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개정 신판 간행사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초판 간행사 <조선 후기편> 전면 개정판 머리말 초판 머리말 Ⅰ. 정치 기구와 정국 변동 1. 양란 후 국가의 대변화를 기획하다 · 양란과 국가재조론 2. 비변사가 국정 운영의 중심이 되다 · 통치 기구의 정비와 비변사 3. 양란 후 군사 제도를 정비하다 · 군사 제도의 개편 4. 중원의 주인이 바뀌다 · 병자호란과 국제 질서의 재편 5. 통한의 수치, 최후의 자존심 · 북벌론과 조선중화론 6. 사림 정치의 새 판 짜기 · 인조반정과 정치 구도의 변동 7. 북벌 정치에서 예치로 · 효종대의 북벌 정치와 현종대 예송 8. 왕권, 당쟁을 이용하다 · 숙종대의 환국과 ‘탕평’ 시도 9. 탕평의 그림자, 아들을 삼키다 · 영조대의 탕평과 임오화변 10. 합의와 설득의 고단한 길 · 정조의 의리 탕평과 의리 변경 11. 군주제 뒤로 숨은 세도 권력 · 외척의 세도 정치 Ⅱ. 경제 구조의 변화 1. 위험하지만 소출이 많은 농사법으로 · 농법의 발달과 농서 편찬 2. 농사를 잘 지어 돈을 벌자 · 경영형 부농과 상업적 농업 3. 세상이 변해가니 지주 노릇도 새롭게 · 지주제의 변동 4. 전세 제도를 개편하다 · 영정법과 비총제 5. 나라에서 필요한 물건은 이제 사다 쓴다 · 대동법 6. 군역을 고르게 한다더니, 양반은 왜 빠져 · 균역법 7. 늘어가는 사상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 · 상업 발달과 신해통공 8. 민간 자본이 공업과 광산에 뛰어들다 · 수공업과 광업 9. 큰돈을 벌려면 무역을 해야 한다 · 대외무역의 발전 10. 온 나라에서 누구나 동전을 쓰게 되다 · 상평통보의 발행과 전황 Ⅲ. 사상과 문화 1. 조선 성리학의 순정한 토양 · 조선 후기 성리학의 연원 2. 조선 성리학의 주요 학풍 · 남인과 서인 성리학의 전개 3. 조선 성리학의 변주 · 주자 절대주의 비판 학풍 4. 실학은 유효한가? · 실학 연구론 5. 법고창신의 쇄신안, 실학 · 실학의 사회 개혁론 6. 동국의 역사와 지리를 연구하다 · 실학자의 역사·지리 연구 7. 신분 상승을 위하여 여전히 유력한 길 · 과거제의 변화와 교육 8. 서양의 새로운 문명, 불온한 종교 · 서학과 천주교 Ⅳ. 사회 변동과 농민 항쟁 1. 신분제가 크게 동요하다 · 신분제의 변동 2. 중인층이 신분 상승을 꾀하다 · 중인층의 신분 상승 운동 3. 지방에 대한 통치를 강화하다 · 지방 통치 체계의 재편 4. 향촌 사회의 운영과 권력이 변화하다 · 향촌 자치와 향권의 추이 5. 서민 문화가 꽃피다 · 서민 문화의 발달 6. 백성들이 꿈꾸는 새로운 세상 · 민간 신앙과 동학 7. 변방에서 울린 함성이 전국을 흔들다 · 홍경래난 8. 전국에서 민란의 불길이 솟다 · 임술민란 9. 정부, 민란의 수습을 도모하다 · 민란 대책과 삼정이정 부록 조선 왕 계보도 연표 찾아보기 각 장별 아이콘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