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서문 -'동북아 문화공동체'와 '동방 르네상스'를 위하여
자료 차례
제1부 동북공정은 깃털에 불과하고 몸통은 따로 있다
제1장 동북공정은 국가 전략의 일환이다
제2장 동북공정은 '고구려 공정'이 아니다
제3장 동북공정은 선행하는 역사관련 공정들의 연장선상에 있다
제4장 한반도를 염두에 둔 다양한 역사관련 작업들도 진행되었다
제5장 중국의 역사관련 공정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꿔야 한다
제2부 세계를 놀라게 한 홍산문화와 요하문명
제6장 홍산문화 이전의 요하 지역 주요 신석기문화
제7장 세계를 놀라게 한 홍산문화
제8장 중화문명의 시원지로서의 요하문명, 홍산문화 알리기
제3부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전개와 응용
제9장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전개와 새로운 '중화민족' 개념의 탄생
제10장 중화문명의 기원지에 대한 입장의 변화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적용(1)
제11장 요하문명론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적용(2)
제4부 요하문명의 진정한 주인공은 누구인가?
제12장 홍산문화, 요하문명과 한반도의 연계성
제13장 '흐름'과 '교류'의 역사로 우리의 상고사를 보자
제14장 흐름과 교류의 산물 '삼족오'
제15장 요하문명,동북아문명을 동북아시아 공동의 문명권으로 가꾸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