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프롤로그―돌봄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1  돌봄이 초라한 사회 i 2  정의로서 돌봄 vii 3  ‘돌봄민국’을 향한 국민대타협 ix 4  구성과 내용 xiv 5  나가며 xvii 1부 이론 1장 ――― 돌봄 없는 정치이론 1  돌봄이 배제된 정치이론 3 2  돌봄의 인간상과 사회상: 돌봄인과 돌봄사회 7 3  돌봄이 배제된 자유주의 11 4  돌봄이 배제된 공동체주의 19 5  정치이론의 돌봄 배제, 왜 심각한 문제인가? 27 2장 ――― 케어리즘(Carism) 1  정치이론으로서 케어리즘 33 2  케어리즘은 돌봄의 가치를 주목하고 인정한다. 37 3  케어리즘은 돌봄부정의를 지적하고 교정한다. 41 4  케어리즘은 돌봄의 시민적 연대책임을 규정한다. 50 5  케어리즘: 더 정의로운 정치이론 55 3장 ――― 돌봄민주주의 1  돌봄이 배제된 민주주의 61 2  민주주의, 정치적 평등, 포용 64 3  자유민주주의 68 4  사회민주주의 73 5  돌봄민주주의 80 6  돌봄민주주의: 자유민주주의와 사회민주주의를 넘어 95 4장 ――― 헌법적 가치로서 돌봄 1  돌봄을 논하는데 있어 왜 헌법인가? 101 2  헌법 제10조: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 104 3  돌봄: 인격적․사회적․정치공동체적 가치이자 실천, 그리고 돌봄부정의 113 4  돌봄의 관점에서 본 헌법 제10조 121 5  돌봄의 헌법적 위상 130 5장 ――― 돌봄민주국가의 복지 1  새롭고 더 나은 복지국가 137 2  돌봄민주국가의 운영원리 138 3  돌봄민주국가의 복지: 의존의 보편성과 돌봄필요에 기초한 복지 149 4  돌봄민주국가의 복지: 돌봄관계에 기초한 복지 154 5  돌봄민주국가의 복지: 돌봄의 공공윤리에 기초한 복지 159 6  돌봄민주국가, 더 정의로운 국가 163 6장 ――― 돌봄과 복지 1  돌봄과 복지의 상보성(相補性) 167 2  여성주의 복지와 돌봄윤리 168 3  복지원리와 돌봄원리: 비교 172 4  돌봄원리는 취약한 인간의 필요에 더 포용적이다. 182 5  돌봄원리는 시민이 담임해야 할 책임을 더 권장한다. 188 6  돌봄원리는 자원이 아니라 인간관계에 더 주목한다. 194 7  돌봄과 복지: 정의로운 국가의 운영원리 199 2부 실제 7장 ――― 한국적 돌봄민주국가: 도전과 전망 1  복지국가를 넘어 돌봄민주국가로 203 2  돌봄민주국가의 원리들 205 3  한국적 맥락과 한국적 복지국가 210 4  한국적 맥락의 돌봄민주국가 218 5  한국적 돌봄민주국가에 대한 전망 228 8장 ――― 돌봄과 구조적 억압 1  돌봄과 사회구조 233 2  돌봄의 정치화 235 3  억압 239 4  돌봄의 지위에 근거한 억압 243 5  돌봄을 둘러싼 구조적 억압, 그리고 돌봄정의 259 9장 ――― 코로나19, 돌봄부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