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9
1장 불평등의 통치 ― 신자유주의적 불안전에 대한 비판 13
엥떼르미땅들의 분쟁과 사회의 신자유주의적 변형의 한복판에 선 미셸 푸코 15
“사회적인 것”이란 무엇인가? 16
신자유주의자들이 보는 시장 19
문화부문 고용시장 안의 불평등과 경쟁 21
신자유주의적 “개혁”의 의미 23
규율기술과 안전기술의 혼합 25
경제적 문제라기보다는 정치적 쟁점 26
탈정치화로서의 개인화 29
“인간자본” 경영자들의 작은 제조소 33
신자유주의에 대한 푸코의 분석의 한계들에 대한 몇 가지 지적 (1) : 위험, 보호, 금융화 39
신자유주의에 대한 푸코의 분석의 한계들에 대한 몇 가지 지적 (2) : 사적 소유 44
신자유주의에 대한 푸코의 분석의 한계들에 대한 몇 가지 지적 (3) : 연기금의 “조용한 혁명” 48
주체화, 책임, 워크페어 51
화폐의 권력효과 : “인간자본”의 “책임의식”(죄의식)을 만드는 조련 기술로서의 빚 55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에서 임시성의 용인 가능한 균형 58
국가의 선구자 역할 61
분쟁의 관리 63
문화 정책 65
“예술적 비판”에 대한, 문화 부문 고용에 대한 비판의 불행들 70
“예술적 비판” 개념의 정치적 한계 73
사회학적 관점 76
평등과 자유, 복지국가 안의 “사회적 비판”과 “예술적 비판” 81
통치성의 새로운 형태들 84
영혼들에 대한 통치에서 사람들에 대한 정치적 통치로 95
권력관계들의 군도와 정치적인 것의 정의 102
새로운 유형의 “실업자”의 생산과 통제 107
2장 정치적 사건의 역동성 ― 주체화와 미시정치의 과정 112
“혁명적 정치”의 전통적 형태들의 권리 소멸 113
사건과 역사 : 이상주의에 맞서 117
오늘날의 정치 실험 122
사건, 세계 그리고 주체성 126
대항품행들 128
분자단위 대항품행들의 “모호성들”과 “잠재성들” 130
푸코의 윤리적 전환점 138
사건의 현실화와 몰단위 대항품행들 (1) : 행위들의 전투 151
사건의 현실화와 몰단위 대항품행들 (2) : 말들의 전투 154
지식의 전투 158
전략들 : 몰단위와 분자단위, 거시와 미시 167
권력 장치들의 몰단위와 분자단위 기술들에 맞선 투쟁들 169
미시정치 안의 몰단위와 분자단위 175
미시정치는 구성주의다 183
프랑스에서 연합체들의 경험 188
3장 신자유주의 안의 경제적 빈곤화와 주체적 빈곤화 193
감각적인 것의 새로운 분할 202
자연의 평등, 힘의 평등 205
주체성의 통치 기술로서의 예술과 문화 207
예술, 시장, 제도, 그리고 공중의 통치 211
예술과 산업 : “교차된 가치들”의 경험 217
저항과 창조 222
주체화 과정으로서의 예술적 행위와 영매로서의 예술가 229
단절과 주체화의 비변증법적 기술들 233
주체성과 신앙 236
미적 패러다임 250
언술의 확장 258
실존적 기능 260
부록1 카프카와 죄의식의 생산 268
부록2 카프카, 예술, 작품, 예술가 그리고 공중 274
옮긴이 후기 285 / 참고문헌 294 / 인명 찾아보기 299 /용어 찾아보기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