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의 말 ? 5
글쓴이 소개 ? 9
서문 ? 15
1장 가정 침입: 미카엘 하네케와 가정 관객 (캐서린 휘틀리) ? 33
2장 가정 침입: 하네케의 영화에 나타난 연기와 브레송적 충동 (벤 매컨) ? 57
3장 윤리적 폭력: 하네케의 영화에 나타난 진정한 행위로서의 자살 (리사 쿨타드) ? 79
4장 사건에 대한 생각: 미카엘 하네케의 영화 속 잠재성 (올리버 C. 스펙) ? 101
5장 미카엘 하네케와 영화 형식의 정치학 (테메누가 트리포노바) ? 129
6장 글로컬 우울: 하네케의 프랑스어 영화에 나오는 실존적 공간 (케이트 인스) ? 161
7장 공허한 휴양객: 하네케의 영화에서 증상이자 해결책으로서의 여행 (크리스토퍼 저스티스) ? 177
8장 세계주의의 외부와 내부: 하네케의 〈미지의 코드〉에 나타난 도시와 환대 (폴라 E. 게이) ? 197
9장 초기의 하네케: 오스트리아 텔레비전에 등장한 오스트리아 문학 (데보라 홈스) ? 219
10장 K 추적하기: 카프카의 『성』을 각색한 하네케의 영화에 관하여 (빌리 리머) ? 239
11장 오스트리아의 흔적 지우기: 〈일곱 번째 대륙〉에 나타난 부르주아의 공간 구성 (벤저민 노이스) ? 259
12장 슈퍼모더니티, 병든 에로스 그리고 비디오 나르키소스: 이론과 시간에 따른 〈베니의 비디오〉 (마티아스 프레이) ? 277
13장 윤리적 스크린: 〈퍼니 게임〉과 고통의 스펙터클 (알렉스 게르바츠) ? 299
14장 초자아와 달걀: 〈퍼니 게임〉(1997, 2007)에서의 반복 (데이비드 소르파) ? 317
15장 문화에서 고문으로: 〈퍼니 게임〉과 〈피아니스트〉에서의 음악과 폭력 (랜던 팔머) ? 327
16장 감금과 초월의 이미지: 〈피아니스트〉에 수용된 낭만주의 (펠릭스 W. 트워레이저) ? 351
17장 예술 평론가의 언어에서 마조히즘의 두 가지 의미 (율리아나 코리나 바이다) ? 369
18장 기억에 지배된다? 〈히든〉 이후의 생각 (네모니 크레이븐 로드릭) ? 399
19장 디지털 영화와 ‘분열증’ 이미지: 미카엘 하네케의 〈히든〉을 중심으로 (리카르도 도미초) ? 419
20장 숨겨진 수치가 드러나다: 〈히든〉과 관객 (타르자 레인) ? 439
21장 미카엘 하네케의 영화에서 〈하얀 리본〉의 의미 (존 오르) ? 457
주·참고문헌 ? 466
작품 목록 ? 487
찾아보기 ? 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