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사를 생각한다

최태영
27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0
평균 별점
(1명)
코멘트
더보기
[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

법학자이자 한국 고대사 연구자인 지은이가 2년 전에 펴낸 회고록을 겸한 역사 연구서 <인간 단군을 찾아서>를 찾아서 이후 진행된 단군 연구와 80년대 학술원 논문으로 내놓었단 고대의 법사상과 전통사상, 한일 고대사 등의 글을 한데 묶은 책이다. 한국사의 출발을 실존인물 단군의 고조선 개국으로 보고 있는 지은이는 단군의 고조선 개국 역사가 일제 이후 신화로 치부되어온 데에 대하여 반박하고, 그러한 주장의 허구와 배경을 학문적 입장에서 밝히고 있다.

저자/역자

목차

머리말 1. 단군과 고조선 고대사 연구의 문제점 / 단군 이전-환국 신시 시대 / 단군의 개국 / 고조선의 중심지 요동 / 단군조선의 흥망 / 동이족과 공자 / 기자조선의 허구 / 개기종야 - 한사군 / 조선사편수회와단군 / 단군을 위하여 / 내가 만난 정인보 2. 건국 이념의 맥 - 단군에서 고려초까지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 단군의 홍익인간 / 광개토 대왕비와 고구려 건국이념의 구현 / 진흥왕순수비의 신라 건국이념 / 조의국선과 화랑도 / 문무왕 유조에 나타난 통일신라 건국이념 / 통일신라 말기부터 고려 통일 전까지의 지도이념 / 발해의 융성과 고문자 연구 3. 상고 이래의 법습 고조선의 금법팔조 외 / 부여의 책임정치 / 예맥과 옥저, 동예 및 삼한 / 삼국, 고려, 근조선 / 마을규범, 두레와 품앗이, 동제 및 향약 4. 한국의 전통사상 제천 / 조상숭배 - 효와 충/ 현묘지도 - 풍류 / 무교의 퇴화 / 유학의 전래 / 호국불교의 성행과 원효사상 / 실학사상과 개화주의의 연결 5. 고대 한일관계사 일본국의 시원 한국 / '정한론'의 실체 6. 일본 속의 한국 불교 최초의 전법과 불교의 수용 / 소가 가문과 도일 한인의 조직화 / 백제인이 세운 아스카 불교문화 / 백제천변의 백제대사와 백제궁 / 망명한인 대집단 - 일본국 건설과 문화에 대공헌 / 백제인의 씨사 강사와 백제왕신사/ 원효, 의상의 '화엄연기' / 일본의 원료사상 연구 / 동대사와 행기 / 고구려인의 무사시노 정리를 마치고 - 법학과 역사의 지성 / 김유경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