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두기
책머리에
제1장 악부(樂府)
왕소군(王昭君 - 왕소군)
상봉행(相逢行 - 상봉의 노래)
옥계원(玉階怨 - 옥 섬돌에서의 원망)
양양곡(襄陽曲 - 양양 지방의 노래) 4수
낙양맥(洛陽陌 - 낙양 거리)
고구려(高句麗 - 고구려)
정야사(靜夜思 - 고요한 밤의 고향 노래)
녹수곡(?水曲 - 호수의 노래)
고객행(?客行 - 상인의 노래)
결말자(結襪子 - 버선 노래)
청평조사(淸平調詞 - 청평조사) 3수
소년행(少年行 - 소년의 노래)
제2장 가음(歌吟)
추포가(秋浦歌 - 추포의 노래) 14수
횡강사(橫江詞 - 횡강의 노래) 6수
영왕동순가(永王東巡歌 - 영왕 동순의 노래) 11수
상황서순남경가(上皇西巡南京歌 - 상황이 남경으로 순방한 노래) 10수
아미산월가(峨眉山月歌 - 아미산 달 노래)
제3장 기증(寄贈)
견경조위참군양이동양(見京兆韋參軍量移東陽 - 경조 사람 위참군이 동양으로 옮겨온 것을 보고)
대설헌종형우성재(對雪獻從兄虞城宰 - 눈 오는 날 종형 우성 현령에게 드림)
문사양아음맹호사인유차증(聞謝楊兒吟猛虎詞因有此贈 - 사양아가 부르는 맹호사를 듣고 이 시를 지어 주다)
계심양상최상환(繫尋陽上崔相渙 - 심양에서 재상 최환에게 올림)
제정심수기상공(題情深樹寄象公 - 정심수를 상공에게 보내면서)
기상오왕(寄上吳王 - 오왕에게 드림)
동노견적박통(東魯見狄博通 - 동노에서 적박통과 해후하다)
증화주왕사사(贈華州王司士 - 화주 왕사사에게 드림)
파릉증가사인(巴陵贈賈舍人 - 파릉에서 가사인에게 드림)
증왕륜(贈汪倫 - 왕륜에게 드림)
문왕창령좌천용표요유차기(聞王昌齡左遷龍標遙有此寄 - 왕창령이 용표로 좌천당한 소식을 듣고 멀리서 부치다)
제4장 송별(送別)
구호(口號 - 입으로 읊조리다)
별동림사승(別東林寺僧 - 동림사 스님과 이별하며)
송질량휴이기부회계희유차증(送侄良携二妓赴會稽戱有此贈 - 두 기녀를 데리고 회계로 부임하는 조카 질량을 보내면서 희증하다)
송은숙(送殷淑 - 은숙을 보내며)
송육판관왕비파협(送陸判官往琵琶峽 - 비파협으로 가는 육판관을 보내며)
부득백로사송송소부입삼협(賦得白鷺사送宋少府入三峽 - 삼협으로 들어가는 송소부를 전송하면서 백로를 읊다)
황학루송맹호연지광릉(黃鶴樓送孟浩然之廣陵 - 황학루에서 광릉으로 가는 맹호연을 보내며)
송하빈객귀월(送賀賓客歸越 - 월 지방으로 돌아가는 하빈객을 보내며)
송외생정관종군(送外甥鄭灌從軍 - 외조카 정관을 군대에 보내면서) 3수
송한시어지광덕(送韓侍御之廣德 - 광덕으로 가는 한시어를 보내며)
제5장 수답(酬答)
답우인증오사모(答友人贈烏紗帽 - 오사모를 준 친구에게 감사드리며)
산중문답(山中問答 - 산중에서의 문답)
답호주가섭사마문백시하인(答湖州迦葉司馬問白是何人 - 호주 사마 가섭이 이백이 누구냐고 묻기에 답함)
수최시어(酬崔侍御 - 최시어의 시에 수답하며)
제6장 유연(遊宴)
배종조제남태수범작산호(陪從祖濟南太守泛鵲山湖 - 종조인 제남 태수를 뫼시고 작산호에서 배 띄우고 놀다) 3수
배시랑숙유동정취후(陪侍郞叔遊洞庭醉後 - 시랑 벼슬을 지낸 족숙을 모시고 동정호에서 취한 후 짓다) 3수
동관산취후절구(銅官山醉後絶句 - 동관산에서 취한 후 지은 절구)
구일용산음(九日龍山飮 - 9일 용산에서 술 마시다)
구월십일즉사(九月十日卽事 - 9월 10일 읊조리다)
동로문범주(東魯門泛舟 - 노 땅 동문에서 배 띄우고) 2수
배족숙형부시랑엽급중서가사인지유동정(陪族叔刑部侍郞曄及中書賈舍人至游洞庭 - 족숙인 형부시랑 이엽과 중서사인 가지를 뫼시고 동정호에서 노닐면서) 5수
여사량보유경천능암사(與謝良輔遊涇川陵巖寺 - 사량보와 경천 능암사를 유람하면서)
제7장 등람(登覽)
두릉절구(杜陵絶句 - 두릉에서 지은 절구)
망모과산(望木瓜山 - 모과산을 바라보며)
망여산폭포(望廬山瀑布 - 여산폭포를 바라보며)
망여산오로봉(望廬山五老峯 - 여산 오로봉을 바라보며)
망천문산(望天門山 - 천문산을 바라보며)
제8장 행역(行役)
야하정로정(夜下征虜亭 - 밤에 정로정으로 내려가면서)
분망도중(奔亡道中 - 피난 가는 길에서) 3수
객중작(客中作 - 타향에서 지은 시)
조발백제성(早發白帝城 - 아침에 백제성을 떠나면서)
추하형문(秋下荊門 - 가을날 형문으로 내려가며)
제9장 한적(閑適)
노중도동루취기작(魯中都東樓醉起作 - 노 중도의 동루에서 취한 일을 깨어서 적다)
청계반야문적(淸溪半夜聞笛 - 한밤중 청계에서 피리 소리를 듣다)
하일산중(夏日山中 - 여름철 산중에서)
취제왕한양청(醉題王漢陽廳 - 왕한양 집에서 취해 짓다)
독좌경정산(獨坐敬亭山 - 홀로 경정산에 앉아서) 2수
자견(自遣 - 근심을 없애려고)
산중여유인대작(山中與幽人對酌 - 산속에서 은자와 대작하다)
여사랑중흠청황학루상취적(與史郞中欽聽黃鶴樓上吹笛 - 낭중 사흠과 황학루에서 피리 소리를 듣다)
제10장 회고(懷古)
소대람고(蘇臺覽古 - 고소대에서 옛날을 회고하며)
월중람고(越中覽古 - 월 지방에서 옛날을 회고하며)
여강주인부(廬江主人婦 - 여강의 부인에게)
제11장 회사(懷思)
억동산(憶東山 - 동산을 그리며) 2수
중억(

이백 시세계의 백미를 담아낸 책. 현전하는 이백의 절구시(絶句詩) 전체인 187수를 우리말로 옮기고, 이백 시의 전문 연구자 황선재 씨의 주석과 해설을 곁들여 소개했다. 이백의 시 중에서 가장 짧은 형식인 '오.칠언절구시'만을 묶어 펴낸 것은 중국을 포함하더라도 이 책이 세계 최초이다.
기억의 문 열어볼까요?
코고나다감독 판타지 감성 시네마
빅 볼드 뷰티풀 · AD
기억의 문 열어볼까요?
코고나다감독 판타지 감성 시네마
빅 볼드 뷰티풀 ·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