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카페에서 문학읽기

김용규 · 인문학
334p
구매 가능한 곳
별점 그래프
평균3.7(357명)
평가하기
3.7
평균 별점
(357명)
인문학과 철학의 풍부한 재료를 맛깔스럽게 풀어내온 철학자 김용규가 문학과 인문학의 카페로 독자들을 초대한다. 고전에 속하는 총 13편의 소설과 희곡들에 대해 독자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형식으로 구성했다. 독자들이 편안한 의자에 앉아 차를 마시며 오랜 친구와 담소를 나누는 듯한 기분으로 읽을 수 있도록 했다. 작품에 대한 사소한 정보부터 교양이 될 만한 각종 주제들, 그에 대한 철학적 해석들을 담았다. 문학 특유의 풍부한 감수성과 현실에 대한 예리한 통찰력을 빌려, 실존 철학이나 낭만주의와 같은 철학의 흐름과, 종교적 구원이나 가정의 의미와 같은 우리 삶의 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고, 문학에 접근하는 방법 자체를 바꿔, 문학 작품이 던지는 질문 에 주목해보라고 제안한다. 문학의 깊은 매력에 빠져 있는 독자들에게 문학 작품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알려준다. 또한 고전이라는 이름의 무게 때문에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하는 독자들에게는 문학작품의 의미를 파악해가며 즐겁게 철학과 만날 수 있도록 했다.
별점 그래프
평균3.7(357명)

저자/역자

코멘트

10+

목차

책머리에 | 카페라테 혹은 에스프레소? 신은 누구를 구원하는가? 괴테의 <파우스트> 1부 : '자기 체험'에 대하여 악마마저 이겨낸 남자 괴테의 <파우스트> 2부 : '자기실현'에 대하여 질풍노도를 잠재우는 법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 '성장'에 관하여 관계의 미학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 : '만남'의 의미 사랑과 질투의 함수관계 셰익스피어의 <오셀로> : '질투'에 관하여 가족에 관한 냉혹한 진실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 '가정'의 의미 참을 수 없는 일상과의 결별 사르트르의 <구토> : '일상'에 대하여 텅 빈 무대의 대본 없는 배우, 인간 사뮈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 '권태'의 의미 나는 반항한다. 고로 존재한다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 : '반항'의 의미 그 섬은 어디에 있을까? 최인훈의 <광장> : '유토피아'에 대하여 당신들의 유토피아, 우리들의 디스토피아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 : '디스토피아'에 대하여 불행해질 권리를 요구합니다 올더시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 '인간공학'에 관하여 빅브라더가 지켜보고 있다 조지 오웰의 <1984년> : '사회공학'에 관하여 나를 찾는 시간여행, 회상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회상'의 의미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7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