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칸 힙합 1

힙합엘이
262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2000년 이전과 이후 01. 2000년 이전의 미국 힙합 014│02. 믿고 듣는 ‘Beats by Dr. Dre’ 019│03. 웨스트 코스트 지박령, 스눕 독 031│04. 중부가 낳은 여성 랩 스타, 다 브랫 055│05. 시장을 강타한 마초남, 미스티컬 063│06. 최초의 랩 스타, 엘엘 쿨 제이 069 Nas vs JAY Z 07. 나스, 언제나 나의 아이돌 076│08. Hova가 그린 청사진, The Blueprint 087│09. 뉴욕의 왕은 누구인가? 나스 vs 제이지 101│10. 요약해서 보는 비프의 역사 114 New Waves 11. 미디어가 만든 아이돌, 바우 와우 & 릴 로미오 134│12. 기획사가 만든 아이돌, B2K & 오마리온 149│13. 촌뜨기 래퍼 넬리의 성공기. ‘넬리네 마을’ Nellyville 160│14. 여성 래퍼 패러다임의 변화, 미씨 앨리엇 171│15. 두 천재의 앨범, Speakerboxxx/The Love Below 182│16. 메인스트림 유행의 변화, 루다크리스와 섀기 193 닥터 드레와의 연결고리 17. ‘Rap God’, 에미넴 202│18. 힙합 영화 8 Mile, 힙합 OST Bad Boys Ⅱ 214│19. 부자가 되거나 혹은 죽도록 노력하거나, Get Rich or Die Tryin’ 222│20. 지-유닛과 50 센트의 친구들 230│21. 지옥에서 부활했다. 게임처럼 이렇게 242

출판사 제공 책 소개

1970년 뉴욕, 힙합음악의 탄생 힙합 음악의 탄생은 1970년 초반 뉴욕(New York)으로 거슬러간다. 당시 미국 사회는 대통령 암살, 베트남 전쟁의 규모 확대, 정부의 인플레이션 정책 실패 등으로 상당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었다. 자연스레 사회는 혼란스러워졌다. 이는 특히 흑인 사회에 더 큰 영향을 끼쳤다. 학교는 제 기능을 상실했고, 일자리 역시 경제 성장률 하락과 함께 사라져갔다. 전쟁에서 돌아온 흑인 남성들은 사회적 무력감과 전쟁 후유증에 시달렸다. 이런 상황속에서 흑인 사회에는 헤로인(Heroin)과 같은 마약류가 빠르게 퍼져나갔고, 부모들은 해야 할 역할을 상실하기에 이르렀다. 아이들은 갱스터, 마약상들이 가득한 거리로 내몰렸다. 자연스럽게 범죄가 그들의 삶에 녹아들었고, 게토(Ghetto)는 이런 이들이 사는 곳이라는 상징이 됐다. 그리고 흑인들은 게토 안에서 자신들의 생존 방식이자 대응 방식으로 문화적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된다. 힙합음악 독립적 장르가 되다 네트워크 안에서 열린 게토 파티는 이 책에서 다루는 힙합음악이 탄생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1969년 자메이카(Jamaica)에서 뉴욕으로 이주해온 DJ 쿨 허크(DJ Kool Herc)는 파티에서 주로 레게 음악을 틀었지만 뉴욕 흑인들의 반응을 이끌어내지 못했다. 결국 쿨 허크는 MC에게 음악에 맞춰 거리의 슬랭을 외치게 했고, 이러한 변화는 사람들을 춤추게 했다. 이는 곧 기타나 베이스, 드럼 비트를 짧게 믹스하여 틀어주는 방식으로 진화했다. DJ들은 좀 더 복잡한 기술로 하나의 음악을 만들기 시작했고, 자메이카 랩(Toasting)을 따라하던 MC들은 특유의 라이밍을 구축해갔다. 그리고 1979년, 슈가힐 갱(Sugarhill Gang)이 최초로 녹음된 랩 음악 “Rapper’s Delight”를 발표했고, 그랜드매스터 플래시(Grandmaster Flash), 아프리카 밤바타(Afrika Bambaataa)를 거치며 힙합은 독립된 장르로서의 구성을 갖춰가게 되었다. 힙합의 황금기(Golden Era) 70년대에 쿨 허크에 의해 탄생한 힙합은 80년대에 들어서며 슈가힐 갱의 파티 음악, 그랜드마스터 플래시의 사회 의식적 메시지, 아프리카 밤바타의 실험적 음악 등으로 그 범위를 넓혀갔다. 그중 런 디엠씨(Run-D.M.C.)는 1983년 “It’s Like That”을 발표하며 사회 비판적인 가사를 통해 대중적으로 크게 성공했다. 이후 엘엘 쿨제이(LL Cool J)와 같은 스타가 계속 등장했고, 백인 힙합 그룹 비스티 보이즈(Beastie Boys)의 등장은 힙합이 백인 사회까지 퍼지는 데에 큰 공헌을 했다. 이 시기는 랩이 급속도로 발전한 해이기도 하다. 라킴(Rakim), 갱스타(Gang Starr), 빅 대디 케인(Big Daddy Kane) 등은 복잡한 구조와 라이밍을 선보였고, 서부로 넘어간 힙합은 갱스터 랩을 통해 닥터 드레(Dr. Dre), 스눕 독(Snoop Dogg)과 같은 갱스터 스타를 탄생시켰다. 이후 힙합은 ‘골든 에라(Golden Era)’라 불리는 황금기를 뒤로한 채 2000년대로 넘어간다. 디스전, 커머셜 래퍼, 클럽… 힙합의 시대가 도래하다 이 책의 후반부에서 이야기하듯이, 2000년대는 거리에서 들리던 음악이 클럽으로 이동하고, 클럽에서 들리는 음악이 미국 전역으로 퍼져나가는 시기다. 팝 음악도 힙합 장르가 가진 문법을 쓰는가하면 남부 힙합 음악이 대세로 거듭나기도 한다. 이 책은 2000년대의 힙합 음악을 다루고 있다. 힙합 역사상 가장 큰 비프가 발생했고, 미디어가 커머셜 래퍼를 만드는 등 힙합 음악이 가장 유명한 시기이기도 하다. 이후 팝 시장에서 래퍼가 생겨나고 전자음악으로 넘어가는 등의 변화까지, 이 책은 힙합 음악의 최근 흐름을 짚어내고 있다. 뉴욕의 음악, 미국의 음악이었던 힙합이 이렇게 짧은 시간 내에 전 세계의 음악이 된 것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이 책에서는 그 이유 역시 담아보았다. 대부분이 익숙하고 유명한 이름이라 친근하게 느껴지리라 생각하며, 이를 통해 많은 이들이 힙합 음악에 더욱 관심을 가져주었으면 한다. [미디어 소개] OSEN 2015년 6월 8일자 http://osen.mt.co.kr/article/G1110172574 스포츠동아 2015년 6월 5일자 http://sports.donga.com/3/all/20150605/71666131/1 이데일리 2015년 6월 6일자 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A21&newsid=01128326609399096&DCD=A10202 머니투데이 2015년 6월 6일자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5060314252798328&outlink=1 파이낸셜뉴스 2015년 6월 4일자 http://www.fnnews.com/news/201506041756395213 한국일보 2015년 6월 5일자 http://www.hankookilbo.com/v/c2c15fd1d4d74cd0bc46ef9185efa260 국민일보 2015년 6월 4일자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9511816&code=61171511&cp=nv TV리포트 2015년 6월 5일자 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723418 조이뉴스 2015년 6월 5일자 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901803&rrf=nv 헤럴드POP 2015년 6월 5일자 http://pop.heraldcorp.com/view.php?ud=201506051628385572015_1 충청일보 2015년 6월 7일자 http://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8209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