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80년대 급진노동정치는 역사 속의 삽화가 아니다 1장. 왜 80년대 이후 급진노동운동에 주목해야 하는가 2장. 급진노동운동의 전사: 자유주의 노동운동의 궤적 초기 노동운동의 주객관적 조건 한국노총의 탈노동운동화: 공개적 독재체제의 노동통제기구화 자유주의 노동운동의 형성과 발전 70년 전후 ‘경제위기’와 ‘정치위기’: 파시스트체제로서 유신체제의 등장 기독교 노동운동의 등장과 ‘사회적 실천’: ‘자유주의 정치세력’의 대행자 ‘민주노조운동’의 대두와 성격 자유주의 노동운동에 대한 탄압과 대응 자유주의 노동운동의 양면성과 민주노조운동 3장. 급진노동운동의 등장과 발전 1979∼80년 사회관계의 위기: 5·18광주민중항쟁과 유신체제의 재편 ‘신군부파시즘’의 노동운동통제와 자유주의 노동운동의 재편 및 분화 노동운동에 대한 물리적 탄압과 노동법 개정 자유주의 노동운동의 한계와 재편 노동운동의 방향전환과 ‘급진노동운동’의 등장 구로연대파업과 노동운동의 방향전환: 급진노동운동의 대두와 성장 ‘노동자계급주의’의 형성과 그 의미 4장. 급진노동운동의 분화와 위기 6월항쟁과 7∼9월 노동자투쟁 6월항쟁과 ‘제한적 자유화’ 7∼9월 노동자투쟁과 자생성 7∼9월 노동자투쟁과 급진노동운동 ‘맑스주의 노동운동’의 형성과 분리 ‘민주화이행기’ 급진노동운동의 위상 급진노동운동의 재편과 위기 민주노조운동 ‘진영’의 형성과 전국노동조합협의회 건설 급진노동운동과 대중운동의 관계 : 전국노동조합협의회의 성격과 민주노조운동의 ‘분화’ 급진노동운동의 대중운동으로부터 분리와 위상의 재편 : 전노운협의 분화와 ‘노동운동 위기논쟁’ ‘통합국가’로의 진전과 ‘포위된 급진노동운동’ 5장. 급진노동운동이 남긴 그늘과 여백 주註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