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레이드 러너 깊이 읽기

윤원화님 외 9명 · 사회과학/인문학
268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5(6명)
0.5
3.5
5
평가하기
3.5
평균 별점
(6명)
코멘트
더보기

한국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블레이드 러너' 본격 비평서로서, 기존 팬들에게는 '블레이드 러너'를 기념하는 최고의 선물이자, 초보자들에게는 영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뛰어난 가이드북이다. 각 분야의 전문가인 10명의 필자들은 영화의 본편(1982년작)과 속편(2017년작) 모두를 아우르며 작품에 담긴 의미를 다각도로 짚어본다. 시각 문화와 SF 장르에 끼친 심오한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물론, 현대 사회의 급박한 화두인 인류세와 AI, 불평등 자본주의 등의 맥락에서 이 작품을 읽어낸다. 또한 페미니즘이나 기독교의 관점에서 이 작품을 어떻게 비판적으로 수용할 것인지도 정면으로 다룬다. 이를 통해 필자들은 '블레이드 러너'를 새로운 시대에 영감을 주는 텍스트로 재탄생시킨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별점 그래프
평균 3.5(6명)
0.5
3.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목차

서문 1장 누적된 꿈의 지층들_윤원화 2장 느린 아포칼립스의 한가운데서_강연실 3장 블레이드 러너 경제 연대기_임태훈 4장 레이첼 전_손진원 5장 레플리컨트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_이지용 6장 〈블레이드 러너〉의 흥망성쇠_김창규 7장 레플리컨트와 홀로그램, AI의 (목)소리들_곽영빈 8장 나의 그리운 디스토피아_김현호 9장 성서적 세계관으로 본 〈블레이드 러너〉_주원규 10장 한국 〈블레이드 러너〉 팬덤_김효진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왜 지금 <블레이드 러너>인가 시각 문화와 SF에 미친 영향부터 인류세와 AI, 불평등 자본주의까지 영화 <블레이드 러너>(1982)는 SF 역사상 가장 기념비적인 작품 중 하나이다. 시각적인 밀도가 높고 사상적으로도 선구적이었기에 전 세계적으로 오랜 시간에 걸쳐 사랑받아왔다. 한국에는 1989년에 처음 TV에서 방영된 이래, 극장 개봉과 DVD 발매를 거쳐, 현재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등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다. 오랜 기간 전설로 회자되어온 작품, 오늘날 이 영화는 대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이 책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블레이드 러너>에 대한 본격 비평서로서, 본편(1982년작)과 속편(2017년작) 모두를 아우르며 작품에 담긴 의미를 다각도로 짚어본다. 이 책의 기획자 임태훈은 “2020년대의 대한민국, 우리가 숨 쉬고 있는 현실의 시간 속에서, 이 책을 매개로 <블레이드 러너> 세계관의 쓸모를 발견하게 될 이들을 찾고 싶다”고 말한다. 그저 ‘옛날 영화’로 규정하고 치워버리기에는 <블레이드 러너>가 담고 있는 문제의식이 너무나 현재적이고, 심지어 미래적이기까지 하다. 이런 취지에서 세심하게 선별된 주제들을 각 분야 최고의 필진 10명이 맡아 집필했다. 시각 문화와 SF 장르에 끼친 심오한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물론, 현대 사회의 급박한 화두인 인류세와 AI, 불평등 자본주의 등의 맥락에서 이 작품을 읽어낸다. 또한 페미니즘이나 기독교의 관점에서 이 작품을 어떻게 비판적으로 수용할 것인지도 정면으로 다룬다. 이를 통해 10인의 필자들은 <블레이드 러너>를 새로운 시대에 영감을 주는 텍스트로 재탄생시킨다. 기존 팬들에게는 <블레이드 러너>를 기념하는 좋은 선물임은 물론, 초보자들에게는 영화를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가이드북이 될 것이다. 영화의 본편과 함께 속편까지 통합하여 다룬다는 점에서, 전 세계 <블레이드 러너> 연구 또는 팬덤의 맥락에서도 기념할 만한 출간이라 하겠다. 기획자가 말하는 이 책의 내용과 구성 그동안 <블레이드 러너>를 이야기했던 동어반복적인 주제나 담론과 차별화될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여 준비했다. 이 책은 이런 질문들을 고민한다. - 한국 사회의 풍경이 <블레이드 러너>의 디스토피아를 닮은 까닭은 무엇일까? - ‘사이버펑크’는 어쩌다 ‘헬조선’의 별칭이 된 걸까? - 오염된 먼지로 망해가는 <블레이드 러너>의 세계는 인류세 한반도의 위기를 왜 이토록 닮아 있는 것일까? - 레플리컨트의 비참함과 노동자의 절망이 쌍둥이처럼 닮은 이유는 무엇일까? - 여성을 남자들이 아무렇게나 다뤄도 상관없는 인형 취급하는 이 영화를 한국의 SF팬들은 왜 불편해하지 않았을까? - 우리 시대의 건축과 일상 공간에 <블레이드 러너>의 상상력은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 이 영화가 성경에서 모티브를 빌려왔음에도 결단코 교회에서 볼 만한 영화가 아닌 이유는 무엇일까? - 원작 소설의 작가 필립 K. 딕이 살아 있었다면 <블레이드 러너> 속편을 어떻게 평가했을까? - 네온 조명을 남용한 사이버펑크 풍의 사진이 감추고 있는 우리 세계의 민낯은 무엇일까? - 사이버펑크가 빤하고 후진 상상력의 단순 반복에 불과한 이유는 무엇일까? - <블레이드 러너> 감상의 음향적 충격은 시리와 빅스비와 대화하는 일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 이 영화를 평생 좋아했고 인생을 바꾼 영화라고까지 말하는 이들은 대체 어떤 사람들일까? SF 연구자와 창작자는 물론, 문학과 예술, 과학기술사 분야에서 맹활약하는 필자들이 참여했다. <블레이드 러너> 세계관의 도시, 건축, 공간에 대해 분석하고(윤원화), ‘기후 픽션’으로 이 영화를 재해석하며 인류세의 위기를 성찰한다(강연실). 또한 자본주의의 미래사를 탐구하는 정치경제 비평으로 <블레이드 러너>를 재발견한다(임태훈). 필립 K. 딕의 원작 소설과 영화의 관계(이지용), 성경적 세계관의 문제(주원규), 사이버펑크 장르의 흥망성쇠를 냉철하게 평가한 글(김창규) 역시 필독해주길 바란다. 사이버펑크 풍의 사진 문화에 대한 분석(김현호)과 영화의 사운드스케이프에 대한 비평(곽영빈)은 지금껏 그 어느 책에서도 읽을 수 없었던 <블레이드 러너>론이다. <블레이드 러너>가 앞으로도 볼 만한 가치가 있는 영화인지 좌우하게 될 가장 논쟁적인 주제인 페미니즘(손진원)에 대한 도전적인 비평과, <블레이드 러너>를 오랫동안 사랑해온 팬들에 대한 인터뷰(김효진)도 담았다. 이 책의 필자들이 한결같이 정색하고 거리를 두는 것은, 현실에 대한 성찰 없이 추억을 곱씹을 뿐인 복고 취향의 관심이다. 우리는 차라리 이 영화를 전혀 모르는 이들의 관심을 갈구한다. 갈수록 나빠지고 있는 우리 시대의 현실을 이해하는 데 이 책이 도움이 되길 바란다. 그것이 그들의 첫 번째 <블레이드 러너> 체험일 수 있다면 진실로 모든 게 완벽하지 않겠는가. 우리가 오랫동안 사랑했던 영화가 새로운 싹을 틔우는 일이기 때문이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