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 NLP 기법으로 탈출하는 무대공포증 대부분의 사람들은 크든 작든 발표공포증을 가지고 있다. 사람들 앞에 서면 머릿속이 하얗게 비워지고, 입이 마르고, 사시나무처럼 떨리고, 틱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단 몇 사람 앞에서 단지 자기소개를 하는 일조차 긴장하게 되고, 발표를 해야 한다는 생각만으로도 전날부터 불안감에 빠져 잠을 이루지 못하기도 한다. ▶▶▶ 나도 자신감 넘치게 좌중을 웃기고 울리는 사람이 되고 싶다 다른 사람들처럼 사람들 앞에 서서 웃기고 울리며 멋지게 말하고 싶다. 그래서 화술학원에 등록하기도 하고, 웅변학원이나 동호회에 가입하거나 책을 읽으며 노력을 해보지만 효과는 거의 없다. 그렇게 포기한 채로 점점 사람들 앞에 서야 하는 자리를 피하게 된다. ▶▶▶ 해결책은 실용심리학 치유기법인 신경언어프로그래밍(NLP)에 있다 NLP 기법은 잠재의식 속에 내재돼 발표공포증을 유발하는 특정 기억이나 트라우마를 제거해 자신감을 찾도록 만드는 실용심리학으로 이미 세계적으로 널리 그 효과를 인정받고 있는 심리치유 기법이다. 이 책은 바로 NLP 치유기법을 활용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NLP기법이란 무엇인가? 신경-언어프로그래밍(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은 20세기에 개발된 실용심리학의 한 분야로 인간 행동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는 기법을 종합해 놓은 지식 체계의 명칭이다. 미군도 실제적인 효과를 인정해 군사훈련에 뛰어난 병사를 NLP 방식으로 모델링하여 신병을 훈련하는 데 적용하기도 했다. NLP의 공동창시자 리차드 밴들러는 “NLP는 두뇌를 사용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이다.” 라고 한마디로 정의했다. 표현이 다소 모호한 측면이 있는 것은 NLP가 이론이라기보다 행동과 말하기 방법을 담고 있는 유용성을 중시하는 특성 때문으로, 쉽게 표현하자면 “목표 성취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기법”으로 요약할 수 있다. ▶▶▶ 무대에 서서 자신감 뿜뿜하게 발표하다! 세계적 토크쇼 진행자였던 래리 킹은 이런 말을 했다. “사람들 앞에서 마이크를 잡고 말을 하느니 차라리 낙하산 없이 비행기에서 뛰어내리겠다.” 웃어넘기겠지만 실제로 많은 사람들에게 무대에 서서 발표를 해야 하는 상황은 비행기에서 뛰어내리는 것만큼이나 공포다. 그러나 사람들 앞에 나서서 마이크를 잡아야 할 상황들이 너무나 많아지고 있다는 게 문제다. 가능하면 그런 자리를 피하고자 애를 쓰다 보면 자신이 가진 능력에 비해 낮은 평가를 받게 되고, 존재감 없는 들러리로 전락한다. 말이 무기가 되는 시대다. 취업을 하기 위해선 면접관 앞에서 자신의 견해를 발표해야 하고, 프레젠테이션을 해야 하는 상황도 자주 생긴다. 1인방송 유튜버, 라이브 커머스, MC 등 방송 진행자는 물론이고 전문직 종사자들 역시 말이 경쟁력이 된다. 발표 불안이 있으면 포기해야 하는 일들이 너무나도 많은 시대다. 그래서 스스로 극복하기 위해 스피치 학원에도 다니고, 말하기 커뮤니티에 가입하기도 하며, 혼자서도 말하기 연습 및 마인드 컨트롤을 수도 없이 해보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들은 대부분 시간만 오래 잡아먹고 실패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왜 그럴까? 이것은 겉으로 드러나는 발표 불안 증상들이 행동적 문제가 아니라 마음의 문제, 즉 잠재의식 차원에서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발표공포증상의 원인이 되는 무의식적 기억이나 욕구를 외면한 채, 단순히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만을 보고 이를 교정하려 해서는 좋은 효과를 거두기가 매우 힘들다. 잠재의식 속에 저장된 트라우마가 그대로 남아 있는 한, 아무리 눈맞춤을 연습하고 표정 관리를 한다고 한들 발표공포증상들은 언제든 겉으로 드러날 수밖에 없다. 의식이 깨어 있는 상태에서 하는 모든 노력들은 잠시 효과를 볼 수는 있어도, 대부분 장기적인 진정한 문제 해결책이 되지 못 한다. 이 책은 바로 이런 발표공포증을 극복하기 위한 NLP 기법에 대해 다루고 있다. 20세기에 개발된 실용심리학의 한 분야로 인간 행동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는 기법을 종합해 놓은 지식 체계를 통해 무의식에 변화를 일으켜 발표공포증을 제거하고 자신감을 심는 과정을 다룬다. 이론이 아니라 실용적인 측면에서 접근해 발표 트라우마를 제거하고 자신감을 찾기 위한 실제적인 스크립트와 함께 스스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안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