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전 세계 6백만 독자를 사로잡은
작가 피어시그의
매혹적인 통찰과 도전적인 주장
‘다른’ 것이 ‘틀린’ 것이 되어버린
이분법적 세계관을 겨냥한 일침!
23개국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 6백만 독자를 사로잡은 의 속편 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피어시그는 이 작품에서 “정상적인 정신 상태란 진실과는 관계없는 것이다. 이는 사회적으로 기대하는 바에 순응하는가, 그렇지 않은가의 문제일 뿐이다. 진실은 순응하는 편에 있을 수도 있지만, 때때로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며 오늘날 세상과 학계를 지배하고 있는 경직된 세계관에 일침을 놓는다.
전작에서 모터사이클 관리술을 통해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일견 사소해 보이지만 거대한 질문을 던져 인생의 가치와 그 가치를 탐색할 사유의 힘을 독자에게 전하고자 했다면, 이번에는 객관성의 덫에 걸려 ‘가치’를 학문에서 제거해버린 인류학의 문제점을 통해 이 세상의 문제를 진단한다.
피어시그에 따르면 오늘날 인류학의 정도(正道)로 여겨지는 ‘객관성’에 의존하는 연구 방식은, 유동적인 인간과 사회를 19세기 고전적 과학 탐구의 방식으로 연구한 프란츠 보아스 이후로 인류학계가 견지해온 방식이자 동시에 한계다. 이는 현실을 주체와 객체로 나누는 이분법적 관념으로 사람들의 관점과 사고를 경직되게 만들었다. 피어시그는 ‘객관성’만을 중시하고 인류학에는 어떤 가치도 존재하는 않는다는 관념을 공격하여 ‘오늘날 여기 이 세계에 존재하는 인간’의 삶을 가능케 한 근원적이고 보편적인 도덕적 질서를 탐구했다. 그에 따르면 이 세상의 모든 행동은 ‘가치 판단’에 따른 것이며, 생명과 관련된 일뿐만 아니라 세계의 모든 일은 윤리적 활동이다. 과학 또한, 사회-가치-로부터 전혀 독립적이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을 설명할 사고 틀로서, 기존의 학문들이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할 방법으로서 ‘질의 형이상학’을 제시하고 있다.
요컨대 <라일라>는 작가가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에서 시도했던 ‘질(質)’―즉 ‘가치’―에 대한 탐구의 후속편이라 할 수 있다. 작가 피어시그는 전작에서 펼친 ‘질’ 또는 ‘가치’에 대한 고고학적 탐구를 넘어, 인간의 구체적 숨결이 느껴지는 삶의 현장 한가운데서 이에 대한 탐구를 이어간다.
라일라는 ‘질(質)’이 높은 인간인가?
동료 교수를 통해 인디언 문화를 접하게 된 파이드로스는 그동안의 문화인류학이 과학적 방법에 기대어 가치적인 것을 불분명한 것으로 치부하고 학문의 영역에서 배척한 것을 깨닫고, 이러한 획일적이고 폭력적인 제도권 학문에 반하는 연구를 한다. 파이드로스는 보트 여행을 하며 이러한 연구를 하는데, 잠시 정박한 킹스턴에서 라일라라는 여자를 만나 뜻하지 않게 하룻밤을 보낸다.
여행 도중 알게 된 변호사 라이절에 따르면 라일라는 “아주 질이 낮은, 대단히 불행한 사람”이다. 하지만 파이드로스는 그녀와 요트 여행을 함께하게 되고, 여행 동안 라일라를 통해 한때 자신을 혼란과 질곡으로 몰아넣었던 형이상학적 문제인 ‘질이란 무엇인가’를 놓고 다시 한 번 깊은 성찰에 빠져든다.
정신병을 겪으면서 어려운 시기를 보낸 작가 자신의 자전적 이야기이자 첫 작품인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로 유명 작가가 된 피어시그는,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은 첫째 아이와 같아서 언제나 가장 사랑스러운 존재이긴 하지만, 만약 백 년이 지난 후에도 사람들이 여전히 이 두 책을 읽는다면 아마도 <라일라>를 더 중요한 책으로 여길 것이라고 예견하며 이 책에 대한 애정과 확신을 드러냈다.
이것은 코페르니쿠스적 변혁이다
문제의 출발점으로 삼은 인류학과 같이 폭력적인 이분법적 관념에 대응하기 위한 이론이 ‘질의 형이상학’이다. ‘질의 형이상학’에 따르면, 질에는 정적(靜的, static)인 것과 동적(動的, dynamic)인 것이 존재한다. 세상에는 기존의 어떤 가치 패턴(정적인 가치 패턴) 체계로도 포착할 수 없는 동시에 정의가 불가능한 요인이 있는데, 파이드로스는 그것을 동적인 질로 규정한다. 그에 따르면 생명의 창조와 진화 과정 및 가치 있거나 의미 있는 이 세상의 온갖 변화 과정을 지배하는 것은 바로 이 동적인 질로, 이러한 동적인 질과 정적인 질의 관계와 작용 원리에 따라 우리는 이분법적 세계관을 벗어나 세계의 많은 문제들을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파이드로스는 ‘동적인 질’이라는 개념을 동원함으로써 이제까지 인류학이든 사회학이든 정치학이든 철학이든 이른바 기존의 확립된 학문 체계가 설명할 수 없었거나 설명하기를 아예 거부했던 문제들을 명쾌하게 파헤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우리에게 하나의 새로운 시각―세계를 조망하기 위해 그동안 동원했던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시각―을 제공한다.
칸트가 ‘선험(a priori)’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에 혁명적 변화를 가져다주었던 ‘사건’을 ‘코페르니쿠스적 변혁’이라 하듯이, ‘질’ 또는 ‘가치’ 또는 ‘도덕’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파이드로스가 유도한 시각의 혁명적 변화는 실로 지성사에 기록할 만한 또 하나의 ‘코페르니쿠스적 변혁’과 같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피어시그의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과 함께 <라일라>가 갖는 지성사적 의미는 문학이나 철학의 차원을 뛰어넘어 근본적인 인식론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두루 문제가 될 만한 획기적인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얽매이지 말고 즐겨라!
아마도 많은 독자들이 이 작품에 펼쳐놓은 철학이나 형이상학적 논의에 부담을 느낄 것이다.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라일라>가 도대체 소설인지 철학책인지를 물을 수도 있겠다. 그러나 이 작품이 담고 있는 메시지가 이 작품의 문학 작품으로서의 위상을 위협하지는 않는다.
소설 속 작중인물들의 반응이나 생각의 흐름에 대한 묘사들은 개연성과 박진감으로 충만하다. 두 인간 사이의 심리적 갈등을 지탱하면서 이어지는 이야기 전개 과정 역시 긴장감이 가득한데, 독자라면 누구든 내성적이며 관념적인 성향의 남성과 외향적이며 즉물적인 성향의 여성이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두 인간의 만남이 어떤 결론이 날지 흥미를 갖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더 나아가 작가의 입장이나 이론이 무엇이든 얽매이지 않고, 독자는 자신의 방식대로 우리가 몸담고 있는 세계에 대해 이해하고 통찰할 힌트를 얻을 수 있다. 피어시그는 이 책에서 자신의 ‘질의 형이상학’의 적용의 실례를 보여주며 미국의 정치 . 사회 . 지적 역사의 문제들을 폭넓게 살핀다.
유럽 문화와 이 문화에 대해 타자 역할을 해야만 했던 여타 문화들 사이의 근원적인 차이와 상호 관계에 대해, 미국적 민주주의의 기원에 대해, 사회적 가치 패턴이 중시되던 과거에서 지적 가치 패턴이 중시되는 현대로의 변화가 인간의 삶에 미친 영향에 대해, 뉴욕과 같은 거대 도시가 사람들에게 삶의 주된 공간이 된 오늘날의 현실에 대해, 그리고 광기의 본질과 사회적 인식 사이의 차이에 대해 사유와 통찰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