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존재론적·인류학적 관점에서 본 편견의 조건 가다머의 편견 개념 - 현재와 과거 - 계몽주의와 경험론적 편견 개념 - 던져짐과 지향 - 격정과 감정 - 개별적 주체와 개인 2. 사회적·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편견의 조건 계층화와 기능 - 문화 공동체 - 과잉 일반화와 스테레오타입 - 동화, 이질화 그리고 문화적 기억 - 이해와 안정 - 책임으로부터의 도피 - 정체성 - 트라우마 - 상상력과 투사(投射) 3. 어째서 근대에 이르러 편견이 생겨났는가? 근대의 역동성 - 만족하지 못하는 사회 - 근대의 구조 - 근대의 구성 - 근대의 정치 - 자유 - 평등과 불평등 - 형제애 - 근대의 비판 - 지배적 세계관 - 현대 문화에 대한 물음 4. 인종·종족·종교적 편견들 인류학적 문화 개념 - 문화와 문명 - 고급문화 개념 - 문화적 담론 개념 - 덧붙이는 말: 진리의 개념에 관하여 - 인종주의 - 반유대주의의 전개 5. 악(惡)과 전체주의 세계사에 나타난 악의 기능 - 자연적인 악 - 도덕적인 악 - 전체주의의 발전 - 소비에트연방, 나치 독일 그리고 홀로코스트 6. 계급에 대한 편견, 여성에 대한 편견 그리고 성에 대한 편견 정적인 정의와 역동적인 정의 - 분배의 정의와 징벌적 정의 - 파르베누(Parvenus) - 성에 대한 편견 - 여성에 대한 편견 7. 철학적 편견 자연과학 - 개인적 편견 - 정체성에 대한 물음 후기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