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헌사 … 10 독자에게 드리는 편지 … 14 제1권 타고난 사념에 대하여 제1장 서론 … 29 제2장 마음에 타고난 (이론적) 원리는 없다 … 36 제3장 타고난 실천적 원리는 없다 … 59 제4장 이론적과 실천적 쌍방의 타고난 원리에 관한 다른 고찰 … 84 제2권 관념에 대하여 제1장 관념 일반 및 그 기원에 대하여 … 111 제2장 단순관념에 대하여 … 130 제3장 하나의 감관의 관념에 대하여 … 133 제4장 고체성에 대하여 … 135 제5장 여러 감관으로부터의 단순관념에 대하여 … 141 제6장 내성의 단순관념에 대하여 … 142 제7장 감각과 내성 쌍방의 단순개념에 대하여 … 143 제8장 (감각의) 단순관념에 관한 약간의 보충 이론 … 148 제9장 지각에 대하여 … 162 제10장 보존에 대하여 … 170 제11장 식별(識別), 그 밖의 심적 작용에 대하여 … 177 제12장 복잡관념에 대하여 … 187 제13장 단순양상에 대하여. 우선 공간 단순양상에 대하여 … 192 제14장 지속과 그 단순양상에 대하여 … 212 제15장 지속과 확산을 합친 고찰에 대하여 … 232 제16장 수에 대하여 … 244 제17장 무한에 대하여 … 250 제18장 (감각의 단순관념) 그 밖의 단순양상에 대하여 … 268 제19장 사고의 양상에 대하여 … 272 제20장 쾌고(快苦)의 양상에 대하여 … 275 제21장 능력에 대하여 … 281 제22장 혼합양상에 대하여 … 347 제23장 실체인 우리의 복잡관념에 대하여 … 356 제24장 실체의 집합관념에 대하여 … 383 제25장 관계에 대하여 … 385 제26장 원인결과 및 그 밖의 관계에 대하여 … 392 제27장 동일성과 차이성에 대하여 … 397 제28장 그 밖의 여러 관계에 대하여 … 424 제29장 명확한, 불분명한, 분명한, 혼란된 관념에 대하여 … 442 제30장 실재적 관념과 공상적 관념에 대하여 … 455 제31장 완전한 관념과 불완전한 관념에 대하여 … 459 제32장 참의 관념과 거짓 관념에 대하여 … 472 제33장 관념의 연합에 대하여 … 486 제3권 말에 대하여 제1장 언어 내지 언어 일반에 대하여 … 499 제2장 말의 의미표시에 대하여 … 503 제3장 일반명사에 대하여 … 509 제4장 단순개념의 이름에 대하여 … 524 제5장 혼합양상과 관계되는 이름에 대하여 … 535 제6장 실체의 이름에 대하여 … 548 제7장 불변화사(不變化詞)에 대하여 … 590 제8장 추상명사와 구상명사에 대하여 … 594 제9장 말의 불완전성에 대하여 … 597 제10장 말의 오용(誤用)에 대하여 … 615 제11장 앞서 말한 불완전성과 오용의 구제법에 대하여 … 643 제4권 참된 지식과 의견에 대하여 제1장 참된 지식의 일반적 개념 … 665 제2장 우리가 갖는 참된 지식의 정도에 대하여 … 672 제3장 인간의 참된 지식의 범위에 대하여 … 682 제4장 진리의 실재성에 대하여 … 711 제5장 진리 일반에 대하여 … 726 제6장 보편적 명제의 진리성과 절대 확실성에 대하여 … 733 제7장 공준(公準)에 대하여 … 748 제8장 무가치한 명제에 대하여 … 769 제9장 존재에 대한 우리의 진정한 지식에 대하여 … 781 제10장 신의 존재에 대한 우리의 참된 지식에 대하여 … 783 제11장 사물의 존재에 대한 우리들의 참된 지식에 대하여 … 798 제12장 진정한 지식의 진보에 대하여 … 809 제13장 진정한 지식에 관한 약간의 고찰 … 822 제14장 판단에 대하여 … 825 제15장 개연성에 대하여 … 828 제16장 동의의 정도에 대하여 … 833 제17장 이지에 대하여 … 846 제18장 신앙과 이지 그 밖의 영역에 대하여 … 871 제19장 광신에 대하여 … 881 제20장 옳지 않은 동의, 바꿔 말하면 오류에 대하여 … 894 제21장 여러 학문의 구분에 대하여 … 911 존 로크 사상과 인간지성론 《인간지성론》 성립의 역사 … 917 로크 시대와 생애 … 920 로크의 사상 … 939 존 로크 연보 … 1013