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도덕 교육』은 프랑스의 위대한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이 1902~1903년 소르본 대학에서 도덕, 교육, 사회를 주제로 한 18개의 강의를 엮은 것이다. 이 강의 저술은 뒤르켐이 보르도 대학에 부임한 첫해(1898~1899)에 이미 구상하고 초안을 집필했으며, 사후에 뒤르켐 학파 1세대를 이끈 제자 폴 포코네가 체계적으로 편집해 1925년에 출판했다. 3년 전 출판된 또 다른 유작 『교육과 사회학』(1922), 제자 모리스 알박스가 편집하여 출판한 『프랑스 교육의 진화』(1938)와 함께 『도덕 교육』은 ‘뒤르켐 교육학 저술’의 중심을 이룬다. 이 저작들은 뒤르켐이 보르도 대학에서 가르친 첫해부터 소르본 대학에서 가르친 마지막 해(1915~1916)까지 약 30년이라는 기간에 걸쳐 행해진 일련의 강의 및 강연을 담고 있다. 『사회분업론』 『자살론』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들』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를 통해 사회학 분야에 남긴 뒤르켐의 업적은 잘 아는바, 이제 여기에 더해 사회학자로서 그가 얼마나 교육적 사명에 헌신했는지 알 수 있다. 뒤르켐의 교육론은 그의 사회학 연구에서 핵심적인 한 축을 이룬다. 그는 ‘아노미’ 상태라 부를 수 있는 무질서하고 혼란스러운 사회를 어떻게 하면 질서와 통합으로 이끌 수 있을지를 고민하며 한평생 ‘도덕의 문제’에 천착했다. 뒤르켐은 사회 해체의 위험, 사회 감시망의 쇠퇴, 개인과 집단의 관계 약화, 아노미의 위협에 맞서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교육 체계라고 확신했다. 인간은 교육을 통해 한 사회에 자연스럽게 동화될 수 있으며,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를 통합하기 위해서는 그 사회만의 도덕 규칙과 규범을 세우고 다음 세대에 잘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어느 사회든 그 구성원 개인들이 수용하고 존중하는 ‘규칙들의 총체’가 없이는 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뒤르켐은 도덕의 3요소를 규율의 정신, 사회집단에의 결속, 의지의 자율성이라고 했으며 이 책 제1부에서 다룬다. 뒤르켐은 개인-가족-사회(국가-인류)의 단계를 거치면서 도덕이 확장되는 현상에 주목하며 연구했다. 그리고 가족이나 사회 속에서도 도덕을 교육할 수 있지만, 도덕 교육을 실시할 가장 적절한 장소를 ‘학교’라고 보았다. 가족은 혈연적 친밀성 때문에 합리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일반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중간 단계의 사회인 학교에서, 특별히 고정관념이 형성되지 않아 사고가 유연한 초등학교 어린아이들을 대상으로 가장 효율적인 도덕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어린아이에게 도덕 규율을 어떻게 심어줄 수 있을까를 이 책 제2부에서 논의한다. 그 과정에서 아동심리학, 학교의 규율, 학교의 상벌체계를 자세히 다룬다. 뒤르켐은 사회집단에의 결속과 관련하여 단절 없이 교육이 이루어지는 학교의 환경, 졸업 후 동창회와 같은 중간 사회의 구성 등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또 의지의 자율성과 관련해 자연과학, 역사, 예술 등의 심미적 문화를 통해 내면의 감동을 이끌어내는 교육에 대해 말한다. 이러한 일에서 교사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러므로 교사는 사명감을 가지고 교육에 투신해야 한다고 호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