가들이 생산하는 작품들은 전통 예술과 다른 특성을 지닌다. 유토피아적 기관으로 기능하지 않고, 삶의 자극소, 사회의 정보 체제, 현실 연구의 탐사 장치가 된 것이다. 심의하고 평가하는 사람들을 염두에 두지 않은 자오류온 상상력이 펼쳐지는 곳, 바로 사이버스페이스이다. 한편 일반인 또한 자신의 활동공간을 사이버스페이스에 구축한다. 유행을 넘어서 일상이 된 개인 홈페이지가 이를 대변한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도 창조자와 수용자는 구분되어 있지만, 누구나 창조자가 되어 수용자의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전과 다르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저자/역자

목차

저자의 말 들어가는 글 / 디지털 시대의 매체 미학 매체 미학의 필요성 매체 미학에 대한 일반적 정의 문자 문화에서 이미지 문화로의 전환 매체 미학의 분석 대상들 이미지 중심의 사유 방식 매체 미학이 다루어야 할 문제들 1장 - 영화 이미지와 디지털 이미지의 수용 새로움은 낡음이 된다 동영상(moving image)의 재등장 영화 이미지의 수용 방식 재매개화 또는 매체의 변증법 2장 - 디지털 이미지와 이미지 공간 매체는 이미지를 바꾼다 기술적 이미지 디지털 매체 등장 이전의 기술적 이미지 원본 없는 이미지와 이미지의 변형 이미지 공간으로서의 사이버스페이스 디지털 이미지는 최종 단계 이미지는 아니다 3장 - 디지털 매체 예술의 새로운 패러다임 새로운 예술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한다 디지털 매체 예술론으로서의 매체 미학 상호 작용성 공간의 문제 사이버스페이스를 산보하다 4장 - '올드 보이'를 보다 보이는 자와 보는 자 억압적 매체의 해방적 매체 사설 감옥에 갇힌 오대수 TV를 통해 외부 세계와 소통하는 오대수 말과 오대수 감시와 봄 보이는 자 오대수와 보는 자 이우진 감옥 밖의 감옥 스스로를 드러낸 이우진과 그를 쫓는 오대수 해방적 매체로의 전환? 나가는 글 / 사이버 스페이스 시대의 미학...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