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드라마 <이산>의 원작소설!
500년 조선 왕조사에서 가장 파란만장하고 굴곡진 삶을 살았던 제22대 임금 정조대왕의 일대기를 다룬 이 책은 MBC 창사 46주년 특별 기획 드라마 <이산>의 원작소설이다. 드라마의 재미를 살리되 소설적 흥미 또한 놓치지 않기 위해 대본에 충실한 작업과 아울러 소설적 상상력을 한껏 발휘했다.
열한 살 어린 나이의 산(정조대왕)이 아버지 사도세자가 갇혀 있는 뒤주를 찾아가는 것으로 소설은 시작한다. 할아버지 영조가 금한 행동을 세손이 어기고 만 것이다. 그러나 아버지를 향한 지극한 효심이 남달랐던 이산에게 어명은 부당하고 부당할 뿐이다. 이 때문에 오히려 사도세자가 죽음을 맞게 되고, 그러한 아비의 죽음이 자식을 살리는 아이러니가 이산 앞에 놓인 운명을 암시한다.
파란만장한 정조대왕의 일생을 놓고 보자면, 아버지 사도세자의 죽음은 단지 서막에 불과하다. 아버지 사도세자와 마찬가지로 할아버지 영조로부터 끊임없이 성군의 자질을 시험받는가 하면, 외척의 모략과 암살 위협 속에서 우여곡절 끝에 임금의 자리에 오르기까지 그가 겪어야 할 고통은 끝이 없다. 그러한 가운데서도 왕조를 파국으로 몰아 간 파당정치를 해소하고, 경제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루어 냈는가 하면, 부국강병으로 앞날을 도모한 성군 중의 성군이 바로 이 소설의 주인공 정조대왕이다.
평생을 암살 위협 속에 살아야 했던 비운 속에서도 이처럼 많은 치적을 남긴 것은 어쩌면 성송연(의빈 성씨)이라는 운명의 여인에게서 기인한 것인지도 모른다. 아버지를 잃은 열한 살 나이에 찾아온 운명적 사랑, 삶의 주춧돌이 된 여인을 통해 이산은 성군이 되었을 것이라는 설정이 소설 <이산 정조대왕>과 드라마 <이산>를 관통하고 있다.
성군의 자질을 시험하고자 할아버지 영조가 ‘가난 없이 백성을 배불리 먹이기 위해 임금이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을 묻자 이산의 대답은 궁색하기 이를 데 없다. 때마침 이산 곁에 다가온 여인 송연이 운명적일 수밖에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산에게 다가온 운명적 사랑 성송연과 마찬가지로, 비천한 여인을 어머니로 둔 영조의 눈에 어린 이산의 대답이 만족스러울 리 없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그 답은 운명적 사랑과 함께한다.
운명처럼 다가온 사랑의 힘으로 정조대왕은 오늘날까지도 살아 있는 것이다. 그는 이 소설에서도 독자들의 마음에 되살아나 “진정한 효를 물을 것이고, 진정한 성군을 물을 것이고, 진정한 화합의 정치를 물을 것이고, 그리고 진정한 사랑”을 물을 것이다. 그에 대한 답을 드라마가 어떻게 내릴지, 그리고 이 소설이 어떻게 내릴지 독자들이 직접 만나보는 재미는 이 땅에 먼저 살다 간 성군 정조대왕이 후대의 백성들에게 남긴 유산이요, 덤이 아닐까. 할아버지 영조가 내놓은 질문의 답은 ‘백성을 긍휼히 여기는 마음을 갖는 것’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