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위험하지만,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을 다룬 책!” — 『더 타임스』
“천재 수학자 캐시 오닐이 수치심과 권력의 관계를 파헤쳤다.” — 『이브닝 스탠더드』
“실패와 좌절을 맛본 이들에게, 인간적 존엄성이 지켜지기를 원하는 모든 이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 송길영, 마인드 마이너(Mind Miner), 『그냥 하지 말라』 저자
★ 『더 타임스』 2022 올해의 책
★ 아마존,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 빅데이터 전문가, 마인드 마이너 송길영 강력 추천!
당신의 수치심이 그들의 돈과 권력이 된다
극단적 갈등과 분열된 사회에서 약자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소비되는가
마트에서 넘어진 뚱뚱한 여성을 촬영한 숏폼 영상, 해외여행을 한 번도 가지 않았다는 뜻의 ‘개근거지’라는 신조어가 유행하는 교실, ‘참교육’이라며 행해지는 사이버 린치 등, 우리는 혐오가 횡행하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피해자는 어떻게 타깃팅될까? 외모, 피부색, 가난 등 다양한 수치심이 혐오라는 이름으로 확산하고 퍼져나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수치심을 통해 이득을 얻는 이들은 누구일까? 갈등과 분열이 깊어진 사회가 회복될 수는 있을까?
20여 년간 월스트리트와 IT업계에서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빅데이터를 연구한 수학자 캐시 오닐은 『대량살상수학무기』를 통해 공정하고 객관적이라고 알려진 빅데이터와 알고리즘이 사실은 편향적이며 취약계층에 불이익을 준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녀는 이제 한발 더 나아가 『셰임 머신』에서 플랫폼과 알고리즘을 통해 외모, 가난, 젠더, 피부색, 정치적 입장 등 다방면에 걸쳐 왜곡된 수치심이 구조화되고 이를 정치적, 상업적으로 활용하는 시스템, 수치심 머신을 고발한다. 그리고 수치심 머신을 역이용해 혐오와 불신으로 분열된 사회를 치유할 해법을 제시한다.
당신의 수치심이 그들의 돈과 권력이 된다
“위험하지만,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을 다룬 책!” — 『더 타임스』
“단식, 그리고 위고비.” 최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인플루언서 킴 카다시안이 자신의 SNS로 비만 치료제 ‘위고비’를 소개하자 미국 시장에서 해당 제품이 품귀현상이 일어날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성인 비만율이 40%에 달하는(OECD 발표 2021년 기준) 미국에서는 비만은 개인의 문제를 넘어 퇴치되어야 할 질병으로 치부되고 있다. 이런 바람을 타고 비만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1년 4조4700억 원에서 2026년 5조8200억 원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건강을 위해 뚱뚱함을 관리하는 것은 필요하다. 그런데 비만에 대해 논의하는 과정에 빼놓지 않고 따라오는 이슈가 있다. 바로 뚱뚱한 사람에 대한 손가락질이다.
20여 년간 월스트리트와 IT업계에서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빅데이터를 연구한 수학자 캐시 오닐은 『대량살상수학무기』를 통해 공정하고 객관적이라고 알려진 빅데이터와 알고리즘이 사실은 편향적이며 취약계층에 불이익을 준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녀는 이제 한발 더 나아가 『셰임 머신』에서 플랫폼과 알고리즘을 통해 외모, 가난, 젠더, 피부색, 정치적 차이 등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부분에 걸쳐 문제의 원인을 개인에게 돌리고 그들 그리고 우리의 수치심을 부추기며 확산하는 시스템을 고찰한다. 그리고 이를 활용해 정치적, 상업적으로 이익을 얻는 이들이 누구인지 분석한다.
2014년, 미국 다이어트 리얼리티 〈비기스트 루저〉 방영 당시 118kg에서 47kg까지 감량한 우승자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죽지 않을 만큼 먹고 몇 시간씩 운동하며 몸을 혹사한 결과다. 우승자를 비롯해 방송 참가자들은 매우 뚱뚱했다. 현실에서 보기 드문 비만인들을 선별했기 때문이다. 방송은 수백만 시청자에게 ‘당신은 인생의 낙오자를 보고 있다’라는 메시지를 은연중에 흘린다. 시청자들은 나 정도면 날씬한 편이라고 비교하거나 저들처럼 되지 않으려면 운동해야겠다고 다짐한다.
그러나 방송을 통해 다이어트에 성공한 참가자들은 14명 중 4명이 출연 전보다 체중이 더 늘었고 나머지 출연자들 또한 10kg 이상 요요현상을 겪었다. 조사 결과 이는 이 방송의 시청자들도 마찬가지였다. 일시적으로 다이어트에 성공한 사람은 일부에 불과했고 상당수의 사람이 살과의 전쟁에서 패배했다는 수치심을 안고 자기혐오에 빠져들었다.
다이어트로 이익을 본 사람은 결국 뚱뚱한 사람들이 아니라 이를 전시한 방송국과 후원 기업들이었다. 저자는 불안과 자기혐오에 기반한 수치심이 비단 다이어트 산업의 특징만은 아니라고 말한다.
수치심은 신체, 건강, 도덕 등 규범에서 파생하기 때문에 스스로 사회적 기준에 못 미친다고 자각하는 순간, 존엄성이 부정당한다고 느낀다. 정부나 기업에서는 비만, 빈곤, 약물 중독과 같이 저변에 깔린 수치심을 이용하여 공동체의 질서 유지를 위한 도구로 쓰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다는 수치심을 극대화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플랫폼의 알고리즘은 수치심을 자극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다. 거대 디지털 기업은 상업적 이익을 위해 알고리즘을 활용해 외모나 조악한 취향, 정치 이슈를 놓고 서로 조롱하도록 갈등을 부추긴다. 이런 흐름은 기업의 이윤뿐만 아니라 혐오정서를 군중에 전파하며 수치심의 악순환을 영구화한다.
『셰임 머신』에서는 이 일련의 과정을 수학자이자 알고리즘 설계자의 관점에서 상세히 분석한다. 저자는 플랫폼과 알고리즘을 통해 외모, 가난, 젠더, 피부색, 정치적 입장 등 다방면에 걸쳐 왜곡된 수치심이 확산하고 이를 정치적, 상업적으로 활용하는 시스템을 ‘수치심 머신(Shame Machine)’이라고 정의한다. 수치심 머신이 작동하는 사례는 우리 일상생활에 이미 깊숙하게 들어와 있다. 책에 소개된 일상적인 사례 살펴보자.
[1]
앨라배마주 버밍햄의 어느 학교에 다니는 3학년 남자아이가 팔에 도장이 찍힌 채 하교했다. 웃는 표정의 도장 아래에 글씨가 적혀 있었다. 아이의 아빠는 ‘참 잘했어요’라고 쓰인 줄 알았다가 문구를 확인하고 할 말을 잃었다. ‘급식비 주세요’라고 적혀 있던 것이다. 급식비 통장 잔액이 1.38달러밖에 남지 않았지만 마이너스는 아니었는데도 그랬다.
[2]
한때 유망한 고등학교 운동선수였던 제프는 고등학교 2학년 때 무릎 수술을 받았고 주치의가 마약성 진통제 옥시콘틴을 처방했다. 몇 년 전 제약회사 퍼듀에서 중독성이 없는 진통제라며 요란하게 마케팅했던 약이었다. 제프는 점점 약에 의존하며 중독되었지만 주변에 도움을 청하지 못하고 그 사실을 숨겼다. 고등학교 운동 스타의 추락이라는 비난을 이겨낼 자신이 없었다. 결국 그는 불법적으로 약물을 구하다 시체로 발견된다.
이런 낙인찍기가 최근 소셜 미디어와 결합해 더 강력해지고 있다. 페이스북과 구글을 비롯한 거대 디지털 기업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대중 사이에 혐오 정서를 퍼트리는 최적의 값을 찾으면서 트래픽과 광고 효과를 높여 이윤을 얻는다. 가장 높은 기업 가치를 자랑하는 곳이 서로를 조롱하는 전쟁터가 된 것이다. 각종 인스타그램 광고와 페이스북 게시글의 수십만 개의 좋아요 수, ‘빌런’이라고 낙인찍은 유튜브 영상 댓글 수는 만연해진 갈등 사회의 모습을 여실히 드러낸다.
혐오는 어디서 시작하고 확산되는가
누구나 스스로 불만을 갖는 점이 있다. 집안 환경, 잘나지 않은 외모, 낮은 학교 성적 등 우리는 일상에서 종종 회피하고 싶은 수치심에 빠진다. 이 책의 저자 캐시 오닐도 마찬가지였다.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뚱뚱해서 늘 위축되었고 극복하려 했지만 그렇지 못했다고 회고한다. 다양한 다이어트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수술까지 받았지만, 체중은 언제나 제자리로 돌아왔고 그럴 때마다 그녀는 극심한 자기혐오에 빠져들었다고 한다. 수학 천재, 종신교수, 월스트리트의 잘 나가는 퀀트, 베스트셀러 작가라는 타이틀도 이 자기혐오의 굴레에서 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